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0 no.6 = no.52, 2009년, pp.127 - 134
김경주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경민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상규 (중앙대학교 토목공학과)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ptimal model for the layout of multiple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s which have multiple candidate positions. In a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the positional allocation of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 has an effect on the travel time of material ha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양중 계획은 어떠한 작업들에 의해 수행되는가? | 일반적으로 양중 계획은 공정표에 의한 개략적인 양중부하계산, 개략 타워 크레인 기종 결정 및 타워 크레인 대수 산정, 타워 크레인 위치 결정 등의 작업에 의해 수행된다(김정진, 2002). 양중 계획 중 선행 분석과정, 즉 구조물의 특성 및 공정 계획, 현장 특성 등에 따른 양중 부하계산, 타워 크레인 기종 및 대수 산정 등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결과 및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 |
타워 크레인의 최적위치 결정은 어떠한 요소들에 영향을 받는가? | 타워 크레인의 최적위치 결정은 현장 내에 존재하는 자재 종류별 다양한 야적 후보지점과 기자재가 설치될 지점, 다수의 타워 크레인 설치 후보지점, 타워 크레인 간 충돌예방을 위한 최소간격 등 다양하고 복잡한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타워 크레인을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후보지점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자재 야적 후보지로부터 자재 설치지점까지의 운반시간 최소화를 지원하는 여러 대의 타워 크레인 위치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
타워 크레인의 위치 최적화을 위한 기존의 연구들은 어떠한 한계점을 가지는가? |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타워 크레인의 위치와 자재 야적지점, 자재 야적지점간의 다양한 경쟁관계를 무시했던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Tam et al (2001)은 한 대의 타워 크레인에 대한 타워크레인 위치 및 주변의 자재 야적지점을 최적화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김정진 (2002), 초고층 건축공사의 양중계획 시스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인성 (1985), 초고층 건축의 양중계획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Gray, C., and Little, J. (1985).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crane for a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3, pp. 121-144
Jenkins, W. M. (1997). 'On the application of natural algorithm to structural design optimization.' Engineering Structures, 19(4), pp. 302-308
Koumousis, V. K., and Georgiou, P. G. (1994). 'Genetic algorithms in discrete optimization of steel truss roof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8(3), pp. 309-325
Leu, S. S., and Yang, C. H. (1999). 'A genetic-algorithmbased resource constrained construction scheduling system.'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7(6), pp. 767-776
Li, H., and Love, P. E. D. (1988). 'Site-level facilities layout using genetic algorithm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12(4), pp. 227-231
Rodriguez-Ramos, W. E., and Francis, R. L. (1983). 'Single crane location optimiz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09(4), pp. 387-397
Tam, B. M., Tong, Thomas K. L., and Chan, Wilson K.W. (2001) 'Genetic Algorithm for Optimizing Supply Locations around Tower Cran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7(4), pp. 315-321
Zhang et al. (1999). 'Location Optimization for a Group of Tower Cran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25(2), pp. 115-12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