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development of a microvascularization is important for the homeostasis of normal bon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vessel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EGF-related autocrine growth in periosteal-derived cell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적으로 매복된 제3대구치의 발치과정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골막에서 골막기원세포를 추출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isoforms 및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한다. 그리고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 및 외인성 재조합 인간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적용이 골막기원세포의 조골 활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한 자가분비 성장기전이 있는 지를 관찰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적으로 매복된 제3대구치의 발치과정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골막에서 골막기원세포를 추출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isoforms 및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한다. 그리고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 및 외인성 재조합 인간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적용이 골막기원세포의 조골 활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한 자가분비 성장기전이 있는 지를 관찰하고자 한다.
  • 그러나 골절등의 치유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매개 혈관신생이 세포 배양과 관련하여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다9-12). 이에 본 저자들도 세포 배양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골활성과 그 과정에서 반응하는 혈관신생인자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골 골막에서 골막기원세포를 추출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isoforms 및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하고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 및 외인성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적용을 통하여 골막기원세포의 조골 활성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한 자가분비 성장기전이 존재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저자들도 세포 배양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골활성과 그 과정에서 반응하는 혈관신생인자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골 골막에서 골막기원세포를 추출하여 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isoforms 및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들의 발현을 관찰하고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저해제 및 외인성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의 적용을 통하여 골막기원세포의 조골 활성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에 의한 자가분비 성장기전이 존재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발현 및 무기질 침착은 활동성 조골세포로의 분화과정의 어떤 단계에서 이루어지는가? 일반적으로 미분화 간엽 줄기세포 상태에서 기능을 나타내는 활동성 조골세포로의 분화과정은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발현 및 무기질 침착과 같이 각각의 단계에서 특정 유전인자들이 관여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발현은 조골세포로의 분화 초기에 주로 나타나며 무기질 침착은 조골세포로의 분화 마지막 단계에서 이루어지므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발현은 초기 조골세포 표지자로, 무기질 침착은 만기 조골세포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무기질 침착과 관련하여서는 기질내 칼슘의 정량적 측정이 관련된 세포에 의하여 형성된 무기질 정도를 평가하여 준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어떤 역할을 하는가? 적절한 혈류공급을 위한 혈관신생인자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이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류에 속하고 헤파린 결합형 다기능 이합체 당단백이며 혈관내피세포에 특이적인 유사분열 촉진제로 주로 두가지 수용체,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VEGFR-1 or Flt-1)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VEGFR-2 or Flk-1/KDR)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의 성장, 분화, 그리고 성숙등의 다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미세혈관밀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또 다른 수용체인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3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3, VEGFR-3 or Flt-4)와의 반응을 통해서는 혈관성장 뿐 아니라 암의 전이와 관련있는 림프관의 성장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란 무엇인가? 적절한 혈류공급을 위한 혈관신생인자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이다.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류에 속하고 헤파린 결합형 다기능 이합체 당단백이며 혈관내피세포에 특이적인 유사분열 촉진제로 주로 두가지 수용체,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VEGFR-1 or Flt-1)과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 VEGFR-2 or Flk-1/KDR)에 결합하여 혈관신생의 성장, 분화, 그리고 성숙등의 다단계를 거쳐 결과적으로 미세혈관밀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또 다른 수용체인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3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3, VEGFR-3 or Flt-4)와의 반응을 통해서는 혈관성장 뿐 아니라 암의 전이와 관련있는 림프관의 성장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ayer H, Bertram H, Lindenmaier W, Korff T, Weber H, Weich H.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A) expression in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utocrine and paracrine role on osteoblastic and endothelial differentiation. J Cell Biochem 2005;95:827-39 

  2. Neufeld G, Cohen T, Gengrinovitch S, Poltorak Z.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its receptors. FASEB J 1999;13:9-22 

  3. Park BW, Byun JH, Ryu YM, Hah YS, Kim DR, Cho YC et al. Correlation betwee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signaling and mineralization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7;29:197-205 

  4. Park BW, Choi MJ, Ryu YM, Lee SG, Hah YS, Kim DR et al. Evaluation of angiogenic phenotypes in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under high-dose dexamethasone.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8;30:217-24 

  5. Masood R, Cai J, Zheng T, Smith DL, Hinton DR, Gill P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n autocrine growth factor for VEGF receptor-positive human tumors. Blood 2001;98:1904-13 

  6. Strizzi L, Catalano A, Vianale G, Orecchia S, Casalini A, Tassi G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 an autocrine growth factor in human malignant mesothelioma. J Pathol 2001;193:468-75 

  7. Tian X, Song S, Wu J, Meng L, Dong Z, Shou C.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cting as an autocrine growth factor for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 MGC803.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286:505-12 

  8. Park BW, Byun JH, Lee SG, Hah YS, Kim DR, Cho YC et al. Evaluation of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6;28:511-9 

  9. Furumatsu T, Shen ZN, Kawai A, Nishida K, Manabe H, Oohashi T et al. Vascular endothelial growh factor prinicipally acts as the main angiogenic factor in the early stage of human osteoblastogenesis. J Biochem (Tokyo) 2003;133:633-9 

  10. Gerber HP, Vu TH, Ryan AM, Kowalski J, Werb Z, Ferrara N. VEGF couples hypertrophic cartilage remodeling, ossification and angiogenesis during endochondral bone formation. Nat Med 1999;5:623-8 

  11. Maes C, Carmeliet P, Moermans K, Stockmans I, Smets N, Collen D et al. Impaired angiogenesis and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n mice lacking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oforms VEGF164 and VEGF188. Mech Dev 2002;111:61-73 

  12. Wang DS, Miura M, Demura H, Sato K. Anabolic effects of 1,25-dihydroxyvitamin D3 on osteoblasts are enhanc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roduced by osteoblasts and by growth factors produced by endothelial cells. Endocrinology 1997;138:2953-62 

  13. Gee MF, Tsuchida R, Eichler-Jonsson C, Das B, Baruchel S, Malkin 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cts in an autocrine manner in rhabdomyosarcoma cell lines and can be inhibited with all-trans-retinoic acid. Oncogene 2005;24:8025-37 

  14. Millanta F, Silvestri G, Vaselli C, Citi S, Pisani G, Lorenzi D et al. The rol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its receptor Flk-1/KDR in promoting tumour angiogenesis in feline and canine mammary carcinomas: a preliminary study of autocrine and paracrine loops. Res Vet Sci 2006;81:350-7 

  15. Weigand M, Hantel P, Kreienberg R, Waltenberger J. Autocrin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signalling in breast cancer. Evidence from cell lines and primary breast cancer cultures in vitro. Angiogenesis 2005;8:197-204 

  16. Kim JR, Park, BW, Lee CI, Hah YS, Kim DR, Cho YC et al. Effect of dexamethasone concentrations on osteogenic activity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9;31:287-93 

  17. Haper J, Gerstenfeld LC, Klagsbrun M. Neuropilin-1 expression in osteogenic cells: down-reg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into osteocytes. J Cell Biochem 2001;81:82-92 

  18. Tao O, Spring SC, Terman BI. Characterization of a new alternatively spliced neuropilin-1 isoform. Angiogenesis 2003;6:39-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