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Style-Innovation Attributes of Fashion Adoption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3 no.10, 2009년, pp.1564 - 1574  

전대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이은영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fashion innovativeness and style-innovation attributes of young female adults in fashion adoption. Date collecting using a written survey instrument yielded 801 complete responses from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20 and 39. A factor analysis on style-inno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또한 유행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들이 인지하는 혁신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패션기업이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된 혁신속성의 역할을 이해하고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에 기초한 패션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행혁신성을 통해서 패션 수준에 따른 소비자의 분포를 살펴보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유행스타일의 혁신속성을 통해서 유행 스타일의 채택에서 소비자가 중요하게 평가하는 속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유행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들이 인지하는 혁신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지각된 위험은 유행스타일 채택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사회 심리적 위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따라서 일반상품, 기능성 의류상품에 대한 인지된 혁신속성의 내용을 통해 유행 스타일에 대한 인지된 혁신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스타일 혁신속성으로 개념화하여 유행채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한다. 또한 유행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형화된 집단들이 인지하는 혁신속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패션기업이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된 혁신속성의 역할을 이해하고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에 기초한 패션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스타일 혁신속성을 확인하고자 면접조사를 통해 문항을 개발하였고, 유행혁신성이라는 소비자 변수와 함께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스타일 혁신속성에 관한 문항을 보완하고, 유행혁신성 이외에 소비자의 유행채택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포함하여 유행채택에 관한 연구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스타일 혁신의 관점에서 패션 상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유행스타일을 대상으로 6가지 인지된 혁신속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상대적 이점은 새로운 유행스타일을 통해 사회적 자아인 개인이 얻는 포괄적인 혜택으로 보았고, 적합성은 유행 스타일의 적절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으로 스타일의 사회적 확산과 채택의 개별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적합성과 개인적 적합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신소재 개발 혹은 기술적으로 새로운 기법을 통해 패션상품의 새로운 스타일이 출현하여 새로운 유행을 이끌거나, 기술적 변화를 수반하지 않더라도 소비자의 인식 속에 상징적 의미로써 기존패션 상품의 스타일과 차별화되어 새로운 유행 경향을 표현할 수 있다면 패션에서의 혁신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행 변화의 중심인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유행혁신성과 스타일 혁신속성이 유행채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특히 자신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거나 자기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는 것과 같이 새로운 유행스타일이 제공하는 사회적 효용에 대해서 높이 평가하였다. 반면에 유행혁신성 하집단의 경우, 새로운 유행스타일이 제공하는 효용을 인정하지 않고, 새로운 유행스타일이 사회적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새로운 유행 스타일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등 유행에 무관심하거나 회의적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스타일 혁신속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영기. (1998). 인지방식의 혁신성과 혁신제품의 특성지각 이 혁신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김선희. (2007).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에 대한 고찰(제1보)-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5(5), 875-887 

  3. 김한나, 이은영. (2000).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341-1352 

  4. 박경애. (1987). 패션확산 전략에 개성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개성, 패션혁신성, 의견선도력간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박경애. (2000). 진기함 추구성향이 패션혁신행동과 대인영향력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4(2), 257-265 

  6. 배정주. (1989).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성희원, 전양진. (2005). 국내 골퍼들의 햇빛차단 행동 및 자외선차단 의복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29(1), 189-197 

  8. 이미아. (2008). 패션상품의 채택과 확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10. 이화연. (1987). 유행선도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전대근. (2008a). 성인여성의 내재적 혁신성이 관여와 유행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11), 1739-1749 

  12. 전대근. (2008b). 성인여성의 유행혁신성과 구매상황요인이 유행채택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8), 109-120 

  13. 조필교, 구은영. (1996). 의복관여와 유행혁신성, 유행의견선도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223-233 

  14. 탁혜령. (2005). 웰빙 의류제품채택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홍경희, 이윤정. (2006). 혁신제품으로서의 기능성 소재 유아복의 채택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의류학회지, 30(1), 146-156 

  16. Barnett, H. G. (1953). Innovation: The basis of cultural change. New York: McGraw Hill Book 

  17. Baumgarten, S. A. (1975). The innovative communicator in the diffusion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2(1), 12-18 

  18. Citrin, A. V., Sprott, D. E., Silverman, S. N., & Stem, D. E. (2000).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00(7), 294-300 

  19. Goldsmith R. E. (2002). Some personality traits of frequent clothing buyer.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6(3), 303-316 

  20. Goldsmith R. E., & Flynn, L. R. (1992). Identifying innova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6(12), 42-55 

  21. Goldsmith R. E., & Hofacker C. F. (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3), 209-222 

  22. Hirschman, E. C. (1980).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83-295 

  23. Hirschman, E. C. (1982). Symbolism and technology as sources for the generation of innov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9(1), 537-541 

  24. Hirschman, E. C., & Adcock, W. O. (1978). An examination for innovative communicators, opinion leaders and Innovators for men's fashion apparel.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5(1), 308-314 

  25. Holak, S. L. (1988). Determinants of innovative durables adoptions: An empirical study with implications for early product screening.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5, 50-69 

  26. Holak, S. L., & Lehmann, D. R. (1990). Purchase intentions and the dimensions of innovation: An exploratory model,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7, 59-73 

  27. Ko, E., Shintaro, O., Lee, C., & Yun, H. (2009). The influences of perceived risk on attributes of smart clothing-Comparison among Korea, Spain, and 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 33(6), 893-903 

  28. Labay, D. G., & Kinnear, T. C. (1981). Exploring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in the adoption of solar energy system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8(3), 271-278 

  29. Meyers, P. W., & Frances, G. T. (1989). Defining roles for logistics during routine and radical technological innovatio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1), 73-82 

  30. Midgley, D.,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31. Ostlund, L. E. (1974).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as predictors of innova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3-29 

  32.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33.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 (5th ed.). New York: Free Press 

  34. Rothberg, R. (1981). Corporate strategy and product innovation, (2nd ed.). New York: Free Press 

  35. Schiffman, L. G., & Kanuk, L. L. (1983). Consumer behavior, (2nd 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36. Shoemaker, R. W., & Shoaf, F. R. (1975). Behavioral changes in trail of new prod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 104-109 

  37. Sproles, G. B. (1981). Analyzing fashion life cycles-principles and perspectives. Journal of Marketing, 45(4), 116-124 

  38. Sung, H. (2003). Golfers' UV exposure, health beliefs and practices and intention to adopt UV protective clot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