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의 발생 원인과 경감 방안에 대한 고찰 Review: Distribution, Lactose Malabsorption, and Alleviation Strategies of Lactose Intolerance원문보기
우유는 110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영양학적으로 완전에 가까운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 인구의 75% 정도가 유전적으로 유당을 소화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이른바 유당불내증 때문에 우유 소비를 가로막는 최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우유의 섭취 부족으로 인하여 영양소의 결핍이 초래되어 골다공증, 고혈압, 결장암의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품 중에 함유된 유당이 체내에 흡수되려면 소장내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나야 한다.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락타아제 또는 $\beta$-갈락토시다아제라 한다. 유당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포도당은 혈당이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만, 갈락토오스는 유아의 뇌조직 성분인 당지질의 합성에 이용된다. 임상적으로 유당불내증은 breath hydrogen production test로 진단할 수 있다. 유당불내증은 유럽인 25%, 히스패닉계, 인도인, 흑인 및 유대인 50~80%, 아시아인과 아메리카 인디언의 경우 거의 100%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인의 경우 유당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능력 즉,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이 북유럽 인들에게는 흔한 표현형 인 반면 그 외 지역에서는 락타아제 비지속성(lactase non-persistence) 또는 성인형 저유당분해 효소증(adult-type hypolactasia)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인간의 락타아제 유전자의 5' 말단으로부터 13910째 염기의 다혈성(C/T-139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락타아제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당불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1회분으로 한 컵 이하, 타 식품과 함께 마실 것, 탈지유보다는 전지유, 요구르트 유산균과 함께 마실 것 등이 권장되며 위배출지연도 유당불내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기존 유당불내증 진단법은 지나치게 많은 유당을 투여함으로써 유당불내증 비율이 과장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발효유 제품이나 저유당 제품을 개발하면 유당불내증으로 인한 유제품의 소비 부진을 크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유는 110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영양학적으로 완전에 가까운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 인구의 75% 정도가 유전적으로 유당을 소화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이른바 유당불내증 때문에 우유 소비를 가로막는 최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우유의 섭취 부족으로 인하여 영양소의 결핍이 초래되어 골다공증, 고혈압, 결장암의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품 중에 함유된 유당이 체내에 흡수되려면 소장내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나야 한다.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락타아제 또는 $\beta$-갈락토시다아제라 한다. 유당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포도당은 혈당이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만, 갈락토오스는 유아의 뇌조직 성분인 당지질의 합성에 이용된다. 임상적으로 유당불내증은 breath hydrogen production test로 진단할 수 있다. 유당불내증은 유럽인 25%, 히스패닉계, 인도인, 흑인 및 유대인 50~80%, 아시아인과 아메리카 인디언의 경우 거의 100%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인의 경우 유당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능력 즉,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이 북유럽 인들에게는 흔한 표현형 인 반면 그 외 지역에서는 락타아제 비지속성(lactase non-persistence) 또는 성인형 저유당분해 효소증(adult-type hypolactasia)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인간의 락타아제 유전자의 5' 말단으로부터 13910째 염기의 다혈성(C/T-139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락타아제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당불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1회분으로 한 컵 이하, 타 식품과 함께 마실 것, 탈지유보다는 전지유, 요구르트 유산균과 함께 마실 것 등이 권장되며 위배출지연도 유당불내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기존 유당불내증 진단법은 지나치게 많은 유당을 투여함으로써 유당불내증 비율이 과장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발효유 제품이나 저유당 제품을 개발하면 유당불내증으로 인한 유제품의 소비 부진을 크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ilk is called an almost complete food in terms of nutrition, especially for the younger generations because it contains a number of nutrients required for growth and development. Lactose intolerance is defined as a malabsorption of lactose in the intestine with some typical symptoms of abdominal pa...
Milk is called an almost complete food in terms of nutrition, especially for the younger generations because it contains a number of nutrients required for growth and development. Lactose intolerance is defined as a malabsorption of lactose in the intestine with some typical symptoms of abdominal pains and bloating, and occurred at 75% of global populations, which hampers milk consumption worldwide. Lacks of milk consumption i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frequently lead to many nutrients deficiencies, so that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colon cancer are more prevalent in the recent days. Lactose in foods needs to be hydrolyzed prior to intestinal absorption. The hydrolytic enzyme responsible for splitting lactose into its monomeric forms, glucose and galactose, is called as lactase or $\beta$-galactosidase. The former is primarily used as blood sugar and energy source and the latter used in glycolipid synthesis of brain tissues in infants. Lactose is clinically diagnosed with the breath hydrogen production test as well as intestinal biopsy. Reportedly, symptoms of lactose intolerance are widely prevalent at 25% of Europeans, 50 to 80% of Hispanics, South Indians, Africans, and Jews, almost 100% of Asians and native Americans. For the adults, phenotype of lactase persistence, which is able to hydrolyse lactose, is more common in the northern Europeans, but in the other area lactase non-persistence or adult-type hypolactasia is dominant. Genetic analysis on human lactase gene continued that lactase persist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err site of 139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from the 5'-end. To alleviate severity of lactose intolerance symptoms, some eating patterns including drinking milk a single cup or less, consumption along with other foods, whole milk rather than skimmed milk, and drink with live yogurt cultures, are highly recommended for the lactose maldigesters. Also, delay of gastric emptying is effective to avoid the symptoms from lactose intolerance. Frequency of lactose intolerance with conventional diagnosis is thought overestimated mainly because the subjects are exposed to too much lactose of 50 g rather than a single serving amount. Thus simple and accurate diagnostic method for lactose intolerance need to be established. It is thought that fermented milk products and low- or free lactose milks help improve currently stagnant milk consumption due to lactose intolerance which contributes to major barrier in milk marketing especially in Asian countries.
Milk is called an almost complete food in terms of nutrition, especially for the younger generations because it contains a number of nutrients required for growth and development. Lactose intolerance is defined as a malabsorption of lactose in the intestine with some typical symptoms of abdominal pains and bloating, and occurred at 75% of global populations, which hampers milk consumption worldwide. Lacks of milk consumption i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frequently lead to many nutrients deficiencies, so that diseases including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colon cancer are more prevalent in the recent days. Lactose in foods needs to be hydrolyzed prior to intestinal absorption. The hydrolytic enzyme responsible for splitting lactose into its monomeric forms, glucose and galactose, is called as lactase or $\beta$-galactosidase. The former is primarily used as blood sugar and energy source and the latter used in glycolipid synthesis of brain tissues in infants. Lactose is clinically diagnosed with the breath hydrogen production test as well as intestinal biopsy. Reportedly, symptoms of lactose intolerance are widely prevalent at 25% of Europeans, 50 to 80% of Hispanics, South Indians, Africans, and Jews, almost 100% of Asians and native Americans. For the adults, phenotype of lactase persistence, which is able to hydrolyse lactose, is more common in the northern Europeans, but in the other area lactase non-persistence or adult-type hypolactasia is dominant. Genetic analysis on human lactase gene continued that lactase persist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err site of 139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from the 5'-end. To alleviate severity of lactose intolerance symptoms, some eating patterns including drinking milk a single cup or less, consumption along with other foods, whole milk rather than skimmed milk, and drink with live yogurt cultures, are highly recommended for the lactose maldigesters. Also, delay of gastric emptying is effective to avoid the symptoms from lactose intolerance. Frequency of lactose intolerance with conventional diagnosis is thought overestimated mainly because the subjects are exposed to too much lactose of 50 g rather than a single serving amount. Thus simple and accurate diagnostic method for lactose intolerance need to be established. It is thought that fermented milk products and low- or free lactose milks help improve currently stagnant milk consumption due to lactose intolerance which contributes to major barrier in milk marketing especially in Asian countr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우유는 여러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있는 훌륭한 식품이므로 유제품을 기피하는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없다면 바람직한 일이 아닐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에 함유된 유당 소화 불량, 즉 유당불내증의 발생원인, 진단 및 경감 대책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락타아제 유전자의 5' 말단으로부터 13910째 염기의 다형성(0T-1391O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0] 락타아제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Jarvela, 2005). 생후 1달부터 20세에 달하는 아프리카인, 핀란드인, 백인 등 총 329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소장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락타아제 비지속성을 결정인자인 CYC-13910 genotype 빈도가 기존에 보고된 아프리카 흑인과 백인의 성인형 hypolactasia 빈도와 잘 일치하였다.
성능/효과
유리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존율이 향상됨에 따라서 장내 효소활성이 높은 점이 이 집단의 특징이 되었다. 그러므로 유당분해효소 지속성 현상은 목축 전통과 함께 여러 지역에서 공통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생후 1달부터 20세에 달하는 아프리카인, 핀란드인, 백인 등 총 329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소장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락타아제 비지속성을 결정인자인 CYC-13910 genotype 빈도가 기존에 보고된 아프리카 흑인과 백인의 성인형 hypolactasia 빈도와 잘 일치하였다. 대다수 8세 어린이의 경우 CYC-13910 genotype 는 매우 낮은 락타아제 활성(<10 U/g protein)과 밀접 한 관련이 있었고, 12세 어린이는 100%(93% 감도) 특이적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락타아제 비지속성을 결정인자인 CYC-13910 genotype 빈도가 기존에 보고된 아프리카 흑인과 백인의 성인형 hypolactasia 빈도와 잘 일치하였다. 대다수 8세 어린이의 경우 CYC-13910 genotype 는 매우 낮은 락타아제 활성(<10 U/g protein)과 밀접 한 관련이 있었고, 12세 어린이는 100%(93% 감도) 특이적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인의 락타아제 활성 감소가 C/C-13910 genotype 3<0.
, 2004). 핀란드인에서 발견된 락타아제유전자(LCT)의 13.9 kb 상류에 존재하는 GT polymorphisme 효소 지속성 표현형2(phenotype2)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wallow(2006)와 동료들은 아프리카 7개국의 문화가 상이한 20개 집단 총 1, 6기명을 대상으로 polymorphism 을 연구하였다.
Swallow(2006)와 동료들은 아프리카 7개국의 문화가 상이한 20개 집단 총 1, 6기명을 대상으로 polymorphism 을 연구하였다. 5개 집단에서 락타아제 지속성을 보이는 빈도는 25%로 나타났다. 카메룬에서 T allele이 발견되 었으나, 그 외 지역에서는 그 빈도가 매우 낮았다.
마찬가지로 /3 -galactosidase 활성이 4배나 차이가 나는 3종류의 요구르트를 섭취한 경우, 유당내성은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실험을 통하여 유당 18 g의 소화 불량(maldigestion) 정도를 측정한 바 요구르트 섭취 시 9.6%였고, 살균요구르트는 12.5%, 우유는 39%로 우유의 유당분해가 요구르트보다 낮았다. 요구르트 섭취 후 위장 -galactosidase : lactose 비율은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8- galactosidase 일부가 위장에서도 실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5%, 우유는 39%로 우유의 유당분해가 요구르트보다 낮았다. 요구르트 섭취 후 위장 -galactosidase : lactose 비율은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8- galactosidase 일부가 위장에서도 실활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요구르트 섭취하면 우유를 마시는 것보다 유당불내증이 완화될 수 있다.
유당을 이용하여 배양한 Bifudo-bacterium Icmgwn이 함유된 비발효우유도 호기중 수소생성을 감소시켰다. Lactobacillus acidophiluse 내산성 및 내 담즙성 실험 결과, 대체로 담즙에 대한 내성이 강하면 유당 소화 불량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와 다른 식품을 함께 섭취하면 유당 소화를 개선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유당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능력 즉,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이 북유럽 인들에게는 흔한 표현형 인 반면 그 외 지 역에서는 락타아제 비지속성(lactase non-persistence) 또는 성 인형 저유당분해효소증(adult-type hypolactasia) 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인간의 락타아제 유전자의 5' 말단으로부터 13910째 염기의 다형성(C/T-139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락타아제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당불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1회분으로 한 컵 이화, 타 식품과 함께 마실 것, 탈지유보다는 전지유, 요구르트 유산균과 함께 마실 것 등이 권장되며 위배출지연도 유당불내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