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792년에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步天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ew Pochonka Published in A.D. 1792 원문보기

韓國宇宙科學會誌 =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 v.26 no.4, 2009년, pp.603 - 620  

안상현 (한국천문연구원 국제천체물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792년 조선에서 출간된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는 기존 보천가(步天歌)의 가결(歌訣)을 약간 수정하고 여기에 중국의 새로운 항성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성립된 성도(星圖)를 합하여 작성된 것이다. 기존의 조선(朝鮮) 보천가(步天歌)의 배열 순서는 송대(宋代)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랐으나, 이 보천가(步天歌)는 명대(明代) 이후의 보천가(步天歌)를 따르고 있다. 이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에서 자미원(紫微垣)은 12차(次)와 12진(辰)를 사용하여 구획하고 있고, 28숙(宿)는 3개나 4개씩 묶어서 그리되 각 그룹은 12진(辰)으로도 영역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28숙(宿)의 가결(歌訣)에는 기존의 조선 성도(星圖)들과 마찬가지로 황도십이궁을 채용하고 있다. 각 성도(星圖)는 그 적경 범위 안에 들어있는 모든 별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 원(垣)이나 숙(宿)에 소속된 별자리만을 그렸다. 이 보천가(步天歌)는 의상지(義象志)를 활용했고, 그 주석(注釋)과 비슷한 내용을 1700년 무렵의 중국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문헌들은 1709년에 동시에 조선으로 수입되었다. 우리는 피휘, 참숙(參宿)와 자숙(宿)의 도치, 그리고 1791년에 운관절목(雲觀節目)을 개정할 때 기존의 보천가(步天歌)를 대신하여 이 보천가 취재(取才)에 사용된 사설 등으로부터 우리는 이 보천가(步天歌)의 작성 시기를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1792년에 출간된 보천가(步天歌)의 성도(星圖)와 주석(注釋)은 그 모본(母本)에 해당하는 것이 중국에서 작성되어 1709년에 조선으로 수입되었고, 1709년과 1791년 사이에 새로운 보천가(步天歌)로 작성되어 사용되다가, 1792년에 출간되었다고 추론하였다.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연구에 대해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w Pochonka published in the eighteenth century of the Choson dynasty was composed of star-charts based on the new observations made by Jesuits in China and songs corrected a little bit from previous version of Pochonka. The asterisms in the previous Pochonka are listed in the same order to that in...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김일권 2007,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서울: 예문서원) 

  2. 成周悳 1818, 書雲館志 (서울: 觀象監) 

  3. 안상현 2000,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별자리 (서울 : 현암사), p.26 

  4. 안상현 2009, 한국우주과학회지, 26, 589 

  5. 안영숙 2000, 한국천문학회지, 33, 177 

  6. 이기원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29, 98 

  7. 이은성 1985, 역법의 원리분석 (서울 정음사), pp.338-339 

  8. 田蘭玉 2005, 中國語文學論集, 33, 129 

  9. 전용훈 2002, 동방학지, 117, 1 

  10. 전용훈 2004,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1. 정성희 2005, 조선시대 우주관과 역법의 이해 (서울: 지식산업사), p.27, p.114 

  12. 한국천문학사 편찬위원회 1999, 한국천문학사 연구 (서울: 녹두), pp.270-281 

  13. 潘내 198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14. 潘내 2009, 中國恒星觀測史 (上海: 學林出版社) 

  15. 石雲里 1998, 中國科技史料, 19, 69 

  16. 周曉睦 2004, 步天歌硏究 (北京: 中國書店) 

  17. 祝平一 2009, 奎章閣, 34, 2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