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일부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mmercial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in Daeje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5 no.1, 2009년, pp.84 - 89  

김미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민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연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찬욱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성기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판되는 반찬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전지역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 중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생채류 3제품, 볶음류 2제품, 조림류 4제품, 장아찌류 5제품, 김치류 2제품, 젓갈류 3제품으로 총 19제품을 대상으로 총균, 대장균군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분석하여, 시판 반찬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균의 오염수준은 재래시장 $1.85{\sim}6.21$ log CFU/g, 대형마트 $<1{\sim}6.7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서는 진미채볶음에서만 4.82 log CFU/g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총균에는 부패단계에 해당하는 제품은 없었으나, 대장균군에서는 진미채볶음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반찬류의 위생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식품의 제조단계에서 원료의 세척 및 제조, 가공과정에서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히 하고, 유통 및 최종 판매 단계까지 냉장온도 관리를 철저히 하여 미생물의 재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 식중독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위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potential microbial hazard in approximately 19 kinds of side dishes purchased from traditional markets and supermarkets in the Daejeon area of Korea. The total microbial count in most of the side dishes except Kongjaban, Jwipo jorim, Anchovy bokkeum, Maneuljjong muchim, soy sauc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대형할인점의 조리과정이 재래시장에 비해 위생적이고, 판매 장소 또한 대형할인점이 재래시장보다 위생적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 중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19가지 종류의 반찬을 선정하여 동일한 항목으로 구입하여 식중독 발생률이 높은 총균, 대장균군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분석하여, 시판 반찬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시판되는 반찬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전지역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 중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생채류 3제품, 볶음류 2제품, 조림류 4제품, 장아찌류 5제품, 김치류 2제품, 젓갈류 3제품으로 총 19제품을 대상으로 총균, 대장균군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분석하여, 시판 반찬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균의 오염수준은 재래시장 1.

가설 설정

  • 1) ND: not detected.
  • 2)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반찬류의 경우 냉장온도 이상으로 유통될 경우 어떤 결과를 야기할 수 있는가? 외국의 경우에도 이미 편의성 식품의 사용은 크게 증가하였으며(Pearson JM 등 1986),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은 믿고 살 수 있는 우수한 품질, 그 다음으로 편리함과 가격의 순이라고 보고하였다(Sloan AE 2004). 한편, 대부분의 반찬류는 개봉 후 그대로 섭취하기 때문에 생산단계에서 출고단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위생적으로 처리되지 못했을 경우 미생물의 오염 및 증식에 대한 위험성이 따르게 되며(Kye SH 등 1988), 냉장온도 이상으로 유통될 경우 급속한 미생물 수의 증식을 야기하여(Choi SK 등 1998) 식중독 발생 우려가 더욱 높아 시판 밑반찬의 편리성 때문에 주부들의 인식이 긍정적인 반면, 위생적인 안전관리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실정이다. Lyu ES 등(2006)의 연구결과에서 시판 밑반찬의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이 44.
Lyu ES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판 밑반찬의 구입 장소 순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한편, 대부분의 반찬류는 개봉 후 그대로 섭취하기 때문에 생산단계에서 출고단계에 이르는 모든 과정이 위생적으로 처리되지 못했을 경우 미생물의 오염 및 증식에 대한 위험성이 따르게 되며(Kye SH 등 1988), 냉장온도 이상으로 유통될 경우 급속한 미생물 수의 증식을 야기하여(Choi SK 등 1998) 식중독 발생 우려가 더욱 높아 시판 밑반찬의 편리성 때문에 주부들의 인식이 긍정적인 반면, 위생적인 안전관리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실정이다. Lyu ES 등(2006)의 연구결과에서 시판 밑반찬의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이 44.1%, 재래시장이 24.9%, 반찬가게 23.6%, 슈퍼마켓 5.3%로 나타나 대형할인점이 가격이 비싼데도 불구하고, 재래시장보다 대형할인점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2배 정도 높았다. 이는 대형할인점의 조리과정이 재래시장에 비해 위생적이고, 판매 장소 또한 대형할인점이 재래시장보다 위생적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판되는 반찬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해 총균, 대장균군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시판되는 반찬류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전지역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시판되는 반찬 중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생채류 3제품, 볶음류 2제품, 조림류 4제품, 장아찌류 5제품, 김치류 2제품, 젓갈류 3제품으로 총 19제품을 대상으로 총균, 대장균군에 대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분석하여, 시판 반찬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균의 오염수준은 재래시장 1.85~6.21 log CFU/g, 대형마트 <1~6.77 log CFU/g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서는 진미채볶음에서만 4.82 log CFU/g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총균에는 부패단계에 해당하는 제품은 없었으나, 대장균군에서는 진미채볶음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반찬류의 위생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이형곤. 2005. 즉석식품시장 경쟁 '가속화'. 외식경제신문. 서울. 3월 17일 

  2. 한국식품공업협회. 2005. 식품공전. 한국식품공업협회. 서울. pp 462-467 

  3. Choi SK, Lee MS, Lee KH, Lim DS, Lee KH, Choi KH, Lim CH. 1998. Changes in quality of hamburger and sandwich during storage under simulated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8(1):27-34 

  4. Garcia-Gimeno RM. Sanchez-pozo MD, Amaro-Lopez MA, Zurera-Cosano G. 1996. Behaviour of aeromonas hydrophila in vegetable salads stored under modified atmosphere at 4 and 15 $^{\circ}C$ . Food Microbiol 13(5):369-374 

  5. Ha SD, Kim AJ. 2005. Technical trends in safety of jeotgal. Food Sci Ind 38(2):46-64 

  6. Ham HJ, Jin YH. 2002. Bacterial distribution of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in seoul garak wholesale market. Korean J Food Hyg safet 17(4):173-177 

  7. Harris LJ, Beuchat LR, Kajs TM, Ward TE, Taylor CJ. 2001. Efficacy and reproducibility of a produce wash in killing salmonella on the surface of tomatoes assessed with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produce sanitizers. J Food Prot 64(10):1477-1482 

  8. Hur SH. 1996. Review :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 -Fermented fish product. Korean J Soc Food Sci Nutr 25(5):885-891 

  9. Kwak TK, Lee KY, Park HW, Ryu K, Choi EJ, Hong WS, Jang HJ, Kim SH. 1997. The survey of housewives' percep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2(4):391-400 

  10. Kye SH, Yoon SI, Park HS, Shim WC, Kwak TK. 1988.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packaged meals (dosirak) produced in packaged meal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in Seoul city and Kyungki-do procidence. Korean J Food Hyg Safet 3(3):117-129 

  11. Kyung KH. 2006.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J Food Hyg Safety 21(3):145-152 

  12. Lyu ES, Lee DS, Chung SK. 2006. A survey of Korean housewives' on the commercial Korean basic side dishe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440-447 

  13. Martinez-Tome M, Vera AM, Antonia Murcia M. 2000. Improving the control of food production in catering establishment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safety of salads. Food Control 11(6):437-445 

  14. Mayer-Miebach E, Gartner U, Grossmann B, Wolf W, Spiess WEL. 2003.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blanching on the content of valuable substances and sensory properties in readyto-use salads. J Food Eng 56(2-3):215-217 

  15. Park HS, Ryu K. 2007.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2).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3(4):389-406 

  16. Park SY, Choi JW, Yeon JH, Lee MJ, Lee DH, Kim KS, Park KH, Ha SD. 2005.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in major RTE foods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274-278 

  17. Pearson JM, Capps O, Axelson J. 1986. Convenience food use in households with male food preparers. J Am Diet Assoc 86(3):339-345 

  18. Seo KY, Lee MJ, Yeon JH, Kim IJ, Ha JH, Ha SD. 2006.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of in salad and side dish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ety 21(4):263-268 

  19. Ser JH, Kim MN, Chung YH, Kim GS. 1996. Sanitary conditions of sliced squid bokum and anchovy bokum available in the market. Korean J Food Hyg Safety 11(3):171-176 

  20. Sloan AE. 2004. Gourmet & specialty food trends. J Food Technology 58(7):32-38 

  21. Yoo WC, Park HK, Kim KY. 2000.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prepared foods and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15(2):123-137 

  22. Yoon S, Sohn KH, Kwak TK, Kim JS, Kwon DJ. 1998. Consumer trends on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Korean J Dietary Culture 13(3):197-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