$\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피신경전기자극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Autonomic Functio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4 no.4, 2009년, pp.241 - 247  

강종호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autonomic nervous system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Methods:31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HRV before and after a single high-frequency TENS for 15minutes treatment. The standard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대해서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작용 기전을 자율신경계의 조절로 설명하고자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부분 혈압과 맥박, 체온을 대상으로 영향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그 영향성도 논란중이다(김진호 등, 1996; 박래준, 1997; 박장성과 이재형, 2000; 이문환 등,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높은 신뢰성과 재현성을 가지고 있는 비침습적 자율신경계 기능 검사법인 HRV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TENS의 자율신경계 영향성을 알아보아, TENS 적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재현성이 높은 심박 변이도를 이용하여 정상 성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자율신경계 영향성을 살펴보았다. 전기 자극 전 SDNN은 42.
  • 심박 변이도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Twin Accelerated Plethysmograph & Stress 분석기(TAS-9, IEMBIO, Korea)이다(Fig 3). 본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의 균형 평가에 이용되고 있는 저주파 전력(low frequency, LF)과 고주파 전력(high frequency, HF)의 비율인 LF/HF ratio와 자율신경계의 적응을 평가할 수 있다고 알려진 전체 RR 간격의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 of all the normal RR-interval)인 SDNN을 측정하였다. 건강한 사람의 휴식기에서 LF가 HF보다 1.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Table 1)과 같다. 실험설계는 TENS가 HRV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동등성 전후설계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감신경계가 지속적으로 항진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는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균형이 깨지게 되면 스트레스나 다양한 질환에 노출 될 가능성이 커진다. 교감신경계 활성이 감소되면 혈지질 농도가 상승하고 지방축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생기며(Le-Wei 등, 2009), 반대로 교감신경계가 지속적으로 항진되면 다한증, 갈증, 고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증가한다(이상훈 등, 2006). 뇌졸중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균형 상실로 인한 이차적 심혈관계 손상이 증가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조재흥 등, 2007).
교감신경계 활성이 감소되면 어떤 경향이 생기는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는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균형이 깨지게 되면 스트레스나 다양한 질환에 노출 될 가능성이 커진다. 교감신경계 활성이 감소되면 혈지질 농도가 상승하고 지방축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생기며(Le-Wei 등, 2009), 반대로 교감신경계가 지속적으로 항진되면 다한증, 갈증, 고혈압을 유발할 가능성이 증가한다(이상훈 등, 2006). 뇌졸중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균형 상실로 인한 이차적 심혈관계 손상이 증가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조재흥 등, 2007).
심박 변이도는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HRV는 심장주기의 R-R 간격의 시간적 변동을 측정하여 정량화시킨 것으로서(Cowan, 1995), HRV 분석 방법은 신뢰성과 재현성이 높은 비침습적 자율신경계 평가 방법으로 다양한 질환과 중재 방법에 대해서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Kamath와 Fallen, 1993; Malliani 등, 1994; John 등, 2008). HRV는 스트레스나 통증에 대한 불안에 대해서 자율신경계의 활성을 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심장 질환 예측 및 사망지표 등으로 활용될 수 있어 특정 질환에서 또는 특정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자율신경계가 어떠한 상태인지 해석하는데 사용(Richard 등, 2009; John 등, 2008) 될 수 있다. 인체가 안정 상태에 있을 경우 HRV 변화율은 매우 크고 복잡한 양상을 가지지만, 스트레스나 질환에 놓일 경우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Kamath와 Fallen,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정민, 김금순. 아로마테라피가 첫 임상실습을 경 험하는 간호학생의 불안과 피로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02;9(2):226-36. 

  2. 김진호, 한태륜, 이시옥. 경피적 전기자극과 간섭파가 교감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6;20(3):658-63. 

  3. 문종영, 이삼규, 노성만, 등. 편마비성 견통 환자에 서 전기치료효과의 비교. 전남의대잡지. 2000;36 (3):231-8. 

  4. 박래준. 경피신경전기자극과 미세전류자극이 정상인의 교감신경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7;9(1):51-57. 

  5. 박래준, 박영한, 김기원, 등. 전기치료학(개정판). 현문사. 대한민국. 2009:257-302. 

  6. 박장성, 이재형. 간섭전류 자극이 말초 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9;11(2): 37-42. 

  7. 박정준, 임낙철, 설인찬. HRV 측정으로 본 불면증 환자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4;13(1):30-45. 

  8. 백윤웅, 채윤원, 김정우. Carrageenan으로 유도된 염증성 근통증 흰쥐 모델에서 경피신경전기자극과 냉치료에 의한 척수 cyclooxygenase-2의 감소. 대한해부학회지. 2003;36(5):397-403. 

  9. 유혜영, 정영종, 고수정, 등.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경피신경 전기자극과 미세전류 신경근 자극의 효 과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7(2):76-87. 

  10. 이문환, 오정림, 박래준. 경피신경자극이 노인 요통 환자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3):95-105. 

  11. 이상훈, 김은정, 박연철, 등. 침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6(1):135-43. 

  12. 이용제, 김문성, 김범택, 등.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2;23(12):1432-9. 

  13. 조재흥, 신동재, 이종수, 등. 심박변이도 검사를 통한 중풍 환자의 불면과 자율신경 기능의 상관성 연구. 한반재활의학회지. 2007;17(1):135-144. 

  14. 하미나, 김재용, 박정선, 등. 3교대 근로자에서 교대 근무기간과 압 및 심박수 변동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2):180-9. 

  15. Buonocore M, Mortara A, La Rovere MT, et al. Cardiovascular effects of TENS: heart rate variability and plethysmographic wave evaluation in a group of normal subjects. Funct Neurol. 1992;7(5):391-4. 

  16. Campbell TS, Ditto B. Exaggeration of blood pressure-related hypoalgesia and reduction of blood pressure with low frequenc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Psychophysiology. 2002;39(4):473-81. 

  17. Chandran P, Sluka KA. Development of opioid tolerance with repeate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dministration. Pain. 2003; 102(1-2):195-201. 

  18. Cowan MJ.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West J Nurs Res. 1995;17(1):32-48. 

  19. Emmiler M, Solak O, Kocogullari C, et al. Control of acute postoperative pain by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fter open cardiac operation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rospective study. Heart Surg Forum. 2008;11 (5):300-3. 

  20. Lee JW, Shin YS, Jung YJ.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Autonomic Nerve System Activation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5;9(2):237-44. 

  21. John Z, Dennis E, Braian DC, et al. Effects of biofreeze and chiropractic adjustiments on acute low back pain: a pilot study. J of Chiropr Med. 2008;7:59-65. 

  22. John Z. Effect of Age and sex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healthy subjects. J Manipulative Phisiol Thera. 2007;30(5):374-9. 

  23. Johnson MI, Hajela VK, Ashton CH, et al. The effects of auricula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experimental pain threshold and autonomic function in healthy subjects. Pain. 1991;46(3):337-42. 

  24. Kamath MV, Fallen EL.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a noninvasive signatur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Crit Rev Biomed Eng. 1993;21(3):245-311. 

  25. Lazarou L, Kitsios A, Lazarou I, et al. Effects of Intensity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Blood Pressure in Healthy Human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Clin J Pain. 2009:25(9):773-80. 

  26. Li-Wei C, Miao-Hsiang L, Hsueh-Yu C, et al.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Acupoints Changes Body Composi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besity. eCAM. 2009:1-7 

  27. Malliani A, Lombardi F, Pagani 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a tool to explore neural regularoty mechanism. Br Heart J. 1994;71(1):1-2. 

  28. Meissner W. The role of acupuncture an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Curr Opin Anaesthesiol. 2009;22(5): 623-6. 

  29. Melzack R, Wall PD. Pain mechanism: A new theory. Science. 1965;150:171-79. 

  30. Mikami Y, Ogura T, Kubo T, et al. Inducing peripheral sympathetic nerve activity by 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ion. J Orthop Surg (Hong Kong). 2005;13(2):167-70. 

  31. Mora B, Giorni E, Dobrovits M, et al.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in caused by renal colic in emergency care. J Urol. 2006;175(5):1737-41. 

  32. Pomeraaz M, Macaulay R, Caudil MA. Assessment of autonoic function in humans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e Jour Physio. 1985;248:3. 

  33. Reeves JL 2nd, Graff-Radford SB, Shipman D.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experimental pain and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ponse. Pain Med. 2004:5(2):150-61. 

  34. Richard AR, Jean PB, Alain SC. Heart rate variability modulation after manipulation in pain-free patients vs patient in pain. Journal of Manipulation and Physiology Therapeutics. 2009;32(4):277-86. 

  35. Sanderson JE, Tomlinson B, Lau MS, et al.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autonomic cardiovascular reflexes. Clin Auton Res. 1995;5(2):81-4. 

  36. van Tulder MW, Koes B, Malmivaara A. Outcome of non-invasive treatment modalities on back pain: an evidence-based review. Eur Spine J. 2006;15:64-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