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the use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after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ccelerated bone formation and consolidation. Methods: Eight adult dogs underwent mandibular left body osteotomy. After a 3 day latency period, a dist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부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는 생리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골 신장 후 저작근에 신경근의 전기적 자극을 통해서 생성된 골질의 개선과 조기 경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악교정술 혹은 골신장술을 받은 환자에서 신경근육 전기적 자극은 골 치유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이 실험의 목적은 성견에서 하악골 골신장술 후 골 경화시기에 저작근에 신경근육 전기적 자극을 가했을 때 골 치유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신장 후 새로 형성된 신생골의 경화는 언제 일어나는가? 골신장술은 1905년 Codivilla[1]에 의해 사지골에 처음 시행되었고 1950년대에 Ilizarov[2]는 새로운 원형의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신장력을 적용하여 상당한 신생골을 얻었 다고 보고하였다. 골신장 후 새로 형성된 신생골의 경화는 유지기 즉 경화기에 일어난다. 이 경화기의 적절한 기간은 약 8 내지 12주 정도이다.
골신장 후 새로 형성된 신생골의 경화가 일어나는 경화기의 적절한 기간은 무엇인가? 골신장 후 새로 형성된 신생골의 경화는 유지기 즉 경화기에 일어난다. 이 경화기의 적절한 기간은 약 8 내지 12주 정도이다. 이 경화기 동안 장착한 악골 신장기는 환자에게 성가시고 사회생활에서도 장애가 될 수가 있다.
골신장술은 언제 누구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는가? 골신장술은 1905년 Codivilla[1]에 의해 사지골에 처음 시행되었고 1950년대에 Ilizarov[2]는 새로운 원형의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신장력을 적용하여 상당한 신생골을 얻었 다고 보고하였다. 골신장 후 새로 형성된 신생골의 경화는 유지기 즉 경화기에 일어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dirilla A. On the means of lengthening, in the lower limbs, the muscles and tissues which are shortened through deformity. 1904. Clin Orthop Relat Res 1994;(301):4-9. 

  2. Ilizarov GA. The tension-stress effect on the genesis and growth of tissues: Part I. The influence of stability of fixation and soft tissue preservation. Clin Orthop Relat Res 1989;(238):249-81. 

  3. Corcoran J, Hubli EH, Salyer KE. Distraction osteogenesis of costochondral neomandibles: a clinical experience. Plast Reconstr Surg 1997;100:311-5; discussion 316-7. 

  4. Mayr E, Laule A, Suger G, Ruter A, Claes L. Radiographic results of callus distraction aided by pulsed low-intensity ultrasound. J Orthop Trauma 2001;15:407-14. 

  5. Hagiwara T, Bell WH.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J Craniomaxillofac Surg 2000;28:12-9. 

  6. Hamanishi C, Yoshii T, Totani Y, Tanaka S. Bone mineral density of lengthened rabbit tibia is enhanced by transplantation of fresh autologous bone marrow cells. An experimental study using dual x-ray absorptiometry. Clin Orthop Relat Res 1994;(303):250-5. 

  7. Wiltfang J, Kessler P, Merten HA, Neukam FW. Continuous and intermittent bone distraction using microhydraulic cylinder: an experimental study in minipigs.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1;39:2-7. 

  8. Cho YC, Sung IY, Byun JH, et al. Expression of osteocalcin and callus reaction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ic protein-7 injection.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2006;32:317-26. 

  9. Moffid MM, Inoue N, Atabey A, et al. Callus stimulation in distraction osteogenesis. Plast Reconstr Surg 2002;109: 1621-9. 

  10. Park SH, Silva M.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s fracture healing: results of an animal model.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enhances fracture healing: results of an animal model. J Orthop Res 2004;22:382-7. 

  11. Burr DB, Frederickson RG, Pavlinch C, Sickles M, Burkart S. Intracast muscle stimulation prevents bone and cartilage deterioration in cast-immobilized rabbits. Clin Orthop Relat Res 1984;(189):264-78. 

  12. Bloomfield SA, Mysiw WJ, Jackson RD. Bone mass and endocrine adaptations to training in spinal cord injuried individuals. Bone 1996;19:61-8. 

  13. Chen J, Shapiro HS, Sodek J. Development expression of bone sialoprotein mRNA in rat mineralized connective tissues. J Bone Mineral Res J Bone Miner Res 1992;7:987-97. 

  14. Goldberg HA, Warner KJ, Li MC, Hunter GK. Binding of bone sialoprotein, osteopontin and synthetic polypeptides to hydroxyapatite. Connect Tissue Res 2001;42:25-37. 

  15. Tavakoli K, Yu Y, Shahidi S, Bonar F, Walsh WR, Poole MD.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in the mandibular distraction zone: a sheep study. Br J Plast Surg 1999;52:434-9. 

  16. Hu J, Zou S, Li J, Chen Y, Wang D, Gao Z. Temporospatial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during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J Craniomaxillofac Surg 2003;31:238-43. 

  17. Byun JH, Park BW, Sung IY, Cho YC, Kim JR.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osteopontin expression in the distracted bone after canine mandibular distraction osteogenesis.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2006;32:418-25. 

  18. Clemente FR, Matulionis DH, Barron KW, Currier DP. Effect of motor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microvascular perfusion of stimulated rat skeletal muscle. Phys Ther 1991;71:397-404; discussion 404-6. 

  19. Faghri PD, Votto JJ, Hovorka CF. Venous hemodynamics of the lower extremities in response to electrical stim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8;79:842-8. 

  20. Pepper JR, Herbert MA, Anderson JR, Bobechko WP. Effect of capacitive coupled electrical stimulation on regenerate bone. J Orthop Res 1996;14:296-302. 

  21. Miller BF, Gruben KG, Morgan BJ. Circulatory responses to voluntary and electrically induced muscle contractions in humans. Phys Ther 2000;80:53-60. 

  22. Cornell CN, Lane JM. Newest factors in fracture healing Clin Orthop Relat Res 1992;(277):297-311. 

  23. Jee YJ, Kang DS, Song HC. Expression of type I, type II collagen on distraction osteogenesis in the rabbit mandible. J Korean Oral Maxillofac Surg 2004;30:261-70. 

  24. Kasugai S, Todescan R Jr, Nagata T, Yao KL, Butler WT, Sodek J. Expression of bone matrix proteins associated with mineralized tissue formation by adult rat bone marrow cells in vitro: inductive effects or dexamethasone in the osteoblast phenotype. J Cell Physiol 1991;147:111-20. 

  25. Sato M, Yasui N, Nakase T, et al. Expression of bone matrix proteins mRNA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J Bone Miner Res 1998;13:1221-31. 

  26. Nomura S, Wills AJ, Edwards DR, Heath JK, Hogan BL. Developmental expression of 2ar (osteopontin) and SPARC (osteonectin) RNA as revealed by in situ hybridization. J Cell Biol 1988;106:441-50. 

  27. Gordjestani M, Dermaut L, De Ridder L, et al. Osteopontin and bone metabolism: a histology and scintiraphy study in ra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5;34:794-9. 

  28. Nomura S, Takano-Yamamoto T. Molecular events caused by mechanical stress in bone. Matrix Biol 2000;19:91-6. 

  29. Huang W, Carlsen B, Rudkin G, et al. Osteopontin is a negative regulator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MC3T3- E1 pre-osteoblastic cells. Bone 2004;34:799-808. 

  30. Perrien DS, Brown EC, Aronson J, et al.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osteopontin expression during distraction osteogenesis in the rat. J Histochem Cytochem 2002;50:567-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