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imulate surface air pollutants and to examine reliability of mobile emission for CMAQ system using an observation-based approach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ccurate assessment of emissions from mobile source is one of the most debatable parts in the entire 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여러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VOCs 및 CO 배출량의 저평가 가능성 (하용선, 2006; 장명도, 2004)과 NOX 배출량의 과대평가 가능성 (KEI, 2007) 을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기 중 오존생성 전구물질인 NO* VOCs 등의 배출기 여도가 크고 불확실성이 높은 이동오염원을 중심-으로 배출량 조정에 따른 오존 예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연구의 배출량 조정 시나리오는 Vivanco and Andrade (2006) 연구를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기정책수립에 중요한 도구가 되는 대기 질 모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농도 오존 사례를 토대로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NO*와 VOCs 배출량의 적절한 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측값을 활용한 오존 전구물질의 배출량 조정이 광화학 수치모델을 이용한 오존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기질 모델의 신뢰성 향상 방안을 제고해 보았다.
  • 본 연구는 MM5-SMOKE-CMAQ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한 수도권 대기질 예측평가 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모델링 입력 자료인 배출량자료의 조정함으로써 예측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배출량 조정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기존 연구의 이동오염원 부문 CO 배출량 저평가 가능성을 토대로 CO 배출량 조정비를 5배로 산정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기질 모델링 적용을 위한 배출량 입력 자료의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의 여러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VOCs 및 CO 배출량의 저평가 가능성 (하용선, 2006; 장명도, 2004)과 NOX 배출량의 과대평가 가능성 (KEI, 2007) 을 언급한 바 있다.
  • 따라서 광화학 수치 모델을 이용한 대기질 모사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입력 자료의 신뢰성 제고와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기정책수립에 중요한 도구가 되는 대기 질 모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농도 오존 사례를 토대로 대기오염자동측정망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NO*와 VOCs 배출량의 적절한 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측값을 활용한 오존 전구물질의 배출량 조정이 광화학 수치모델을 이용한 오존예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기질 모델의 신뢰성 향상 방안을 제고해 보았다.
  • 지금까지 배출량 조정 에 따른 NO” VOCs 종별 대기오염도 변화를 통해 예측 정확도 개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배출량 조정에 따른 오존 농도의 모사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고농도오존 예측 결과의 개선여부를 95퍼센타일 농도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립환경과학원(2007)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2005, 환경부 

  2. 김득수(2001) 챔버를 이용한 농작지로부터의 기체배출량 측정과 배출특성연구: 일산화질소(NO)와 아질산 가스(N2O)의 배출량 산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2), 203-212 

  3. 김영하(2005) 배출량 변화에 따른 CMAQ의 오존 농도 모사에 대한 민감도 분석, 강원대학교 

  4. 김정수, 정동일, 홍지형, 김대곤, 김지영, 반수진, 박상남, 이용미, 최은경(2006) 수도권 대기질 예측평가에 필요한 모델 입력시스템 개발, 국립환경과학원 

  5. 김지영, 김정수, 홍지형, 정동일, 반수진, 이용미 (2008) SMOKE 모델의 입력 모듈 변경에 따른 영향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3), 284-299 

  6. 김현구, 이자명, 김인호(2002) 면/이동오염원 배출량 공간 할당에 대한 연구, 포항산업과학연구원 

  7. 이종범, 김영하(2004) 배출량 변화에 따른 CMAQ의 오존농도 모사에 대한 민감도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47-249 

  8. 장명도(2004) 광화학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 오존농도의 시공간 거동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9. 정용승, 정재섭(1991) 서울 수도권 지역의 광화학오존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3), 169-179 

  10. 조규탁(2005) 자동차 평균통행속도 적용방식에 따른 대기 오염 배출량 비교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4), 401-411 

  11. 조용성, 전의찬(2005) 서울시민의 오존오염에 대한 인식 및 의사결정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1(2), 205-213 

  12. 하용선, 구윤서, 김성태(2005) 광화학모델링을 위한 배출량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005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41-242 

  13. 하용선(2006) 광화학 모델을 위한 배출량 검증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14. 환경부(2008) 인천지역 항만시설, 선박, 항공기, 공항시설에서의 배출량 산정과 영향 분석 및 저감대책 마련연구, 환경부 

  15. Byun, D.W. and J.K.S. Ching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EPA-600.R-99/030,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6. Dudhia, J. (1993) A nonhydrostatic version of the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Validation tests and simulationof an Atlantic cyclone and cold front, Monthly Weather Review, 121, 1493-1513 

  17. Dudhia, J. (1996) A multi-layer soil temperature model for MM5, The Sixth PSU/NCAR Mesoscale Model Users' Workshop, Boulder, Colorado, 49-50 

  18. Fujita, E.M., B.E. Croes, C.L. Bennett, D.R. Lawson, F.W. Lurmann, and H.H. Main (1992) Comparison of emission inventory and ambient concentration ratios of CO, NMOG and NOx in California's South coast air basin,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42, 264-276 

  19. Grell, G.A., J. Dudhia, and D.R. Stauffer (1995) A Description of the Fifth-Generation Penn State/NCAR Mesoscale Model (MM5). NCAR/TN-398+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lorado, 107 

  20. Kim, S.T., N.K. Moon, and D.W. Byun (2008) Korea Emissions Inventory Processing Using the US EPA's SMOKE System,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1), 34-46 

  21.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07) Air Quality Modeling System I- Development of Emissions Preparation System with the CAPSS, KEI 

  22. Vivanco, M.G. and M.F. Andrade (2006) Validation of the emission inventory in the Sao Paulo Metropolitan Area of Brazil, based on ambient concentrations rati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