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산.거제만해역 패류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위생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Area in Hansan.Geojema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2 no.5, 2009년, pp.449 - 455  

하광수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심길보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유현덕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김지회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  이태식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Hansan Geojeman area, 2,050 ha of shellfish growing area has been designated as shellfish production area for export. The main shellfish species from the designated area is oysters. For the sanitary management of the designated area established in Hansan Geojeman area, bacteriological examin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거제만해역 해수 및 패류 시료의 위생상태는 우리나라 지정해역 위생관리 기준인 수산물품질관리법 및 미국의 패류 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US FDA, 2005). 각 수역의 위생상태는 각 지점에서 3년간 채취한 36개 시료에서 분석된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의중앙값, 기하평균치, 계산된 백분위의 90번째 값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이하 90th percentile로 표기) 등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90th percentile 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 , Shigella spp. 등의 병원성세균 조사를 매월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수산물품질관리법 제 22조에 따른 지정해역관리기준 (해양수산부고시 제 2002-74호, 2002. 9. 18) 및 미국의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의 해역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관리되고 있는 지정해역이 생산된 패류의 위생 안전을 보장하는데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 해수는 지정된 조사지점에서 표층용 채수기를 이용하여 표면에서 약 10 cm 깊이에서 멸균된 채수병으로 채수하였으며, 굴은 수하연의 상층, 중층、하층의 각 1개 부착기를 채취하여 멸균된 황동솔로 부착물 등을 제거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멸균된 스텐레스 스틸 용기에 담았다. 모든 시료는 10t 이하로 유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즉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 , 1992a, 1992b)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유사균주는 API 20E kit (Biomerieux, France)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 거제만해역은 경남 거제시 남서부 해안과 통영시 한산면의 도서지역으로 둘러싸인 수역면적 약 55 厨의 폐쇄성내만이다. 이 해역 위생조사를 위하여 지정해역 및 주변해역에 배수유역의 오염원, 해류 유동상태, 지형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37개의 해수지점과 7개소의 패류채취지점을 각각 설정하여 조사기간 동안 매월 1회씩 총 36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Fig. 1). 해수는 지정된 조사지점에서 표층용 채수기를 이용하여 표면에서 약 10 cm 깊이에서 멸균된 채수병으로 채수하였으며, 굴은 수하연의 상층, 중층、하층의 각 1개 부착기를 채취하여 멸균된 황동솔로 부착물 등을 제거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멸균된 스텐레스 스틸 용기에 담았다.
  • 1). 해수는 지정된 조사지점에서 표층용 채수기를 이용하여 표면에서 약 10 cm 깊이에서 멸균된 채수병으로 채수하였으며, 굴은 수하연의 상층, 중층、하층의 각 1개 부착기를 채취하여 멸균된 황동솔로 부착물 등을 제거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멸균된 스텐레스 스틸 용기에 담았다. 모든 시료는 10t 이하로 유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즉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한산. 거제만해역 인근의 배수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으로 부터 지정해역의 위생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완충해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주변해역에는 16개 조사지점을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각 지점에 대한 세균 학적위생조사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우리나라 대표적인 굴 생산지인 한산. 거제만해역의 해수 및 서식 패류에 대하여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생균수및 Salmonella spp.

이론/모형

  • 한산. 거제만해역 해수 및 패류 시료의 위생상태는 우리나라 지정해역 위생관리 기준인 수산물품질관리법 및 미국의 패류 양식장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기준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US FDA, 2005). 각 수역의 위생상태는 각 지점에서 3년간 채취한 36개 시료에서 분석된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의중앙값, 기하평균치, 계산된 백분위의 90번째 값 (the estimated 90th percentile, 이하 90th percentile로 표기) 등으로 평가하였다.
  • 및 Shigella spp. 분석은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ndrew et al., 1992a, 1992b)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유사균주는 API 20E kit (Biomerieux, France)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rews WH, Brauce VR, June G, Satchell F and Sherrod P. 1992a. Salmonella. I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nu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7th ed.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51-70 

  2. Andrews WH, Satchell F and Sherrod P. 1992b. Shigella. I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nu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7th ed.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71-76 

  3.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1-105 

  4. Chang DS, Jeong ET, Yu HS, Lee EW and Lim SM. 1998.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1, 77- 81 

  5. Choi JD, Jeong WG and Kim PH. 1998.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Korea. J Kor Fish Soc 31, 429-436 

  6. European Commission. 2004. Regulation (EC) No 854/2004 of the European Parliamet and of the Council of 29 April 2004 laying down specific rules for the organization of official controls on products of animal origin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Official J Eur Commun, L226, 83-127 

  7. Haller D, Gill ON, Raynham E, Kirkland T, Zadick PM and Stanwell-Smith R. 1986. An outbreak of gastrointestinal illnes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raw depurated oysters. Br Med J 292, 1726-1727 

  8. Jensen ET. 1996. Shellfish and public health. J Milk and Food Tech 19, 281-283 

  9. Kim SJ. 1974. Sanitation survey of shellfish growing area on West Fowl river estuary, Mobile, Alabama. Bull Korean Fish Soc 7, 145-162 

  10. Kwon JY, Park KBW, Song KC, Lee JH, Park JH, Kim JD and Son KT. 2007. Evaluation of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a shellfish-growing area in Kamak Bay, Korea. J Fish Sci Technol 11, 7-14 

  11. Lipp EK and Rose JB. 1997. The role of seafood in the foodborne 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v Sci Technol Off Int Epizoot 16, 620-640 

  12.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a. Annual Report of Korean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for 2007.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3-5 

  13. MIFAFF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b. Korean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7-9 

  14. MOMA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2. Sanitary Criteria of Producing, Processing Facilities and Seawater Area for Fisheries Product. The Notification of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Article 2002-74 

  15. Park JH. 1990. Bacteriological quality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association with rainfall in Kamakman. M.S. Thesis. National Fish. Univ. of Pusan. Pusan, Korea 

  16. Sherwood HP. 1952. Some observations of the viability of sewage bacteria in relation to self-purification of mussels. Proceeding of Soc for Appl Bact 15, 21-28 

  17.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J Kor Fish Soc 41, 155-162 

  18. US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for Molluscan Shellfish. II. Growing Area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199-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