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폭설에 대한 예측가능성 연구 - 2008년 3월 4일 서울지역 폭설사례를 중심으로 -
On the Predictability of Heavy Snowfall Event in Seoul, Korea at Mar. 04, 2008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8 no.11, 2009년, pp.1271 - 1281  

류찬수 (조선대학교 대기과학과) ,  서애숙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  박종서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  정효상 (조선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eavy snowfall event over the eastern part of Seoul, Korea on Mar. 04, 2008 has been abruptly occurred after the frontal system with the heavy snowfall event had been past over the Korean peninsula on Mar. 03, 2008. Therefore, this heavy snowfall event couldn't be predicted well by any mean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국지 분석 시스템 (KLAPS: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에 포함되어 있는 구름 및 강수 산출 알고리즘과 온도 분석장, 여러 역학적 수치분석자료를 활용하여 강설을 분석하고, 이의 예측가능성을 판별하는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중규모 강설현상을 원격탐사와 KLAPS 수치보조분석 자료로부터 강설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 파악하는 것이다. 중규모 강설현상을 원격탐사와 KLAPS 수치보조분석 자료로부터 강설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기상연구소, 2006, 단시간 강수예측능력 향상 연구(III), 247pp 

  2.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 1994,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폭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1), 97-117 

  3. 김도우, 한상은, 임병환, 변희룡, 2005, Polar low에의한 2005년 3월 5-6일 부산 지역 폭설,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 Proceedings, 한국기상학회, 364-365 

  4. 조경미, 백은혁, 임규호, 2005, 2005년 3월 5-6일 부산 폭설사례를 통한 Polar Low의 발달 기구 모의, 한국기상학회 춘계학술대회 Proceedings, 한국기상학회, 66-67 

  5. 허기영, 하경자, 신선희, 2005, 2005년 3월 5일에 나타난 부산지역 폭설의 발달기구에 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1(4), 547-556 

  6. Fu G. et al.,2004, A Ploar Low over the Japan sea on 21 January 1997, part I : Observational Analysis. Mon. Wea. Rev., vol. 132, 1537-1551 

  7. 안중배, 오재호, 조익현, 1998, 중규모 대기/해양 집합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폭설사레 실험, 한국기상학회지, 34(4), 652-663 

  8. 이재규, 이재성, 2003, 동풍계열의 기류와 관련된 영동 폭설사례에 대한 수치모의, 한국기상학회지, 39(4), 475-490 

  9. Waldstreicher J. S., 2002, A foot of snow from a 3000-foot cloud: The ocean-effect snowstorm of 14 January 1999, Bull. Amer. Metero. Soc., Amer. Meteor. Soc., 83, 19-22 

  10. St. Jean D. and P. A. Session, 2004, Characteristics of Upslope Snowfall Events in Northem New York State and Northem Vermont: Diagnostics and Model Simulations of Several Northwest-Flow Cases, Preprints, 20th Conference on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 Seattle, W A, Amer. Meteor. Soc., CDROM, 18.4 

  11. 이훈, 이태영, 1994, 영동지역의 폭설 요인, 한국기상학회지, 30(2), 197-218 

  12. 류찬수, 이순환, 2006, 서해상의 해수면 기온 분포에 따른 폭설 강도변화에 관한 수치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대회 Proceedings, 한국지구과학회, 229-231 

  13. 류찬수, 이순환, 박철홍, 2007, 2005년 12월에 발생한 호남폭설의 발달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6(2), 1439-1449 

  14. 원효성, 이순환, 류찬수, 2005, 호남지방 고층관측자료동화가 수치기상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66-77 

  15. Ryu C. S., K. T. Shon and J. H. Lee, 2005, Statistical prediction of occurrence of heavy snow in Honam area, Korea, ISAM5 Proceeding, ISAM5 Organizing Committee, 63-65 

  16. 정성훈, 변건영, 이태영, 2006, 발생기구에 따른 한반도 강설의 유형분류, 한국기상학회, 대기, 16(1), 33-48 

  17. Shaw B. L., J. A. McGinley and P. Schultz, 2001, Explicit initialization of clouds and precipitation in mesoscale forecast models, Preprints, 14th Conf. on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Ft. Lauderale, FL, Amer. Meteof. Soc 

  18. Howard B. B., 1993, Synoptic-Dynmic Meterorology in Midlatitudes, Vol. II.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94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