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성산 유기농 녹차의 품질에 따른 카테킨 함량과 항산화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Grades of Organic Green Teas Grown in Boseong,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1 = no.203, 2009년, pp.82 - 86  

박경련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이상길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남태규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김영준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영록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김대옥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생명자원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농 녹차의 등급별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각 추출 용매에 따른 수율을 확인하였을 때 물 추출에 비하여 수용성 유기 용매의 추출 수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 수율은 물을 이용할 때 보다 총페놀 함량은 1.5에서 3.2배, 항산화능은 1.8에서 3.8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의 상관관계를 비교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1차 선형관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PLC분석을 통하여 유기농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카테킨의 함량이 채엽시기에 따라 변화가 나타났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중 가장 많이 존재하는 EGCG가 건조중량당 5.8-7.7%의 함량을 보였고, caffeine은 1.7-2.9%의 함량을 보였다.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함량은 일반적으로 채엽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였다.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항산화능은 최상급인 우전에서 가장 높았으며 최하등급인 엽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PLC 분석에 의한 유기농 녹차의 등급에 따른 총 카테킨 함량(mg/g)은 우전(155.4), 세작(147.7), 중작(143.2), 엽차(135.1), 대작(130.5)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녹차의 채엽 시기가 유기농 녹차의 카테킨 성분 및 항산화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상급의 유기농 녹차 일수록 총페놀 및 카테킨 함량이 많으며 또한 더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solvents on extraction of bioactive phenolics and to analyze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contents of individual catechins in various grades of green teas organically grown in Boseong, Korea. The organic green teas, based on their 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녹차의 카테킨에 대한 분석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유기농 녹차에 관한 분석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재배한 여러 등급의 유기농 녹차를 대상으로 추출 용매에 따른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s)의 추출 수율 비교 및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주요 카테킨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 성분의 함량및 종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채엽시기, 품종, 토양, 기상, 주위환경 등은 녹차 성분의 함량및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12). 특히 녹차는 채엽 시기에 따라 우전(4월 20일 이전), 세작(4월 중하순), 중작(5월 초순), 대작(5월 중순), 엽차(5월 하순 이후)로 나뉘어 지며 채엽 시기가 빠른 차일수록 좋은 등급의 차로 여겨진다.
녹차의 독특한 맛과 풍미에 영향을 주는 성분은 무엇인가? 녹차는 그 향과 맛 등의 관능적 측면 이외에도 기능적인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4). 녹차에는 카테킨(catechins, flavan-3-ols)이라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풍부하며, 이 물질들이 차의 독특한 맛과 풍미에 영향을 준다. 또한 녹차의 대표적인 효능인 항산화 효과는 녹차의 주요 성분인 카테킨류에 의해서 나타나는 효과로 알려져 있다(5,6).
세계적으로 가장 소비가 많은 차의 종류는 무엇인가? 차의 종류는 발효공정의 차이에 의해 녹차, 우롱차, 홍차로 구분되며, 그 제조공정에 따라 차의 맛, 향, 색, 그리고 성분에도 차이가 나게 된다 (1-3). 세계적으로는 홍차의 소비가 가장 많지만, 녹차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소비가 가장 많은 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eterson J, Dwyer J, Bhagwat S, Haytowitz D, Holden J, Eldridge AL, Beecher G, Aladesanmi J. Major flavonoids in dry tea. J. Food Compos. Anal. 18: 487?501 (2005) 

  2. Yasuda M, Kondo M, Sonda T, Takedomi K, Eguchi S, Eguchi A. The effects of tea manufacturing methods on the contents of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tea infusions. Food Sci. Biotechnol. 13: 156-161 (2004) 

  3. Lee MJ, Kwon DJ, Park OJ.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capacities and catechin contents of Korean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Culture 22: 449-453 (2007) 

  4. Khan N, Mukhtar H. Tea polyphenols for health promotion. Life Sci. 81: 519?533 (2007) 

  5. Yoshida Y, Kiso M, Goto T. Efficiency of the extraction of catechins from green tea. Food Chem. 67: 429-433 (1999) 

  6. Coimbra S, Castro E, Rocha-Pereira P, Rebelo I, Rocha S, Santos-Silva A. The effect of green tea in oxidative stress. Clin. Nutr.25: 790-796 (2006) 

  7. Suganuma M, Okabe S, Sueoka N, Sueoka E, Matsuyama S, Imai K, Nakachi K, Fujiki H. Green tea and cancer chemoprevention. Mutat. Res.-Fund. Mol. M. 428: 339-344 (1999) 

  8. Bursill CA, Abbey M, Roach PD. A green tea extract lowers plasma cholesterol by inhibit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upregulating the LDL receptor in the cholesterol-fed rabbit. Atherosclerosis 193: 86-93 (2007) 

  9. Ryu OH, Lee J, Lee KW, Kim HY, Seo JA, Kim SG, Kim NH, Baik SH, Choi DS, Choi KM. Effects of green tea consumption on inflammation, insulin resistance and pulse wave velocity in type 2 diabetes patients. Diabetes Res. Clin. Pr. 71: 356-358 (2006) 

  10. Rasheed A, Haider M. Antibacterial activity of Camellia sinensis extracts against dental caries. Arch. Pharm. Res. 21: 348-352 (1998) 

  11. Kondo K, Kurihara M, Miyata N, Suzuki T, Toyoda M. Scavenging mechanism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allate on peroxyl radicals and formation of superoxide during the inhibitory action. Free Radical Biol. Med. 27: 855-863 (1999) 

  12. Kim S-H, Han D, Park J-D.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42-546 (2004) 

  13. Kim D-O, Lee CY. Extraction and isolation of polyphenolics. ppI1.2.1-I1.2.12. In: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Wrolstad RE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USA (2002) 

  14. Singleton VL, Rossi JA, Jr.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5. Kim D-O, Lee KW, Lee HJ, Lee CY.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 Food Chem. 50: 3713-3717 (2002) 

  16. Kim D-O, Heo HJ, Kim YJ, Yang HS, Lee CY. Sweet and sour cherry phenolics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cells. J. Agr. Food Chem. 53: 9921-9927 (2005) 

  17. Perva-Uzunali \acute{c} A, \check{S} kerget M, Knez \check{Z} , Weinreich B, Otto F, Gruner S.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ion efficiency of major catechins and caffeine. Food Chem. 96: 597-605 (2006) 

  18. Koiwai H, Masuzawa N. Extraction of catechins from green tea using ultrasound. Jpn. J. Appl. Phys. 46: 4936-4938 (2007) 

  19.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Effects of extraction solvents on concent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and black mate tea polyphenols determined by ferrous tartrate and Folin-Ciocalteu methods. Food Chem. 99: 835-841 (2006) 

  20. Kang S-K, Shon M-Y. Changes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with different harvestig periods. Korean J. Food Pres. 14: 709-715 (2007) 

  21. Coyle CH, Philips BJ, Morrisroe SN, Chancellor MB, Yoshimura N. Antioxidant effects of green tea and its polyphenols on bladder cells. Life Sci. 83: 12-18 (2008) 

  22. Chen C, Tang H-R, Sutcliffe LH, Belton PS. Green tea polyphenols react wit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s in the bilayer of liposomes: Direct evidence from electron spin resonance studies. J. Agr. Food Chem. 48: 5710-5714 (2000) 

  23. Wang H, Helliwell K. Epimerisation of catechins in green teainfusions. Food Chem. 70: 337-344 (2000) 

  24. Dobashi Y, Hirano T, Hirano M, Ohkatsu Y. Antioxidant and photo-antioxidant abilities of catechins. J. Photoch. Photobio. A 197: 141-14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