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과정 중 콩나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in Soybean Sprout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397 - 403  

박초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육홍선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리과정 중의 콩나물을 데치기 전, 데친 후, 무친 후로 나누어 조리한 뒤 항산화 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비교 측정하여 한국 고유의 조리방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조리과정을 달리한 콩나물을 80% 에탄올에서 추출한 수율은 데치기 전 1.42%, 데친 후 0.65%, 무친 후 6.50%로 무친 후가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무친 것이 $79.52{\pm}1.41$ mg GAE/100 g FW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경우에도 무친 것이 $6.21{\pm}0.16$ mg C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4가지의 항산화 활성(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에서도 무친 후의 콩나물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고 데치기 전, 데친 후의 순서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효능 면에서 콩나물을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물에 장시간 끓이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tract, total phenolic compounds, total flavonoid compound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ssay, ABTS assay), and reducing power (Oyaizu's assay, FRAP assay) of soybean sprout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Thi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조리과정에 관한 콩나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연구가 필요하나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나물의 여러 가지 조리방법 중 데치는 과정이 나물의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 성분을 감소시켜 낮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나물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의 보완을 위해서 조리과정의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콩나물을 대중적인 조리방법인 무침으로 조리한 후 콩나물의 조리 전후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우리나라 고유음식인 나물에 대한 장점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리과정 중의 콩나물을 데치기 전, 데친 후, 무친 후로 나누어 조리한 뒤 항산화 관련 물질의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비교 측정하여 한국 고유의 조리방법인 나물의 우수 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조리과정을 달리한 콩나물을 80% 에탄올에서 추출한 수율은 데치기 전 1.

가설 설정

  • 4)Value are mean±SD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콩나물이란 어떤 식품인가? Merrill)는 콩과식물로 만주지방이 원산지이며, 기원전 4~5세기경에 이미 우리나라에서 재배되어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두를 발아시킨 콩나물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식품으로 생육기간이 짧고, 재배가 손쉬울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의 대중적인 식품이다(1). 콩나물은 기르기가 쉬워서 생채소가 없던 겨울에 길러 섭취했고 과거에는 가정에서 자가 재배하여 소비하였으나 최근 외식산업 및 단체급식의 성장으로 대량 수요처가 생기면서 재배, 생산 및 포장까지 자동화된 설비에서 대량 생산하는 식으로 급격하게 변화하였다(2,3).
특유의 이취로 인해 콩나물을 가열 조리할 때 나타나는 변화는? 콩나물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콩나물의 재배방법에 대한 연구(9), 저장 중 품질 변화(7) 및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변화(10)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식품으로써 콩나물에 대한 연구로는 콩나물국의 품질특성(11), 가열처리에 의한 식이섬유 함량 변화(12) 등이 있다. 콩나물은 특유의 이취로 인해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여러 방법으로 가열 조리하여 섭취하게 되는데 그 조리하는 방법에 따라 수용성비타민, 무기질, 수용성 질소, 당분 따위가 조리과정 중에 상당량 변하게 된다(13). 그러므로 조리과정에 관한 콩나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연구가 필요하나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콩나물을 무치는 과정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이유는? 8 nmol gallic acid equivalent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무친 후 콩나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이유는 무치는 과정에서 첨가된 다진 마늘, 다진 파, 깨소금, 고춧가루 등의 양념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i HD, Kim SS, Hong HD, Lee JY. 2000.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from different cultivar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07-212. 

  2. Bae KG, Yeo IH, Hwang YH. 1999. Methods of water supply of growth technology on best soybean sprouts. Korea Soybean Digest 16: 57-63. 

  3. Hwang T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with carbonated water. Korean J Food Preserv 19: 428-432. 

  4. Anderson JW, Johnstone BM, Cook-Newell ME. 1995.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oy protein intake on serum lipids. N Engl J Med 333: 276-282. 

  5. Orhan I, Ozcelik B, Kartal M, Aslan S, Sener B, Ozguven M. 2007. Quantification of daidzein, genistein and fatty acids in soybeans and soy sprouts and some bioactivity studies. Acta Biol Cracov 49: 61-68. 

  6. Abdullah A, Baldwin RE, Fields M, Karr AL. 1984. Sensory attribute and safety aspects of germinated small-seeded soybeans and mung beans. J Food Protect 47: 434-437. 

  7. Lee KA, Kim YH, Kim HS. 2010.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prouts during storage. Korean J Human Ecol 19: 1095-1102. 

  8. Lee SY, Park MJ. 1997. Consumption pattern and satisfaction degree for bean sprout by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Kyungki-do area. Korean J Soc Food Sci 13: 1-10. 

  9. Shin DH, Choi U. 1996.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three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40-245. 

  10. Song BS, Kim MJ, Kim GS. 2010. Amino acid composition changes in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 681-687. 

  11. Youn JE, Kim HS, Lee KA, Kim YH. 2011.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es in soybean sprouts. Korean J Crop Sci 56: 226-232. 

  12. Chi HY, Roh JS, Kim JT, Lee SJ, Kim MJ, Hahn SJ, Chung IM. 2005. Light quality o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soflavones content in soybean sprouts. Korean J Corp Sci 50: 415-418. 

  13. Shon HK, Kim YH, Lee KA.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ngnamulguk with commercial soy sprouts. Korean J Human Ecology 18: 1147-1153. 

  14.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5.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ethylen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18.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0: 70-79. 

  19.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20. Kim MY. 2007. Yield factor of Muchim for cooking.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 Korea. 

  21.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J Korean Food Sci Technol 38: 128-134. 

  22. Chung JY, Kim CS.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and garlic bulbs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8-194. 

  23. Ismail A, Marjan ZM, Foong CW. 2004.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 581-586. 

  24. Barroga CF, Laurena AC, Mendoza EMT. 1985. Polyphenol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Wilczek): determination and removal. J Agric Food Chem 33: 1006-1009. 

  25. Cheigh HS, Park KS, Moon GS, Park KY. 199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aste and its extracts on the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9: 163-167. 

  26. Park NY. 2001. Estimation of daily per capita intake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from the most consumed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Korean diet.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7.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28. Kang HM. 200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between hot pepper extract and capsaicin. MS Thesis. Sangji University, Gangwon, Korea. 

  29.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45-752. 

  30. Muller L, Theile K, Bohm V. 2010.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and comparison of vitamin E concentration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in human plasma. Mol Nutr Food Res 54: 731-742. 

  31. Hwang ES, Kim GH. 2011.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13-721. 

  32. Oboh G. 2005.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LWT-Food Sci Technol 38: 513-517. 

  33. Kim GS, Kim DH, Jeong MR, Jang IB, Shim KB, Kang CH, Lee SE, Seong NS, Song KS. 2004. Quantitative analysis of sesamin and sesamolin in various cultivars of sesame. Korean J Crop Sci 49: 496-502. 

  34. Kwon JE. 2011.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y on methanol extracts of Capsicum annuum L. from different varietie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35. Jon V, Grehte Iren AB, Mannor H, Trude W, Gunnar BB. 2009. Processing (blanching, boiling, steaming) effects on the content of glucosinolates and antioxidant-related parameters in cauliflower (Brassica oleracea L. ssp. botrytis). LWT-Food Sci Technol 42: 63-73. 

  36.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s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33-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