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금(黃芩)의 에탄올추출물에 의한 화장품 방부효과
Preservation of Cosmetics by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_{EORGE}$ 원문보기

KSBB Journal, v.24 no.4, 2009년, pp.347 - 352  

황신혜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그린에너지 센터, 산학협력기술연구원) ,  박창호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그린에너지 센터, 산학협력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in toner와 skin lotion의 두 가지 화장품 formulation에 기존의 파라벤류 방부제 대신 황금 (黃芩) 추출물 (1.0 wt%)을 첨가하고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및 Candida albicans (ATCC 10231) 균주를 접종하였을 때 이 균주들은 7일 이내에 99.9% 이상의 사멸율을 보여 황금추출물이 CTFA기준을 만족하는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skin lotion에 접종된 Candida albicans의 경우 사멸율은 CTFA기준에 약간 미달하는 99.8%이었다. 또한 황금추출물의 농도가 1.0 wt% 이하일 때 균주의 생존율은 그람 양성균인 P. aeruginosa가 가장 높고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가 가장 낮았다.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이용한 세포형태변화 관찰 결과 황금추출물이 P. aeruginosa에 대하여 더 큰 방부력을 갖는 것은 이 균주의 세포막이 황금추출물에 의해 더 심하게 손상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고농도의 황금추출물이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1,000 ppm에서 80%정도의 SOD-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thanol extract (1.0 w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_{EORGE}$ practically satisfied CTFA (The cosmetics,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standard in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which were inoculated in sk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알카로이드 (alkaloids), 후라보노이드 (flavonoids), 피토알렉신 (phytoalexin), 항균펩타이드에 대한 연구보고와 유기산과 지방산 등의 항균성에 대한 보고가 있으며, 이들 물질의 항균작용은 산의 pH에 의한 효과 및 킬레이트 에 의한 효과가 주 항균 메커니즘일 것으로 추정했다(2, 3). 본 연구에서는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황금(黃苓)의 에탄올 추출물이 화장품 오염세균에 대해 갖는 항균효과를 연구하였다.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은 그 뿌리가 노란색이며 오래 전부터 동양의학 문헌에 각종 염증에 대한 효과가 알려져 왔다.
  • 황금은 그 약리작용인 항산화, 항암, 항염효과(4) 및 신경보호 (neuroprotective) 기능(5) 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용 한방화장품 제형화 연구에서 황금추출물의 안정성과 기능성 강화에 기능에 대해 보고되었다(6). 본 연구에서는 황금 추출물이 기존의 파라벤류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또한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Lee, S. H., S. J. Kim, J. R Park, E. H. Jo, N. S. Abn, J. S. Park, J. W. Hwang, J. Y. Jung, Y. S. Lee, and K. S. Kang (2006), Oestrogenic activin of parabens in vitro estrogen assays, J. Fd Hyg. Safety 21, 100-106 

  2. El-Shenawy, M. A. and E. H. Marth (1989), Inhibition or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sodium benzoate together with some organic acids, J. Food Prot. 52, 771-778 

  3. Bizri, J. N. and I. A. Wahem (1994), Citric acid and antimicrobials affect microbi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tomato juice, J. Food Sci. 59, 130-135 

  4. Shim, K. S., S. N. Kim, M. H. Kim, Y. S. Kim, S. Y. Ryu, Y. K. Min, and S. H. Kim (2008), Scutellaria baicaliensis Georgi extract inhibit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Nat. Prod Sci. 14, 182-186 

  5. Son, D., P. Lee, J. Lee, H. Kim, and S. Y. Kim (2004), Neuroprotective effect of wogonin in hippocampal slice culture exposed to oxygen and glucose deprivation, Eur. J. Pharma. 493, 99-102 

  6. Park, C. I. (2006),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emulsion cream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using Scutellariae baicalensis, Kor. J. Herbology 21, 47-53 

  7. Piddock, L. J. 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8. Farrinton, J. K., E. L. Martz, S. J. Wells, C. C. Ennis, J. Holder, J. W. Levchuk, K. E. Avis, P. S. Hoffinan, A. D. Hitchins, and J. M. Madden (1994), Ability of laboratory methods to predict in-use efficacy of antimicrobial preservatives in an experimental cosmetic, Appl. Environ. Microbiol. 60, 4553-4558 

  9.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0. Hong, H. D., N. K. Kang, and S. S. Kim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11. Choi, E. Y. (2003),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smetics natural materials using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func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Daegu Haany University. 23-26 

  12. Lim, J. D., C. Y. Yu, M. J. Kim, S. J. Yun, S. J. Lee, N. Y. Kim, and I. M. Chung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