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feness of Work Environment in Manufacturing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4 no.5, 2009년, pp.77 - 83  

권오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the one with the most frequent industrial disasters, and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safety climate recognized by workers in the industry in order to actively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safety climate in workplac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모형은 Griffin & Neal기에 의해서 개발되어 호주의 병원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검증된 것으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국내 제조업 종사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작업환경안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활용하였다. 연구모형은 비교적 보수적인 기준의 적합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어(j = 207.
  • 홍보활동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근로자가 체감하고 있는 작업환경 안전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모형은 Griffin & Neal기에 의해서 개발되어 호주의 병원근무자들을 대상으로 검증된 것으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
  • 본 연구에서는 Griffin & Ne妒의 연구모형과 변수들을 기반으로 작업환경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하여 설문조사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 안전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 안전 분위기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요소들(커뮤니케이션, 안전지원환경, 안전능력, 안전참여도, 관리자 몰입, 작업압박, 작업위해평가)을 관리자들이 인지하고 관리한다면 작업현장의 안전분위기를 높일 수 있고 안전 분위기가 고조되면 작업자들의 안전행동을 유도하여 현장에서 안전성과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 연구 결과로 화학공장 근로자 2, 536명(유효표본 1, 806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안전 분위기의 8가지 구성요소들은 사고율과 부(-)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근로자의 자격수준과 연령이 높고, 근무경력(경험)이 오래될수록 안전 분위기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검증하였다. Gyekye & Salminen'。은 현장근로자들이 작업장 안전을 인식하는데 개개인의 교육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점에 착안하여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던 근로자의 안전인식과 교육수준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설문구성은 Hayes et 乳可의 작업장 안전측정(Workplace Safety Scale)에서 횔용된 5개 분야, ① 작업안전(Work Safety), © 직장동료 안전(Cowarker Safety), ③ 관리감독자 안전(Supervisor Safety), ④ 경영층의 안전실천(Management Safety Practices), ⑤ 안전프로그램(Safety Programs) 등으로 구성된 50개 측정항목을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업 중에서 해마다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싱■으로 Griffin & Neal2) 의 연구에서 활용된 안전성과요인(안전지식, 안전동기, 안전순응, 안전참여)이 근로자가 느끼는 작업환경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그 관계를 밝혀 근원적인 산업재해방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안전지식(Safety Knowledge)^-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안전지식 (Safety Knowledge)은 안전참여 (Safety Participa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안전동기(Safety Motivation)는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안전동기 (Seffety Motivation)는 안전참여 (Sa企ty Participa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안전순응(S彼ty Compliance)은 안전참여(S疵或 Participa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은 작업환경안전 (Safeness of Work Environment)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안전참여(Safety Participation)는 작업환경 안전(Safeness of Work Environment)0]]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8년 4/4분기 산업재해발생보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 

  2. Griffin, M. A., and Neal, A.,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5, No.3, pp. 347-358, 2000 

  3. Mearns, K., Flin, R., Gordon, R., Fleming, M., 'Measuring safety climate on offshore installations', Work and Stress, Vol. 12, pp. 238-254,1998 

  4. Guldenmund, F.W.,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Safety Science, Vol. 34, pp. 215-257, 2000 

  5. Zohar, D.,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5, No. 1, pp. 96-101, 1980 

  6. Gillen, M., Baltz, D., Gassel, M., Kirsch, L., and Vaccaro, D., 'Perceived safety climate, job demands, and coworker support among union and nonunion 

  7. 안관영, '안전분위기와 안전성과의 관계 및 연령의 조절효과', 한국안전학회지, 제20권, 제4호, pp. 122-129, 2005 

  8. 최수일, 김홍, '건설현장의 안전 분위기와 작업자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1권, 제5호, pp. 60-71, 2006 

  9. 정낙정, 김홍, '한국 반도체관련 산업의 사업장 안전분위기와 근로자들의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3권, 제2호, pp. 57-64, 2008 

  10. Mohamed, S., 'Safety climate in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128, No.5, pp. 375-384, 2002 

  11. Vinodkumar, M.N. and M. Bhasi, 'Safety Climate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cidents and personal attributes in the chemical industry', Safety Science, Vol. 47, pp. 659-667, 2009 

  12. Gyekye, A. S., Salminen, S., 'Educational status and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Does educational attainment influence workers' perceptions of workplace safety?', Safety Science, Vol. 47, pp. 20-28, 2009 

  13. Hayes, B., Perander, J., Smecko, T., Trask, J., 'Measuring perceptions of workplace safe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 Safety Scale',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29, pp. 145-161, 1998 

  14. Anderson, lC. and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3, No.3, pp. 411-423, 1988 

  15. Nunnally, Psychological Theory, 2nd, McGraw-Hill, 1978 

  16. Hair, J. E. Jr., R.E. Anderson, R.L. Tatham, and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Fifth Edition, Prentice-Hall International Inc., 1998 

  17.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2판, 학현사, 2001 

  18. Fornell, C. and D.F. Larcker, 'Eve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c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No. 18, pp. 39-50,1981 

  19. Hayduk, L.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Essentials and Advanc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20. Hoelter,J. W,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goodness-of-fit indices',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 11, pp. 325-344, 1983 

  21. Hu, L.T. and Bentler, P.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n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quation Modeling, Vol. 6, No.4, pp. 87-114, 1995 

  22. Scott, J., 'Th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s effectiveness: evaluating a measuring instrument', Proceeding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rmation Systems, Vancouver, BC, pp. 111-128, 1994 

  23. Joreskog, K. G. & D. Sorb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Chicago: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