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 조건에 따른 어수리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arious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5, 2009년, pp.765 - 771  

방지은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순임 (숙명여자대학교 나노바이오소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circ}C$ 50% 에탄올/ $20^{\circ}C$ 50% 에탄올/ $80^{\circ}C$ water/ $20^{\circ}C$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circ}C$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80^{\circ}C$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ppm에서 69.14%, reducing power는 1000 ppm에서 흡광도 0.93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5.62%의 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출방법 중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50%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6.38%, 조단백질 함량은 4.35%, 조지방 함량은 0.67%,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1.96%였다. 또한 무기질 분석결과 Na 53.41 mg/100 g, K 396.26 mg/100 g, Mg 5.80 mg/ 100 g, P 47.17 mg/100 g, Zn 0.40 mg/100 g, Fe 5.27 mg/100 g, 그리고 Ca 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73 mg GAE/g과 49.54 mg RE/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수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 시 $80^{\circ}C$에서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extracts were measured after extraction with 50% (v/v) ethanol or water (at $80^{\circ}C$ or $20^{\circ}C$).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64.73 mg GAE/g) in extract from 50% ethanol extraction at $8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곰취와 함께 향이 가득한 잎 채소로 이용되고 있는 어수리 잎에 대한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수리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공방법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 어수리의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난 어수리 추출물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 50% 에탄올/ 20℃ 50% 에탄올/ 80℃ water/ 20℃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
  • 항산화능이 높게 나타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추출물의 일반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수리는 무엇인가?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는 미나리과의 다년초로 산야에서 비교적 흔히 자라며 일본과 중국 북부에 분포하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독활(獨活) 이라는 약재로 쓰이는데, 바람과 추위 또는 습기 때문에 생긴 근육통, 관절염, 요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가려움증, 종기, 두통, 오한, 발열 등에 사용한다. Kwon 등(13)은 어수리의 뿌리로부터 약용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찾고자 물질분리를 실시하여 10여 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보고하였다.
어수리의 뿌리인 독활은 한방에서 어디에 사용되는가?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는 미나리과의 다년초로 산야에서 비교적 흔히 자라며 일본과 중국 북부에 분포하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뿌리를 독활(獨活) 이라는 약재로 쓰이는데, 바람과 추위 또는 습기 때문에 생긴 근육통, 관절염, 요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가려움증, 종기, 두통, 오한, 발열 등에 사용한다. Kwon 등(13)은 어수리의 뿌리로부터 약용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찾고자 물질분리를 실시하여 10여 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보고하였다.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 50% 에탄올/ 20℃ 50% 에탄올/ 80℃ water/ 20℃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80℃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ppm에서 69.14%, reducing power는 1000 ppm에서 흡광도 0.93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5.62%의 활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출방법 중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50%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6.38%, 조단백질 함량은 4.35%, 조지방 함량은 0.67%,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1.96%였다. 또한 무기질 분석결과 Na 53.41 mg/100 g, K 396.26 mg/100 g, Mg 5.80 mg/ 100 g, P 47.17 mg/100 g, Zn 0.40 mg/100 g, Fe 5.27 mg/100 g, 그리고 Ca 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73 mg GAE/g과 49.54 mg RE/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수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 시 80℃에서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ryor, W.A. (1977) Involvement of radical reaction in aging and carcinogenesis in medicine chemistry. In: Free radical in biology. Elservier, Amsterdam, Netherlands, p. 331-361 

  2. Hur, S.K., Kim, S.S., Heo, Y.H., Ahn, S.M. and Lee, S.K. (2001) Effect of the grapevine shoot extract on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raw marcrophages. J. Appl. Pharmacol., 9, 188-193 

  3. Sim, K.H.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Ulmus davudiana and antioxidant effects on Yackwa, and fried honey cookie with sesame oil. Ph D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 Lee, Y.J., Kim, S.I.,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Yuza(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 Korean J. Food Nutr,. 21, 135-142 

  5. Kim, S.I., Ko, S.H., Lee, Y.J., Choi, H.Y. and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58-366 

  6. Song, J.C., Park, N.K., Hur, H.S., Bang, M.H. and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8, 94-101 

  7. Yoon, J.H. and Kim, K.H. (2007) Biological functions of wild edible greens. Ann. Plant Resour. Research, 6. 219-243 

  8. Ji, W.D., Lee, J.M. and Chung, Y.G. (1994) Influence of mountain vegetables Extracts on bacterial growth. J. Korean Env. Hygi. Sci., 4, 305-311 

  9. Lee, S.O., Lee, H.J., Yu, M.H., Im, H.K. and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0. Lee, K.H., Lee, H.J. and Gu, S.J. (1994)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of the 7 kinds of edible wild grasses. Korean J. Food Sci. & Technol., 10, 363-368 

  11. Kwon, M.C., Han, J.G., Qadir, S.A., Ahn, J.H., Lee, D.H. and Lee, H.Y. (2008) Enhancement of immunopotentiation of Cichorium endivia L. by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 Crop Sci., 16, 1-7 

  12. Heo, S.J., Yang, M.O. and Cho, E.J. (2001) Analysis of Umbelliferaeceae wild pla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k meat products added with wild pla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165-175 

  13. Kwon, Y.S., Cho, H.Y. and Kim, C.M. (2000) The chemical constituents from Heracleum moellendorffii Roots. Yakhak Hoeji, 44, 521-527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5. Lin, C.H. and Chang, C.Y. (2005) Textural chang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ccoli under different cooking treatments. Food Chem., 90, 9-15 

  16. Perumal, S. and Klaus, B.(2007)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cessed cowpea seed extracts. Food Chem., 101, 10-19 

  17.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Hyoil, Seoul, Korea, p. 229-235 

  18. Swain, T. and Hillis, W.E.(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ence of Food Agric., 10, 63-68 

  19. Jia, Z., Tang, M. and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0. Gheldof, N. and Engeseth, N.J. (2002) Antioxidants capacity of honeys from various flora 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inhibition of vitro lipoprotein oxidation in human serum samples. J. Agric. Food Chem., 50, 3050-3055 

  21.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and Vavreinova, S. (2002) Buckwheat 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22. Kim, S.I., Sim, K.H., Ju, S.Y. and Han, Y.S.(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 41-47 

  23. Kim, N.M., Sung, H.S. and Kim, W.J. (1993)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m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04-209 

  24. Jeong, C.H., Nam, E.K, and Shim, K.H.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ate scavenging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Erigeron onnuus. J. Agric. Life Sci.,40, 13-20 

  25. Kweon, D.J., Youn, S.J., Cho, H.G., Cho, U.K. and Kang, S.C.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Appl. Biol., 49, 91-96 

  26. Osawa, T. (1994) Novel ne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In :Ⅰ. Uritani, V.V.Garcia & E.M.Mendoza(Eds).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s in the tropic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27. Bae, H.C., Cho, I.S. and Nam, M.S. (2005) Effects of the biological function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extract. J. Anim. Sci. Technol., 47, 1051-1058 

  2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9.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and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32, 723-727 

  30. Lee, S.O., Kim, M.J., Kim, D.G. and Choi, H.J. (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9-147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p. 308-309 

  32. Decker, E.A. (1995) The role of phenolics, conjugated linoleic acid, carnosine, and pyrroloquinoline quinone as nonessential dietary antioxidants. Nutr. Rev., 53, 49-58 

  33. Hong, J.J. and Ahn, T.H. (2005) Change in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s of leafy vegetables(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by blanching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90-194 

  34. Lee, M.I., Son, E.S., Oh, S.S. and Han, D.S. (200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6, 504-5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