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 일대의 자원식물상
Plant Resources of Ssanggok Valley in Sokri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2 no.1, 2009년, pp.13 - 25  

정태영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박철하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이경수 (충청북도수목.산야초연구센터) ,  윤희빈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이귀용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안찬기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  유주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8과 242속 342종 52변종 7품종 등 총 4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키버들, 개족도리, 할미밀망, 민산초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분취 등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망개나무 등 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개족도리, 고란초, 망개나무, 백작약, 태백제비꽃, 꼬리진달래, 말나리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보전을 위해서는 향후 희귀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안과 번식방법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식물은 관상용 식물 220분류군, 식용 식물 239분류군, 약용 식물 281분류군, 기타용 식물 20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취명아주,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큰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24%, 자연파괴도는 약 4.53%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sanggok valley, Chilsung-myeon, Geosan-gun and Chungcheongbuk-do, and the survey of period was from March, 2006 to June, 2007.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401 taxa; 88 families, 242 genera, 342 species, 52 varietie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중 식물상 조사의 경우 대부분이 천황봉 중심 또는 속리산 전체에 대한 개괄적인 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쌍곡계곡과 같이 세밀한 지역적 식물상 조사는 미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 및 생태환경이 우수한 속리산국립공원 내 위치한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자원식물적 측면에서 해석하여 차후 생태계보전과 더불어 유전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획득과 함께 생물자원과 관련된 산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입지환경분석은 쌍곡계곡의 미시적인 지형특성을 분석 하여 개괄적인 무생물환경의 규명과 더불어 향후 식물생태계 모니터링 및 해발・향・경사에 따른 식생변화추이를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획득에 목적이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발행 1:25,000 수치지형도를 기본도면으로 하였고 AutoCAD 2006을 통해 dwg파일을 dxf파일로 변환한 후 등고선 레이어(7111, 7114)를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리산국립공원의 지리 좌표는 무엇인가? , 1990). 지리좌표는 북위 36°46′38″~ 36°28′05″, 동경 127°47′06″~ 127°57′50″이고 주변 산지의 경우 북서부에는 칠보산(778 m), 군자산(948 m), 덕가산(707 m)이, 남동부에는 백화산(1,064 m), 대야산(931 m)이 분포하고 있다. 식물구계 및 식생개황의 경우 온대중부아구에 속하며, 상위 군락은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구분되고 하위군락은 굴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노각나무-느티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Chungbuk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02).
세계최초의 국립공원은 어디인가? 국립공원은 미국에서 최초로 도입된 개념으로 1872년 엘로스톤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이 세계최초의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일본이 1931년에 도입하였고 우리나라는 1967년 공원법을 근간으로 지리산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Jo, 2004). 자연공원법 제2조에 의하면, ‘국립공원이라 함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Park, 2003), 우리나라는 총 20개소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있는데 지리산 등의 산악형 국립 공원, 태안반도와 같은 해안도서형 국립공원 및 경주와 같은 사적형 국립공원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은 어디로 지정하였는가? 국립공원은 미국에서 최초로 도입된 개념으로 1872년 엘로스톤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이 세계최초의 국립공원이라 할 수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일본이 1931년에 도입하였고 우리나라는 1967년 공원법을 근간으로 지리산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Jo, 2004). 자연공원법 제2조에 의하면, ‘국립공원이라 함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으며(Park, 2003), 우리나라는 총 20개소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있는데 지리산 등의 산악형 국립 공원, 태안반도와 같은 해안도서형 국립공원 및 경주와 같은 사적형 국립공원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ng, S.W., M.H. Kim and T.H. Rho. 2004. Development on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abating the treats from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325(in Korean). 

  2. Bang, S.W. and S.Y. Ahn. 2005. Development of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332(in Korean) 

  3. Byun, J.M. 2000.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medicinal resources herb plants used through the ages in Korea. Korean J. of Ag. Extension 7(1):193-208(in Korean) 

  4. Chungbuk Forest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02.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of Chungbuk. pp.431(in Korean) 

  5. Eom, A.H., Y.C. Cho, H.C. Shin and C.S. Lee. 2004.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Korean J. Ecol. 27(3):185-192(in Korean) 

  6. Jo, T.D. 2004. Study on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national park systems from the conservation perspective.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10):871-882(in Korean) 

  7. Kang, B.H., S.I. Shim, S.G. Lee and S.H. Park. 1997. Survey on wild edible plant resources in Korea and it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Korean J. Crop Sci. 42(2):236-246(in Korean) 

  8. Kang, B.H. and S.J. Shim. 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3):207-226(in Korean) 

  9. Kang, H.S. and Y.M. Choi. 1998. Seasonal variation of reproductive characters in two introduced species of Taraxacum. Korean J. Ecol. 21(5-1):475-486(in Korean) 

  10. Kang, S.J., H.E. Kim and C.S. Lee. 1991. Ecological studies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Korean J. Ecol. 14(1) :25-38(in Korean) 

  11. Kang, S.J. and A.K. Kwak. 1998. Study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Chungcheongbuk-province. J. Kor. Biota 3:1-55 (in Korean) 

  12. Kim, J.H. and C.Y. Yoon. 2007. A floristic study of the economic plants in Mt. Gangcheon(Sunchang-gun, Jeollabuk-do). Korean J. Plant Res. 20(5):409-423(in Korean) 

  13. Kim, J.H., Y.H. Kim, D.K. Kim, C.Y. Yoon and J.H. Kim. 2008.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Mt. Hwaak(Cheongdo-gun, Gyeongsangbuk-do). Korean J. Plant Res. 21(2):148-161(in Korean) 

  14. Kim, J.S., G.T. Kim and G.C. Choo. 1990.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Kor. J. Env. Eco. 4(1):1-15(in Korean) 

  15. Kim, N.Y., H.S. Kim, S.Y. Kim and W.G. Park. 2006. Studies on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provenances of a rare Rhododendron micranthum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5(1):55-59(in Korean) 

  16. Kim, Y.S., G.T. Kim, J.S. Woo and K.W. Lee. 1990. Flora of Songri mountain and its phytogeographical interpretation. Kor. J. Env. Eco. 4(1):16-22(in Korean) 

  17. Ko, S.C. and B.U. Oh. 2003. The natural resources of Sokri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pp.92-178(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1997.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pp.255(in Korean) 

  19. Lee, J.H., C.W. Yun and S.C. Hong. 2005. Commun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Jour. Korean For. Soc. 94(4): 269-274(in Korean) 

  20. Lee, K.J., K.K. Oh and C.H. Ryu. 1990. Management proposal of Sokli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4(1):89-108(in Korean) 

  21. Lee, T.B. 1979. Distribution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a investigation for it's conservation in Korea. Kor. J. Plant Tax. 9(1-2):1-6(in Korean) 

  2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s. Ⅰ.Ⅱ.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pp.914, 910(in Korean) 

  23. Lim, D.O., Y.S. Kim and I.C. Hwang. 2006. Flora and conservation of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130-142(in Korean) 

  24. Lim, D.O. and I.C. Hwang. 2006.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3):281-288(in Korean) 

  25. Lim. D.O., Y.S. Kim. and H.C. Lee. 2008.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conservation of the Bukhan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2(2):138-144(in Korean) 

  26. Oh, H.K., M.S. Beon, S.G. Lim, J.M. Park and K.H. Kim. 2008a. Study on resource plants of the Mt. Geonji, Jeonju city. Korean J. Plant Res. 21(2):73-82(in Korean) 

  27. Oh, H.K., H.T. Shin and M.S. Beon. 2008b.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Korean J. Plant Res. 21(2):1117-127(in Korean) 

  28. Oh, K.K., T.H. Kwon and J.Y. Lee. 1990.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Mt. Sokri national park. Kor. J. Env. Eco. 4(1):44-50(in Korean) 

  29. Paik, W.K. 2001. The status of endemic plants in Korea and conservation. Proceeding of Symposium on Forest Genetic Resources. pp.66-99(in Korean) 

  30. Park, K. 2003. Aesthetic value of korean national parks' landscape: its appreciation and protection strategi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5):369-382(in Korean) 

  31.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371(in Korean) 

  32. Shin, M.Y., D.J. Chung and C.S. Shim. 2004. Characteristics of water relation parameters for Pinus densiflora at different aspects in central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1):18-23(in Korean) 

  33. Song, C.Y., D.G. Kim, I.S. Woo, T.H. Rho and Y.B. Lee. 1991. Sporeling leaf formation of Crypsinus hastatus by spore culture in vitro.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18(3):179-183(in Korean) 

  34. Song, H.K., K.S. Lee, S. Yee, Y.U. Ji, M.J. Lee and S.N. Her. 2001.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Daedeok science town. Korean J. Ecol. 24(3):169-180(in Korean) 

  35. Song, J.T. 1985. Dictionary of Botany. Geo-Buk Publishing Co, Seoul. pp.1582(in Korean) 

  36.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69-83(in Korean) 

  37. You, J.H., S.G. Jung, I.H. Park, G.Y. Lee, C.K. Ahn, H.W. Cho and C.H. Lee. 2006. 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flora in Mt. Joryeong, Geosan-gun, Chungcheongbuk-do. Korean J. Plant Res. 19(4):459-470(in Korean) 

  38. You, J.H. 2008a.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in Midongsan, Chungcheongbuk-do. Korean J. Plant Res. 21(3):216-221 

  39. You, J.H. 2008b.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lanting plan by location environment of vegetation for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golf cours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4):75-90(in Korean) 

  40. Yu, J.E. 1998.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flora in Mt. Sokri. Journal of the Natural Science 17:101-136(in Korean) 

  41. Yu, J.E., J.H. Lee and K.W. Kwon. 2003. An analysis of forest community and dynamics according to elevation in Mt. Sokri and Oda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4):238-246(in Korean) 

  42. Yun, C.W., S.H. Oh, Y.G. Lee, S.C. Hong and J.H. Kim. 2001. The study on the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ia into adjacent forest stand according to forest types, stand structures and vegetation units. Jour. Korean For. Soc. 90(3):227-235(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