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건조 중 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ough Rice during Low Temperature Dry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5, 2009년, pp.650 - 655  

김훈 (한국식품연구원) ,  한재웅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량 150 kg의 실험용건조기와 heat pump를 이용하여 건조온도 20, 30, 40 및 $50^{\circ}C$에서 건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건조과정에서 함수율, 동할율의 경시적 변화와 건조 전 후의 발아율 및 식미를 측정하여 저온건조과정에 벼의 품질과 적정 건조온도를 구명하였다. 건조온도 20, 30, 40 및 $50^{\circ}C$에서 건조속도는 0.3, 0.6, 0.9 및 1.3%/hr 로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건조온도 $40^{\circ}C$ 이상은 고온영역, 그 이하는 저온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할율은 건조온도 $20^{\circ}C$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건조온도 30, 40 및 $50^{\circ}C$에서 1.6, 6.8 및 24.2%로 나타나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동할 발생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건조온도 20 및 $30^{\circ}C$는 동할율 기준치에 적합한 안전한 온도영역이며, $50^{\circ}C$는 매우 위험한 온도영역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조온도 $40^{\circ}C$는 동할율 방지를 위해 템퍼링시간 증대 등 운영방법의 조정이 필요하였다.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건조후 발아율은 저하하였으며, 건조온도 20 및 $30^{\circ}C$에서 발아율은 종자용으로 사용가능한 영역이었으며, 건조온도 40 및 $50^{\circ}C$는 최소 영역인 80%에 만족하였다. 식미관능검사에서전반적인(Overall) 품질, 외관(Appearance)의 품질, 맛(Taste)의 품질 및 조직감(Texture)의 품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판단해볼 때 건조온도 $20^{\circ}C$$30^{\circ}C$에서 식미가 높게 나타났으며, 건조온도가 가장 높은 $50^{\circ}C$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품질이 우수한 건조조건은 건조온도 $30^{\circ}C$ 이하, 건조속도 0.6%/hr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ough rice during low temperature drying by using an experimental dryer and heat pump with a capacity of 150kg at four temperature levels of 20, 30, 40, and $50^{\circ}C$. The quality and proper drying temperature of rou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의 저온건조 중 품질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건조온도 20~50℃ 범위에서 건조과정에서 함수율 및 동할율의 변화와 건조 후 발아율 및 식미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은 무엇에 따라 품질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가? 쌀은 품종, 재배방법 및 수확후 처리기술 등에 따라 품질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데, 수확후 처리기술에는 건조, 저장, 가공, 포장 및 유통기술이 있으며, 건조는 수확후 첫 번째 공정으로 건조공정이 적절치 못하면 저장, 가공 등 후속공정에 악영향을 줌으로 건조공정은 쌀의 품질유지에 관건이 되는 기술이다(1)
벼를 건조하는 동안에는 어떤 것으로 인해 식미저하가 발생하게 되는가? 벼를 건조하는 동안에는 동할립 증가, 발아율 감소, 환원당 증가 및 효소력 저하 등으로 식미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미립내부의 온도 및 함수율의 차이에 의해 열응력 및 수분차에 의한 응력이 증대되며, 응력이 과대하게 발생되면 낟알에 금이 가는 동할이 발생하게 된다.
벼를 건조할 때 상온의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뭐라고 부르는가? 벼의 건조방법에는 상온의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법과 상온의 공기를 가열하여 열원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상온통풍건조 또는 저능력(low-capacity) 건조방법이라 하고, 후자를 열풍 건조 또는 고능력(high-capacity) 건조방법이라 한다(2,3). 우리나라와 일본 등은 열풍건조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주로 순환식건조기 및 연속식건조기에서 화석연료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에 이용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eum, D.H., Kim, H. and Hong, S.J. (2002) Far-infrared ray drying characteristics of rough rice(Ⅰ). J. Korea Soc. Agr. Mach., 27, 45-50 

  2. Brooker, D.B., Bakker-Arkema, F.W. and Hall, C.W. (1992) Drying and storage of grains and oilseeds. An Avi Book, NW., U.S.A., p.269-271 

  3. Sonobe, K. (1998) New technology of machinery and facilities for drying. J. Japanese Soc. Agr. Mach., 60, 153-159 

  4. Yamaguchi, S., Yamazawa, S., Wakabayashi, S. and Shibata, T. (1980)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nal stress cracking of rice kernel(part 1). J. Japanese Soc. Agr. Mach., 42, 91-96 

  5. Yamashita, R. (1993) New technology in grain postharvesting. Farm Mach. Ind. Res. Corp., p.21-29 

  6. Ishibashi, S., Tanaka, S. and Fukimoto, Y. (1971) Studies on cooling and cold air drying for grain storage(Ⅲ). J. Japanese Soc. Agr. Mach., 34, 242-251 

  7. Bekki, E. and Zhang, L.H. (1991).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n eating qualities of rough rice in heat-pump drying. J. Japanese Soc. Agr. Mach. Tohoku branch, 38, 53-58 

  8. Sharp, J.R. (1982) A review of low temperature drying simulation models. J. Agr. Eng. Res., 27, 169-190 

  9. Zhang, L.H. and Bekki, E. (1993) Taste evaluated by palate on rice with dehumidifier. J. Japanese Soc. Agr. Mach. Tohoku branch, 40, 47-54 

  10. Ban, T. and Susawa, K. (1973) Studies on grain moisture content measurements by air oven methods(Ⅱ). J. Japanese Soc. Agr. Mach., 35, 406-415 

  11. Ban, T. (1971) Experimental studies on cracks of rice in artificial drying. Tech. Rep. Ins. Agr. Mach., 8, 13-16 

  12. Kim, S.S., Lee, S.E., Kim, O.W. and Kim, D.C. (200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alky kernels and their effects on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Cereal Chem., 77, 376-379 

  13. Regalado, M.J.C. and Bekki, E. (2000) Varietal differences in drying rate and fissure occurrence in heated air drying of rough rice. J. Japanese Soc. Agr. Mach., 62, 81-91 

  14. Toshima, M., Bautista, R.C. and Bekki, E. (1996). Fissure produced in drying process of rough rice. J. Japanese Soc. Agr. Mach. Tohoku branch, 43, 61-64 

  15. Takao, H. (1982) Drying Condition and Quality. J. Japanese Soc. Agr. Mach., 44, 525-533 

  16. handbook of agricultural product research (2003) Natl. Assn. Food p.1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