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 밀도함수론을 이용한 정방정계-HfO2/Si의 계면 층 구조 연구
Structural Study of Interface Layers in Tetragonal-HfO2/Si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18 no.1, 2009년, pp.9 - 14  

김대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서화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정보기술공학부) ,  김영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방정계-$HfO_2$/Si 초격자의 계면 층 구조를 범밀도함수론 (density functional theory)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입방정계-$HfO_2$Si 기판과 에피택시 접합을 위하여 a와 b축의 길이가 증가되면 c축의 길이가 2% 감소하여 정방정계 구조가 되었다. 정방정계-$HfO_2$와 Si 기판의 말단층에 따라서 8 개의 계면 층 모델이 생성되었다. 정방정계-$HfO_2$ (004)$_{1/4}$/Si $(004)_{3/4}$ 초격자구조가 에너지 관점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정방정계-$HfO_2$ $(004)_{1/4}$/Si (002) 초격자구조는 가장 불안정하였다. 에너지 관점에서 가장 불안정한 구조의 경우, 정방정계-$HfO_2$의 계면에 존재하는 2 개의 산소 원자가 Si 기판으로 이동하여 정방정계-$HfO_2$ 초격자구조에 2 개의 산소 공공이 생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alculated tetragonal-$HfO_2$/Si superstructures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When a and b-axes of cubic-$HfO_2$ were increased to be matched with those of Si for epitaxy contact, c-axis was decreased by 2%. Eight models of interface layers were produced by choosing dif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모델 A2와 B1 계면 구조의 에너지와 계면 두께의 차이는 계산 오차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면모델 A1-4 의 구조에 대해서 계산하였다. 1X1X2 정방정계-Hf6/ 1x1x2 Si 초격자구조에서, 정방정계-HfQ (004)i/4/Si (004)3/4 초격자구조 (모델 A4)가 에너지 관점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정방정계-Hf6 (004)1/4/Si (002) 초격자구조 (모델 A2)가 가장 불안정하였다.
  • 하지만 HfCh와 Si의 말단층 (terminating layer) 이 (001) 면인 경우에 대해서만 고려되었다. 연구에서는 말단 층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입방정계-HfG/Si 계면 모델을 제시하고, 범밀도함수론으로 최적의 계면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 Kerber, E. Cartier, L. Pantisano, R. Degraewve, T. Kauerauf, Y. Kim, A. Hou, G. Groeseneken, H. E. Maes, and U. Schwalke, IEEE Electron Device Lett. 24, 87 (2003) 

  2. G. D. Wilk and D. A. Muller, Appl. Phys. Lett. 83, 3984 (2003) 

  3. S. Zafer, A. Kumer, E. Gusev, and E. Cartier, IEEE Trans. Device Mater. Reliab. 5, 45 (2005) 

  4. D. Lim and R. Haight, J. Vac. Sci. Technol. B 23, 201 (2005) 

  5. H. Jin, H.J. Kang, and M.-H. Cho,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31, 138 (2006) 

  6. 김석환, 백재윤, 김민국, 박호영, 안종렬, 박종윤, 김윤수, 황한나, 황찬국, 안기석,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30, 65 (2006) 

  7. R. Rub and P. W. R. Corfield, L. Am. Ceram. Soc. 53, 126 (1970) 

  8. R. M. Wallace and G. D. Wilk, Crit. Rev. Solid State Mater. Sci. 28, 231 (2003) 

  9. J. Roberston, Rep. Prog. Phys. 69, 327 (2006) 

  10. N. Miyata, Appl. Phys. Lett. 89, 102903 (2006) 

  11. D. Y. Cho, K. S. Park, B. H. Choi, S. J. Oh, Y. J. Chang, D. H. Kim, T. W. Noh, R. Jung, J. C. Lee, and S. D. Bu, Appl. Phys. Lett. 88, 193502 (2006) 

  12. X. Y. Qiu, H. W. Liu, F. Fang, M. J. Ha, and J. M. Liu, Appl. Phys. Lett. 88, 072906 (2006) 

  13. H. S. Baik, M. Kim, G.-S. Park, S. A. Song, M. Varela, A. Franceschetti, S. T. Pantelides, and S. J. Pennycook, Appl. Phys. Lett. 85, 672 (2004) 

  14. Y. Y. Lebedinskii, A. Zenkevich, E. P. Gusev, and M. Gribelyuk, Appl. Phys. Lett. 86, 191904 (2005) 

  15. C. M. Perkins, B. B. Triplett, P. C. McIntyre, K. C. Saraswat, and E. Shero, Appl. Phys. Lett. 81, 1417 (2002) 

  16. S. Ferrari and G. Scarel, J. Appl. Phys. 96, 144 (2004) 

  17. E. Ryshkewitch and D. W. Richerson, Oxide Ceramics: Physical Chemistry and Technology, (Academic Press, 1985), 471 

  18. J. Wang, H. P. Li, and R. Stevens, J. Mater. Sci. 27, 5397 (1992) 

  19. V. B. Glushkova and M. V. Kravchinskaya, Ceram. lnt. 11, 56 (1985) 

  20. C. Tang, B. Tuttle, and R. Ramprasad, Phys. Rev. B 76, 073306 (2007) 

  21. G. Kresse and J. Hafner, Phys. Rev. B 47, 558 (1993); G. Kresse and J. Hafuer, Phys. Rev. B 49, 14251 (1994) 

  22. G. Kresse and J. Hafuer, Phys. Rev. B 49, 14251 (1994) 

  23. G. Kresse and J. Furthiiller, Comput. Mat. Sci. 6, 15 (1996) 

  24. G. Kresse and J. Furthuller, Phys. Rev. B 54, 11169 (1996) 

  25. G. Kresse and D. Joubert, Phys. Rev. B 59, 1758 (1999) 

  26. D. Vanderbilt, Phys. Rev. B 41, R7892 (1990) 

  27. D. M. Wood and A. Zunger, J. Phys. A 18, 1343 (1985) 

  28. P. Pulay, Chern. Phys. Lett. 73, 393 (1980) 

  29. E. Wiberg and A. F. Holleman, Inorganic Chemistry, (Elsevier, 2001), 857 

  30. K. Momma and F. Izumi, J. Appl. Crystallogr. 41, 65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