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도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습지조성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Site Selection Model for Wetland Restoration and Creation for the Circulation of Water in a Newly-built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6, 2009년, pp.43 - 54  

최희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귀곤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롭게 조성되는 도시의 물순환체계를 구축하고, 도시화로 말미암아 증가하는 유출량을 분산 저류함은 물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습지의 조성입지와 면적을 확보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습지조성 입지선정을 위하여 유역분석에서부터 평가항목 선정, 가중치 산출, 주제도 작성, 종합 등 일련의 과정을 모형으로 정립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수도권에 입지해 있는 위례 신도시 개발예정지역에 적용함으로써 모형의 실행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적용 결과, 유역분석단계 에서는 대상지가 1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며, 개발대상지가 포함되는 유역들의 유입량은 $3,020,765m^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전 후의 유출량을 비교하면 각각 $1,901,969m^3$, $1,970,735{\sim}2,039,502m^3$로써 개발지역에서 확보해야 할 총 저류량은 $68,766{\sim}137,533m^3$로 산출되었다. 습지조성 입지선정단계에서는 각각의 주제도를 중첩한 결과, 13개 소유역별로 습지조성 우선지역이 차등적으로 분류되었다. 유출량을 저류할 수 있는 습지의 입지와 면적을 도출한 결과, 저류형 습지와 하천형 습지, 연못형 습지 등 다양한 유형의 습지조성은 물론 이들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도시 전체의 물순환체계 계획의 기본골격을 제공함으로써 녹지공간과의 통합을 통해 도시생태 네트워크 계획 수립과 같은 공간계획단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토지이용계획 이전 단계에서 도시화로 인해 예상되는 잠재적인 유출량을 기준으로 습지의 입지와 면적을 산정함에 따라 정확한 저류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이후 환류(feedback)과정이 요구되었으며, 습지의 유형이나 입지적 특성에 따라서 저류량 등 저류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에서 고찰되는 일반적인 습지 저류량을 모든 습지에 동일하게 적용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odel for selecting sites for ecologically effective, multi-functional wetlands during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stage, prior to land use Planning. This model was developed with an emphasis upon the creation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a new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역 차원에서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습지 조성 입지를 모색함으로써 여러 분야를 하나의 계획과정 속에 포함하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과 도시개발에 있어 유역 차원의 수질관리, 수량관리, 생태계 관리를 함께 모색해 서식 처의 다기능을 도모한 점은 중요한 의의라 하겠다. 또한 최근 신도시와 택지개발지구 조성시 환경생태계획 개념 및 기법 도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도시 물 순환체계 차원의 구체적 모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유역 차원에서 접근하여 습지 조성을 통해 도시개발로 인해 발생되는 유출량을 저김시킴은 물론, 야생동물의 핵심적인 서식공간으로서의 생태적 기능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입지 선정 방안을 마련하였다. 기존의 홍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설과 도시민들의 휴식과 레크리에이션 공간이 되는 도시공원, 도시생태계의 핵심이 되는 보전지역(생물서식공간)의 기능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 등, 2000). 본 연구는 유역의 경계설정을 위하여 수치고도모형인 DEM5)을 구축하여 필요한 지형인자를 자동으로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습지의 보전적 가치나 유역의 치수관리혹은 수질관리 등에만 국한되었던 연구에서 나아가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물순환체계 구축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습지조성지역을 합리적인 과정을 통해 찾고자 한다. 특히, 신도시 개발시토지이용계획 전에 수립을 권고하고 있는 환경생태계획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계획모형의 개발에 일차적 연구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생태계획단계에 적용되어 기존의 습지를 고려한 습지 조성 입지 및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도시의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시생태네트워크 계획은 물론, 수자원 관리계획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유역 차원의 습지 조성 입지선정 모형 개발을 위해 다음의 사항을 전제로 한다.
  • 유입량과 유출량, 저류량의 산출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환경생태계획 단계에서 산출하기에 용이한방법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신도시 개발 등 규모가 비교적 큰 도시개발에 있어서 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면서도 생태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습지의 조성 .입지와 규모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토해양부 (2007)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 기준 

  2. 성효연, 이자영(2000) 하천유역구분을 위한 DEM 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7(2):1-12 

  3. 이근상, 조기상(1999) 산간지와 준평야지의 유역자동추출기법 연구. GIS Workshop 

  4. 최상기, 송영일, 서성철(2003) 수질분야 환경영향 예측내용과 사후환경 조사결과의 비교 . 분석 .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5. 최인욱(2002) 농촌유역의 비점원오염 수질관리를 위한 인공습지 설계모형. 서울대학교 농공학 석사학위논문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4) 미계측 유역의 홍수유출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합리식을 중심으로- 

  7. 한영해(2005) 도시주거지역에서의 분산식 빗물관리 계획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환경부(2006) 사전환경검토 업무메뉴얼 

  9. Bohn, B. A.(2002) Establishing aquatic restoration priorities using a watershed approac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 355-363 

  10. Brophy, L.(2005) Prioritizing Tidal Wetland Construction and Restoration in Midsized Estuaries of Oregon. U.S.A. Presentation PPT. p. 15 

  11. Djokic, Z. Yeo and A. Miller(1997) Efficient Watershed Delineation using ArcView and Spatial Analyst. Proc. 17th ArulUa! ESRI User Conference, San Diego, CA 

  12. EPA(2000). Watershed Analysis and Management(WAM) Guide for Tribe 

  13. France, R. L.(2003) Wetland Design: Principles and Practices for Landscape Architects and Land-Use Planners. New York: W.W Morton 

  14. Jubenville, A.(1976) Outdoor Recreation Planning, W.B.: Saunders Company, West washington. p. 354 

  15. Macdonald, S. E., B. Eaton, C. S. Machtans, C. Paszkowski, S. Hannon, and S. Boutin(2006) Is forest dose to lakes ecologically unique? Analysis of vegetation, small mammals, amphibians, and songbir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23(1): 1-17 

  16. Newbold, S. C.(2005) A combined hydrologic simulation and landscape design model prioritize sites for wetlands restoration. Environmental Modeling and Assessment 10(3): 251-263 

  17. Olson. C., and R Harris(1997) Applying a two-stage system to prioritize riparian restoration at the San Luis Rey River, San Diego County, California. Restoration Ecology 5(4): 43-55 

  18. O'Neill, M P., J. C. Schmidt, J. P. Dobrowolski, C. P. Hawkins, and C. M. U Neale (1997) . Identifying site for riparian wetland restoration: Application of a model to the upper Arkansas River Basin. Restoration Ecology 5(4): 85-102 

  19. Palmeri, L. and M. Trepel(2002) A GIS-based score system for siting and sizing of created or restored wetlands: Two case studies. Water Resources Management 16: 307-328 

  20. Rohde, S., M Hostmann. A. Peter and K. C. Ewald(2006). Room for rivers: An integrative search strategy for floodplain restor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50-70 

  21. Russell, G. D., C. P. Hawkins and M. P. O'Neill(1997) The role of GIS in selecting sites for riparian restoration based on hydrology and land use. Restoration Ecology 5(4S): 56-68 

  22. White, D., and S. Fennessy(2005) Modeling the suitability of wetland restoration potential at the watershed scale. Ecological Engineering 24: 359-377 

  23. http://www.ramsar.org/info/values_floodcontrol_e.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