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프장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에 대한 미생물 분해성 평가
Assessment of Microbial Decomposition in Soil Organic Matter Accumulation with Depth in Golf Gree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4, 2009년, pp.64 - 71  

허근영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  김인혜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중적인 이용이 이루어지는 모래 기반의 잔디 근권부에 과도한 유기물의 집적은 잔디 생육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골프장 그린에서 유기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이용하여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에 대한 미생물 분해를 평가하고 통기성 개선 및 돌로마이트 시용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조성 후 5년과 30년 경과한 그린의 토심 0~5cm, 5~10cm, 10~15cm 토양층에서 3반복으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토양미생물 호흡량과 탈수소효소 활성이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되었다. 그 후에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을 4개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무처리한 대조구, 돌로마이트를 처리한 실험구, 토심 0~5cm 토양층을 제거한 실험구, 토심 0~5cm 토양층 제거 후 돌로마이트 처리한 실험구를 조성하였다. 처리 후 1, 2, 4주일 경과 후에 앞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하게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분석하였다. 토심 0~5cm 토양층에서 토양 유기물 집적은 코어링과 같은 집약적인 관리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지만 토심 5cm 이하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증가함으로 지속적으로 토양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유기물에 대한 토양미생물의 분해는 토양 유기물 집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이지만,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은 현저히 낮게 나타나고 통기성 개선과 돌로마이트 시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코어링과 같은 통기성 개선 작업들과 돌로마이트 시용은 조성 후 오랜 기간이 경과한 그린의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미생물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cessive soil organic matter (SOM) is detrimental to turfgrass quality when used intensively in sand-based root zones, thereby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turfgrass systems. As part of a major project examin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OM on golf greens, microbial decomposition on soil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골프장에서 유기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토양미생물의 호흡량 분석을 통하여 골프장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을 평가하고 통기성 개선 및 돌로마이트 시용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유기물의 변화는 매우 느리게 발생하며, 그리고 연간 변화는 매우 적기 때문에 토양에서 단지 유기물만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년간 그리고 수십 년간 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지만(Qian and Follett, 2002), 토양미생물 호흡량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골프장 그린 내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을 평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집중적인 이용이 이루어지는 골프장 그린 및 티, 스포츠 잔디경기장과 같은 모래 기반의 잔디 근권부에 과도한 유기물이 집적되는 것은 잔디 생육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골프장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골프장 그린에서 유기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미생물의 호흡량 분석을 통하여 골프장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의 집적 및 분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06μg CO2/g DM 24h의 호흡량을 나타냈으며, 토심이 깊은 쪽으로 내려가면서 급격하게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토심 0~5cm와 5~10cm 사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그림 4 참조). 토양 유기물 함량에 대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토심별로 구분하여 상호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림 5와 같이 토양 유기물 함량 측정값을 x축에 놓고 그에 대응하는 토양미생물 호흡량 측정값을 y축에 위치시킨 결과에서 토심 5~10cm와 10~15cm 토양층은 토심 0~5cm 토양층과 비교하여 유기물 함량에 대한 토양미생물 호흡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토심 10~15cm 토양층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디 생육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집중적인 이용이 이루어지는 모래 기반의 잔디 근권부에 과도한 유기물의 집적은 잔디 생육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골프장 그린에서 유기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이용하여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에 대한 미생물 분해를 평가하고 통기성 개선 및 돌로마이트 시용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토양 유기물 관리가 스포츠 잔디 관리에 있어 중요한데, 이와 관련된 미국의 예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이유로 토양 유기물 관리는 스포츠 잔디 관리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며, 특히 골프장 그린 관리의 핵심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에 그린 조성 후 15~20년이 경과하면 심지어 미국골프협회가 추천하는 공법으로 조성된 그린들도 재조성(rebuild)되어야 하며, 그 비용은 18홀 기준으로 대략 6.8억 원이고 공사 중에 대략 9~10개월 정도를 휴장하여야 한다고 하는데, 그 주요 원인들이 유기물 집적에 의해서 야기된 것이라고 한다(White, 2006).
스포츠 잔디 관리자들이 유기물 함량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근거는 무엇인가? 스포츠 잔디 관리자들은 토양 중 유기물 함량에 대하여 각별한 관심을 가지는데, 토양 유기물의 변화는 골프장 그린 및 티, 스포츠 잔디경기장과 같은 집약적으로 관리되는 모래 기반 근권부의 통기성, 보수성, 투수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Qian and Follett, 2002). 일반적인 유기물의 긍정적인 영향들도 중요하지만, 스포츠 잔디에서 과도한 유기물 집적은 수분 침투력 감소, 뿌리 발달 장애, 내한성 감소, 병균의 피해 발생 증가, 살균제 효과 감소 등을 유발시킨다(McCart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상재, 심경구, 허근영(2000) 한국의 골프 코스 그린의 관리 및 스피드 특성과 상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8(4): 29-43 

  2. 정종배, 양재의, 김길용, 김계훈, 김정규, 사동민, 서장선, 본보균, 엄기철, 이상은, 정광용, 정덕영, 정연태, 현해남(2006) 토양학. 서울: 향문사 

  3. 허근영, 고병구(2008) 골프장 그린에서 토심별 유기물의 경시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6(3): 21-28 

  4. Chandler, K. and P. C. Brooks(1991) Is the dehydrogenase assay invalid as a method to estimate microbial activity in copper contaminated soil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23(10): 909-915 

  5. Engel, R. E. and R. B. Alderfer(1967) The effect of cultivations, lime, nitrogen and wetting agent on thatch development in 1/4-inch bentgrass turn over a 10-year period. New Jerse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 818: 32-45 

  6. Heiri, O., A. F. Lotter and G. Lemcke(2001) Loss on ignition as a method for estimating organic and carbonate content in sediments: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results. Journal of Paleolimnology 25: 101-110 

  7. Hooker, M.(2006) Effect of pH on sports turf soils. New Zealand Turf Management Journal 21(3): 16-17 

  8. Huff, D.(1998) The case for Poa annua on golf course greens. Golf Course Management 66(10): 1-3 

  9. Huh, K. Y., M. Deurer, S. Sivakumaran, K. McAuliffe and N. S. Bolan(2008) Carbon sequestration in urban landscapes: the exampkle of a turfgrass system in New Zealand. Australian Journal of Soil Research 46: 610-616 

  10. Koshy, T. K.(1968) Evolutionary origin of Poa annual L. in the light of karyotypic studies. Canadian Journal of Genetics and Cytology 10:112-118 

  11. Ledeboer, F. B. and C. R. Skogley(1967) Investigations into the nature of thatch and methods for its decomposition. Agronomy Journal 59:320-323 

  12. McCarty, L. B., M. F. Gregg, J. E. Toler, J. J. Camberato and H. S. Hill(2005) Minimizing thatch and mat development in a newly seeded Creeping Bentgrass golf green. Crop Science 45: 1529-1535 

  13. Mills, T., B. Arnold, S. Sivakumaran, G. Northcott, I. Vogeler, B. Robinson, C. Norling and D. Leonil(2006) Phytoremediation and longterm site management of soil contaminated with pentachlorophenol (PCP) and heavy metal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9:232-241 

  14. Murdoch, C. L. and J. P. Barr(1976) Ineffectiveness of commercial microorganism inoculum in breaking down thatch in common bermudagrass in Hawaii. HortScience 11:488-489 

  15. Murray, J. J. and F. V. Juska(1977) Effect of management practices on thatch accumulation, turf quality, and leaf spot damage in common Kentucky bluegrass. Agronomy Journal 69: 365-369 

  16. Neylan, J.(2004) Maintenance of Poa annua putting greens and tees. New Zealand Turf Management Journal 19(1): 4-11 

  17. Ohlinger, R., T. Beck, B. Heilmann F. Beese(1996) Soil respiration. In F. Schinner, R. Ohlinger, E. Kandeler, and R. Margesin, eds., Methods in Soil Biology. Berlin: Springer-Verlag. pp. 93-110 

  18. Qian, Y. and R. F. Follett(2002) Assessing soil carbon sequestration in turfgrass systems using long-term soil testing data. Agronomy Journal 94: 930-935 

  19. Smiley, R. W. and M. M. Craven(1978) Fungicides in Kentucky bluegrass turf: effects on thatch and pH. Agronomy Journal 70:1013-1019 

  20. Sprague, H. B. and G. W. Burton(1937) Annual bluegrass(Poa annual L.) and its requirements for growth. New Jerse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etin 630: 1-24 

  21. Tabatabai, M. A.(1982) Soil enzymes. In A.L. Page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Agronomy Monography, No. 9(2nd ed.). Wisconsin: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pp. 903-946 

  22. Taylor, R., B. Wilson, M. Mills and R. Burns(2002) Comparison of microbial number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surface soil and subsoil using various technique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4: 387-401 

  23. Waddington, D. V.(1992) Soil, soil mixtures, and soil amendments. In D. V. Waddington, R. N. Carrow, and R. C. Shearman, Turfgrass. Agronomy No. 32. Wisconsin: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pp. 331-383 

  24. White, B.(2006) Rebuild or Resurface. Green Section Record 2006 January-February: 1-6 

  25. White, R. H. and R. Dickens(1984) Thatch accumulation in bermudagrass as influenced by cultural pracices. Agronomy Journal 76:19-22 

  26. Wood, A.(2005) Getting smarter with your thatch control and renovations. New Zealand Turf Management Journal 20(3): 19-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