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사동 경관의 사회 구성론적 해석
An Interpretation of the Insa-dong Landscape from a Social Construction Viewpoi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6, 2009년, pp.91 - 101  

김연금 (커뮤니티 디자인센터) ,  김해경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최기수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사동 경관을 사회구성론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이는 경관의 가시적인 측면만을 중요시하거나 경관경험에 근거한 주관적 인식을 다루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경관 변천의 역동적 과정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관을 인간의 사회적 실천을 통해 만들어지고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의 사회적 주체의 역할과 경관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 다룬다. 선행연구를 통해 볼 때 물리적 환경, 제도, 이미지는 경관 구성의 주요 요소가 된다. 조선조의 관인방과 대사동에서 연유한 '인사동'은 일제 강점기와 전쟁을 거치면서 골동품을 판매하는 전통문화공간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획득하였고, 이후 현대적 화랑이 입점하면서 '문화'의 의미가 화장되었다. 아시안 게임, 올림픽, 월드컵 등 국제적 행사 시, 서울의 차별성이 있는 장소로 정비되고 홍보되면서 전통문화의 거리로 공식화되었다. 이는 내부인의 자발적 동기보다는 국가권력적 동기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1990년 말 2000년 초 골동품 산업의 쇠락에 대처하기 위해 인사동의 내부인들은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는 임대료 상승 및 인사동의 이미지 형성에 기여했던 전통업종과 문화업종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전통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문화지구지정, 지구단위계획 같은 제도를 이끌어냈다. 과거의 경관은 인사동에 '전통'이라는 이미지를 부여했으나,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전통'이라는 이미지 활용과 유지를 위해 경관이 재구성되고 있다. 현재 우리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재구성된 경관을 인사동의 전통경관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재구성 과정은 여러 행위자들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 근래 장소마케팅 등 경관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빈번한 만큼, 경관과 사회적 행위자들의 역학관계에 대한 파악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경관이 사회적 변화에 열려 이에 대응하면서 재구성된다는 관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구체적 사례 연구를 통한 연구의 심화는 경관을 매체로 다루는 조경 분야에 다양한 실천적 가능성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landscape of Insa-dong was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a social construction of landscape, which regards the dynamic process of landscape change as more important than landscape visibility. This viewpoint also regards landscape as the result of its interaction with certai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에도 차이가 있어 1970년대의 신문 기사와 기록사진의 인사동 거리에는 고미술과 관련된 표구사, 화랑, 낮은 도시형 한옥이 보이지만, 현재는 전통음식점, 물확, 전돌 포장, 현대적인 건물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하는 상징성과 경관에 주목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인사동 경관을 사회구성론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이는 경관의 가시적인 측면을 중요시하거나 경관 경험에 의한 주관적 인식을 다루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경관 변천의 역동적 과정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 사회. 이념 등의 요소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다루었다. 사회제도나 역사의 맥락에서 공간의 생성을 이해하려는 시각이다.
  • 이소영의 연구에서는 1990년대 말 장소 마케팅의 과정과 당시의 평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소영의 연구가 경관마케팅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면, 본 연구는 경관마케팅 자체를 포함하여 경관의 변화과정을 해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어 차별성을 갖는다. 장옥연의 연구는 문화지구지정과 지구단위계획수립 당시의 행위자들 간의 역동적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나, 본 연구가 '경관 구성'을 해석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행위자들 간의 관계에 주목한 반면 장옥연의 연구는 관계 자체가 연구의 대상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명관(1992)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민족문학사연구 2호 

  2. 강성원 (2006) 문화지구 지정효과 분석연구-인사동 문화지구를 중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학순, 박찬숙(1992) 기든스(A. Giddens) 구조화이론의 지리학적 함의와 문화경관 해석. 지리학 26(2): 120-147 

  4. 경향신문 (2008) 서울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2008년 8월 13일자 

  5. 김연희 (2004) 인사동. 서울: 김영사 

  6. 김한배 (1998) 우리도시의 얼굴찾기: 한국 도시의 경관변천과 정체성. 태림문화사 :서울 

  7. 대한한공 (2008) One Fine Day in Seoul. 시티가이드북 서울편 

  8. 매일경제(1998) 1998년 1월 13일자 

  9. 문화일보(1996) 화랑계 불황 잇단 전시장축소 폐쇄. 1996년 11월 04일자 

  10. 문화일보(1999) 1999년 12월 9일자 

  11. 박상미(1997) 전통, 권력, 그리고 맛: 인사동 거리의 음식문화를 통해서 본 지역 정체성의 형성. 외대사학 13(1) 

  12. (사)한국경관협의회 (2008) 인사동 10년(1998-2007) 평가와 전망. 서울시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인사동 문화지구 외부평가용역. 종로구 

  14. 송희은(2007)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성의 사회적 재구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심승희 (2000) 문화관광의 대중화를 통한 공간의 사회척 구성에 관한 연구 -강진 . 해남 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소영(1999) 지역문화와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시 인사동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민 (2001) 한국도시경관 연구의 쟁점과 과제. 녹우연구논집 : 49-63 

  18.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 장옥연 (2004) 소통과 협력을 통한 역사환경 보전 계획과정 연구: 서울 인사동과 북촌 계획 사례.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조선일보(1977) 서울 인사동 거리 학생가로 변모. 1977년 7월 16일자 

  21. 조선일보(1981) 노변박물관 인사동 전통과 현대가 함께 숨쉬는 유서 깊은 골동가. 1981년 10월 10일자 

  22. 조아라(2007) 문화관광지의 지역성 재구성 과정 -일본 훗가이도 세 지방도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종로구(2005) 종로구지. 종로구청 

  24. 중앙일보(1998) 가나화랑 이호재 사장 활로는 여기다. 1998년 2월 10일자 

  25. 중앙일보(1999) 인사동길 개발에 시민단체 등 반발. 1999년 11월 8일자 

  26. 한국일보(2000) 인사동 식당들 변화의 바람. 2000년 3월 13일자 

  27. 황선욱(2000) 문화환경적 갈등요소에 따른 가로변천에 관한 연구-인사동 거리를 중심으로-. 순천정암대학 24 

  28. 中川 正(1989) 元主義的文化學?觀解釋法. 人文地理學硏究 13:11 

  29. Paasi. A. (1995) Territories, Boundaries and UlIlsClousness: The Changing 

  30. MacCannel. D.(1979) Staged authenticity: of social space in visitor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9(3): 589-603 

  31. Giddens. A.(l984)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dur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2. Corner, .J., Balfour. H. A. (1999)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3. Duncan, .J. (1990) The City as 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Lefebvre, H.(1991) The Production of Space. Oxford: Blacekwell 

  35. Low, M.(2008) The constitution of space: The structuration of spaces through the simultaneity of effect and perception. European Journal of Social Theory 11( 1): 25-49 

  36. Lew, Setha(2000) On the Plaza: The Politics of Public Space and Culture. Uruversity of Texas Press 

  37. Shields, R.(1991) Place on the Margin: Alternative Goegraphies of Modertnity, 

  38. http://www.archforum.com 

  39. http://www.kinds,or.kr/ 

  40. http://www.visitseoul.ne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