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appiness Scale for School-aged Korean Children" (HSSKC). Participants consisted of 2,528 children who were chosen from six places, namely: Seoul, Gyeonggi, Chungnam, Jeonnam, Gyeongnam, and Gangwon. The province of Jeju-do was not included. The study as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사이의 아동을 대상으로 행복감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3학년부터 연구대상에 포함시킨 이유는 3학년 이후의 아동은 발달적으로 자신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시기라는 보고(Harter, 1982)가 있고, 자기 보고식 평가 및 지필 평가 방법에 익숙하다는 점에 근거하였다.
  • 첫째, 행복감 척도를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구성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한상황에서 초등학생의 행복감의 요인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행복감 척도를전국적인 표집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표집의 대표성을 갖게되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의 가능성을 높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행복감 척도를 개발한 만큼 한국의사회문화 맥락을 척도구성 시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아동의 행복감을 좀 더 타당하게 수집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두고자 한다.
  • 3학년부터 연구대상에 포함시킨 이유는 3학년 이후의 아동은 발달적으로 자신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시기라는 보고(Harter, 1982)가 있고, 자기 보고식 평가 및 지필 평가 방법에 익숙하다는 점에 근거하였다. 또한 전국적인 표 집과정을 통해 척도에 대한 표집의 대표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행복감 척도 개발 과정에서 표집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은 개발된 척도의 사용을 일반화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를개발하고, 행복감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같다.
  • 행복감 척도 개발 과정에서 표집 대상의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은 개발된 척도의 사용을 일반화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를 통해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아동이 가지는 행복감의 구성요인을 탐색하여 추후 타당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강영하(2008). 초등학생의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교육연구. 21(2), 159-177 

  2. 곽금주(1995).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3. 구재선.김의철 (2006). 심리적 특성, 생활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18 

  4. 김도란.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5. 김명소.김혜원.한영석.임지영(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6. 김연화(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7. 김창대(2007). 왜 행복인가?: 불행의 심리학에서 행복의 심리학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대외 심포지엄: 행복의 재발견, 16-31 

  8. 김희중(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남인숙(2007). 행복감에 대한 소고. 사회이론. 봄/여름. 217-321 

  10. 류광식(200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가정생활 만족도 및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1. 서은국(2007). 우리사회 행복의 현주소: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한국상담심리학회 대외 심포지엄: 행복의 재발견, 43-50 

  12. 신득렬(2000). 행복과 교육. 교육철학, 18, 191-208 

  13. 신명덕(2007).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신지연.정태연.전경숙(2007). 대학생의 행복요인 탐색과 척도 개발. 200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12-413 

  15. 이수정.안신호(2005).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심리과학연구. 4, 123-234 

  16. 이정미.이양희(2005).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검사 (K-MSLSS)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2), 121-137 

  17. 이정미.이양희(2008).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검사 (K-MSLSS)의 타당도 연구. 아동학회지. 29(4), 249-268 

  18. 이정화(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조선일보(2007. 11. 27). 초등학생 셋중 둘, 학원·개인과외 이용. http://www.chosun.com/cp/edaily/200711/27/20071127000198.html에서 2008년 5월 18일 인출 

  20. 조성연.신혜영.최미숙.최혜영(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지. 30(2), 129-140 

  21. 한겨레(2008. 11. 28). 요즘 초등학생들 얼마나 행복할까.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24678.html 

  22.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23. Burt R. S (1986). Strrangers, friends and happiness(GSS technical report NO. 72). Chicago: 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 

  24. Cameron, P. (1995). Mood as an indicant of happiness: Age, sex, social class, and situational dif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ist, 31, 117-124 

  25.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Y.: Russel Sage Foundation 

  26. Csikszentmihalyi, M. & Wong, M. M. (1991). The situational and personal correlates of happiness: a cross-national comparison.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 (E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 193-212). Oxford: Pergamon Press 

  27. Cohen, S. (1988). Psychological models of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etiology of physical disease. Health Psychology, 7, 269-297 

  28.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29. Diener, E.(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30. Diener, E., & Diener, M. (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653-663 

  31.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32.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3. Emerson, R. A., & Diener, E(1985). Personality correlate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1, 89-97 

  34. Fordyce, M. W. (1985). A program to increase personal happiness: More studies. Edison Drive Piqua, Ohio: Edison Community College 

  35. Harter, S.(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53, 87-97 

  36. Holder, M. D., & Coleman, B. (2008). The contribution of temperament, popularity, and physical appearance to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2), 14, 279-302 

  37.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38. Park, N.,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3), 323-341 

  39.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 Rosenberg, F. (1995).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141-156 

  40. Rubin, K. H., Bukowski, W., & Parker, J.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 and groups. In W. Damon & R.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N.Y.: Wiley 

  41.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42. Seligman, M.,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43. Snyder, C. R. & Lopez, S. J.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44. Veenoven, R. (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Strack, F., Argyle, Argyle, M., & Schwarz N. (Eds). Subjective Well-being (pp. 7-26). Oxford: Pergamon Press 

  45. Vitrano, C.(2006). The Structure of Happ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ity Univ. of 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