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crucial industries, the service industry occupies a large part of economy in Korea poor in natural resources. However, prevention of industrial disasters has been promoted mainly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where the frequencies of such disasters and victims are high. R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비스업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장 안전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안전지식, 안전동기, 안전태도, 안전순응, 안전참여 그리고 작업환경안전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확인에는 구조방정식모형에 근거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Griffin & Neal(2000)»과 권오준 (2009沪의 연구에서 활용된 안전분위기 평가 모형을 기반으로 근로자가 느작업환경 안전에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보다 계획적이고 산업안전 보건업안전보건 정책이 전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측정 도구 간의 상관을 확인하고자 판별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검증에는 평균 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의 제곱근을 이용하였다(Staples et al.

가설 설정

  • H1 안전지식(&曲y Knowledge)은 안전순응(Sag Compliance)에 유의흔]: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안전동기(Safety Motivation)는 안전순B(Sa很ty Compli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안전태도(Safety Attitude)는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안전지식(Safety Knowledge)은 안전참여(Saf的 Participa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안전동기(Safety Motivation)는 안전참여(Safg Paiticipati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안전태도(Sa伐ty Attitude)는 안전참여(Safety Participatio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안전순응(Sa:fety Compliance)은 작업환경안전 (Safeness of Woifc EnviroBnst)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안전참여(Sa花ty f*ticipat而)는 작업환경안전 (Safeness of Work Environment)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010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년 4/4분기 산업재해발생보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 연구원, 2010. 

  3. Griffin, M. A., and Neal, A.,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3, pp. 347-358, 2000. 

  4. 권오준, "제조업근로자 작업환경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 25권, 제 5호, pp.77-83, 2009. 

  5. Zohar, D.,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I.65, No.1, pp. 96-101, 1980. 

  6. Hahn, S.E., Murphy, L.R., "A short scale for measuring safety climate", Safety Science, Vol. 46, pp. 1047-1066, 2008. 

  7. Shannon, H.S., Norman, G.R., "Deriving the factor structure of safety climate scales", Vol. 47, pp. 327-329, 2009. 

  8. Clarke, S., "Contrasting perceptual, attitudinal and dispositional approaches to accident involvement in the workplace", Safety Science, Vol. 44, pp. 537-550, 2006. 

  9. Guldenmund, EW.,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Safety Science, Vol. 34,pp.215-257,2000. 

  10. 안관영, "안전분위기와 안전성과의 관계 및 연령의 조절효과", 한국안전학회지, 제 20권, 제 4호, pp.122-129, 2005. 

  11. Gyekye, A. S., Salminen, S., "Educational status and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Does educational attainment influence workers' perceptions of workplace safety?", Safety Science, Vol. 47, pp. 20-28, 2009. 

  12. 최수일, 김홍,"건설현장의 안전분위기와작업자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21 권, 제 5호, pp. 60-71 , 2006. 

  13. 정낙경, 김홍,"한국반도체관련산업의 사업장 안전분위기와 근로자늘의 안전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 23 권, 제2호, pp. 57-64, 2008. 

  14. Vinodkumar, M.N. and M.Bhasi, "Safety Climate factors and its relationship with accidents and personal attributes in the chemical industry", Safety Science, Vol. 47,pp. 659-667,2009. 

  15. Gillen, M., Baltz, D., Gassel, M., Kirsch, L., and Vaccaro, D., "Perceived safety climate, job demands, and coworker support among union and nonunion injured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Safety Research, Vol. 33, pp. 33-51,2002. 

  16. Neal, A., Griffin, MA, Hart, P.M.,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safety climate and individual behavior", Safety Science, Vol. 34, pp.90-109, 2000. 

  17. Campbell, J.P., McCloy, R.A., Oppler, S.H., Sager, C.E., "A theory of performance. In: Schmitt, J., Borman, W.C. Associate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pp. 35-69,1993. 

  18. Hesketh, B., Neal, A. Technology and performance. In: Ilgen, D, Pukalos, E., (Eds.) The Changing Nature of Work Perfonnance: Implications or Stang, Motivation, and Development. Jossey Bass, San Francisco, CA., pp. 21-55, 1999. 

  19. 김기석,박영식,"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심리학회지, 제 15권, 제1호, pp. 19-39, 2002. 

  20. Nunnally, Psychological Theory, 2nd, McGraw-Hill, 1978. 

  21. Gefen, D. Straub, D.W and Boudreau M.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4, No.7, pp. 1-77, 2000. 

  22. Steenkamp, J.B.E.M and van Trijp, H.C.M., "The Use of LISREL in Validating Marketing Constr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 8, No.4, pp. 283-299,1991. 

  23. Staples, D.S., Hulland, J.S. and Higgins, C.A., "A Self-efficacy Theory Explanation for the Management of Remote Workers in Virtual Organization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3, No.4, pp. 758-776, 1998. 

  24. Hu, L.T. and Bentler, P.M.,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n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 6, No.4, pp. 87-114, 1995. 

  25. 배병렬, AMOS 7 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07. 

  26. Joreskog, K. G. & D. Sorb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Chicago: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