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콩나물로 제조한 콩나물 국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ngnamulguk with Commercial Soy Sprout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8 no.5, 2009년, pp.1147 - 1158  

손희경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용호 (순천향대학교 의료생명공학과)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콩으로 재배한 포장 콩나물로 제조한 국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국 건더기는 수용성 식이섬유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생 콩나물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콩나물 국 건더기의 자엽 및 배축은 약한 녹색도를 보여 생 콩나물의 녹화 현상은 콩나물 국을 제조하기 위해 9분 정도 가열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콩나물 국 건더기는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냄새와 풀 향미가 약할수록, 고소한 냄새와 고소한 향미가 강할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국물은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향미, 쓴 향미가 약할수록, 단 향미가 강할수록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가 약한 콩나물이 콩나물 국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ngnamulguk with commercial film-packed soy sprouts from domestic cultivars were investigated. The color determination showed that the solid part of Kongnamulguk had a light green color and did not change even when cooking for 9 minutes. The sol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산콩으로 재배한 포장 콩나물로 제조한 국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국 건더기는 수용성 식이섬유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생 콩나물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산콩으로 재배한 포장 콩나물로 제조한 콩나물 국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여 기호도가 높은 고품질 콩나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나물 국 건더기의 선호도가 높은 경우는? 콩나물 국 건더기의 자엽 및 배축은 약한 녹색도를 보여 생 콩나물의 녹화 현상은 콩나물 국을 제조하기 위해 9분 정도 가열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콩나물 국 건더기는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냄새와 풀 향미가 약할수록, 고소한 냄새와 고소한 향미가 강할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국물은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향미, 쓴 향미가 약할수록, 단 향미가 강할수록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콩나물 국 건더기에 함유된 것은? 국산콩으로 재배한 포장 콩나물로 제조한 국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콩나물 국 건더기는 수용성 식이섬유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생 콩나물에 비해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콩나물 국 건더기의 자엽 및 배축은 약한 녹색도를 보여 생 콩나물의 녹화 현상은 콩나물 국을 제조하기 위해 9분 정도 가열하여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콩나물 국 국물의 선호도가 높은 경우는? 콩나물 국 건더기는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냄새와 풀 향미가 약할수록, 고소한 냄새와 고소한 향미가 강할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국물은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 풀 향미, 쓴 향미가 약할수록, 단 향미가 강할수록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비린 냄새와 비린 향미가 약한 콩나물이 콩나물 국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조재영. (1989). 콩의 기원과 전파. 서울: 향문사. 

  2. Anderson, J. W., Johnstone, B. M., & Cook-Newell, M. E. (1995).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oy protein intake on serum lipid.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3(5), 276-282. 

  3.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Washingt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4. Bjorck, L., Nyman, M., & Asp, N. G. (1984). Extrusion cooking and dietary fiber: Effects on dietary fiber content and on degradation in the rat intestinal tract. Cereal Chemistry, 61(1), 174-179. 

  5. Brandt, L. M., Jeltema, M. A., Zabit, M. E., & Jltea, B. D. (1984). Effects of cooking in solutions of varying pH on the dietary fiber components of vegetables. Journal of Food Science, 49(4), 900-904, 909. 

  6. Collins, J. L., & Sand, G. G. (1976). Changes in trypsin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soybean varieties during maturation and germination. Journal of Food Science, 41(1), 168-172. 

  7. Gallagher, J. C., Raffert,y K., Hayanazka, V., & Wilson, W. (2000). The effect of soy: Protein on bone metabolism. Journal of Nutrition, 130(suppl), 667S-673S. 

  8. Jeon, S. H., Lee, C. W., Kim, H. Y., Kim, H. K., & Kang, J. H. (2008). Growth of soybean sprouts affected by period and method of seed storag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3(1), 21-27. 

  9. Kim, E. J., Lee, K. I., & Park, K. Y. (2002). Effects of germanium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4), 615-620. 

  10. Kim, K. H. (1992).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s. Korean Soybean Digest, 9(2), 27-30. 

  11. Kim, S. D., Jang, B. H., Kim, H. S., Ha, K. H., Kang, K. S., & Kim, D. H. (1982). Studies on the changes in chlorophyll,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s of soybean sprouts during circulation period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and Food, 11(3), 57-62. 

  12. Kim, S. D., Kim, S. H., & Hong, E. H. (1993). Composition of soybean sprouts and its nutritional value. Korean Soybean Digest, 6(1), 1-9. 

  13. Kye, S. K. (1995). Effect of cooking on water insoluble dietary fiber in vegetables.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8(2), 116-127. 

  14. Lee, S. Y., & Park, M J. (1997). Consumption pattern and satisfaction degree for bean sprout by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Kyungki-do area. Korean Journal Society of Food Science, 13(3), 369-378. 

  15. Lee, Y. S., Kim, S. B., & Kim, Y. H. (2001). Characterization of postharvest chlorophyll formation of soybean sprout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ppl(1), 75. 

  16. Orhan, I., Ozcelik, B., Kartal, M., Aslan, S., Sene,r B., & Ozguven, M. (2007). Quantification of daizein, genistein and fatty acids in soybeans and soy sprouts and some bioactivity studies, Acta Biologica Craconviensia Sertes Botanica, 49(2), 61-68. 

  17. Messina, M. (2001). Noteworthy evidence mounts on soy and human health.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1), 1-3. 

  18. Perez-Hidalgo, M. A., Guerra-Hernandez, E., & Garcia-Villanova, B. (1997). Dietary fiber in three raw legumes and processing effect on chick peas by an enzymatic-gravimetric method.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alysis, 10, 66-72. 

  19. Prosky, L., Aso, N. G., Furda, I., Devereis, J. W., Sciweozer, T. F., & Harland, B. A. (1987).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ournal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ry, 68, 677-684. 

  20. Seo, W. K., & Kim, Y. A. (1995).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ournal Society of Food Science, 11(1), 20-25. 

  21. Shin, D. H., & Choi, U. (1996).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three method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2), 240-245. 

  22. Song, J., Kim, S. P., Hwang, J. J., Son, Y. K., Song, J. C., & Hur, H. S.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culture period. Korean Soybean Digest, 17(1), 84-89. 

  23. Trock, B., Butler, L. W., Clarke, R., & Hilakivi-Clarke, L. (2000). Meta-analysis of soy intake and breast cancer risk. Journal of National Cancer Institute, 98(7), 459-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