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3, 2009년, pp.267 - 273  

이경인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김선민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처리와 추출용매에 따른 비파 잎의 항산화활성 비교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80% ethanol 추출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RLE에서 DPPH radical 소거능$SC_{50}$이 1.71 mg/mL로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으며, nitric oxide 소거능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total phenolic compound와 total flavonoid 함량 측정에서 각각 215.4mg/g, 110.3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결과와 상당한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조건별로는 건조를 실시하지 않은 RL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L과 DL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열수 추출물 가운데에서 FLW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다른 열수 추출물(RLW, DLW)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가열건조와 동결건조 한 시료를 비교하면 FL이 DL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는 비파 잎을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할 경우 생잎을 바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있지만 불가피하게 건조를 해야 할 경우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선택하는 것이 생리활성물질의 보존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FL의 추출수율을 함께 고려할 경우 항산화 활성은 RL보다 다소 낮지만 추출수율은 RL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으므로 동결건조가 유리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항균활성 실험에서는 RLE가 거의 모든 균주에 대해서 가강 강한 생육저해 활성을 보였다. 다만 건조를 실시한 시료의 경우 MRSA와 S. aureus 균주에 대해서 FL이나 DL 모두 열수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함께 비파 잎 추출물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MRSA에 대해서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은 비파잎을 활용한 천연 항균물질 개발 가능성을 밝게 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MTT assay 이용한 Raw 264.7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RLE가 가장 양호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열수 추출물보다 낮아 세포보호효과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파 잎을 항산화항균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RLE가 가장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건조의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경우에는 가열건조보다는 동결건조를 이용하는 것이 생리활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Raw 264.7 cell viability as cytotoxicity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leaf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dried by differ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for processing as functional ingredient.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LE (80% EtOH extrac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은 재료의 처리 조건 및 추출방법 등에 따라 유효물질의 함량이나 생리적 활성도 다르게 나타난다(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으로 건조한 비파 잎을 재료로 하여 추출용매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과 세포독성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mean±SD (n=3) without relative activity.
  • 1)Values are mean±SD (n=3) without relative rati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 잎은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한방 관련 의서나 민간요법에서는 비파 과실이나 잎이 진해, 거담, 구토, 토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호흡진정과 갈증해소에도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하고 있다. 특히 비파 잎은 청폐(淸肺), 지해(止咳), 화위(和胃), 지구(止嘔), 소담(消痰), 해서독(解暑毒)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비파나무는 무엇인가?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나무는 장미과(Rosaceae)의 상록소교목으로서 겨울철에 개화하여 이듬해 6월에 수확하는 과실수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최대 생산국이며, 일본이나 스페인 등에서도 비파재배가 활발할 뿐만 아니라 비파 가공 산업이 발달되어 있다.
비파 잎의 일반 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무엇인가? 26%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33.81%가 탄수화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대부분이 섬유질이고 미량(1~2%)의 당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2005. 한방약리학.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p 290-292 

  2. 정보섭, 신민교. 2003. 도해 향약(생약)대사전(圖解 鄕藥(生藥)大事典). 영림사, 서울. p 610-612 

  3. Park MY. 2006. Germplasm evaluation and breeding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p 4-6 

  4. Hamada A, Yoshioka S, Takuma D, Yokota J, Cui T,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2004. The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on oxidative stress in adriamycin-induced nephropathy in rats. Biol Pharm Bull 27: 1961-1964 

  5. Yokota J, Takuma D, Hamada A, Onogawa M, Yoshioka S, Kusunose M, Miyamura M, Kyotani S, Nishioka Y. 2006. Scavenging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Eriobotrya japonica seed extract. Biol Pharm Bull 29: 467-471 

  6. Koba K, Matsuoka A, Osada K, Huang YS. 2007. Effect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extracts on LDL oxidation. Food Chem 104: 308-316 

  7. Chen J, Li WL, Wu JL, Ren BR, Zhang HQ. 2008. Hypoglycemic effects of a sesquiterpene glycoside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 Phytomedicine 15: 98-102 

  8. Banno N, Akihisa T, Tokuda H, Yasukawa K, Taguchi Y, Akazawa H, Ukiya M, Kimura Y, Suzuki T, Nishino H. 2005.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 of the triterpene acid from the leaves of Eriobotrya japonica. Biol Pharm Bull 28: 1995-1999 

  9. Cho YS, Park SK, Lee HY. 1991.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loquat flesh. J Korean Soc Food Nutr 20: 89-93 

  10. Lee BY, Park EM, Kim EJ, Choi HD, Kim IH, Hwang JB. 1996.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28-432 

  11. Bae YI, Shim KH. 1998.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5: 57-63 

  12. Bae YI, Chung YC, Shim KH. 2002.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7-101 

  13. Bae YI, Jeong CH, Shim KH.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picatechin isolated from leave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J Food Sci Nutr 10: 118-121 

  14. Soung DY, Kim JS, Chung HY, Jung HA, Park JC, Choi JS. 1999. Flavonoids and chlorogenic acid from Eriobotrya japonica scavenge peroxynitrite. Nat Prod Sci 5: 80-84 

  15. Bae YI, Jeong CH, Shim K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2-96 

  16. Chung HS. 2001. Isolation of new bioactive phytochemicals from natural product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 53-59 

  17.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ithersburg. p 1-25 

  18. Ku KM, Kim KU, Lee SC, Kang YH. 2006. Screening of cancer preventive activities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14: 590-591 

  19. Marcocci L, Maguire JJ, Droy-Lefaix MT, Packer L. 1994. The nitric oxide-scavenging properties of Ginkgo biloba extract EGb 76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 748-755 

  20.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Chichester. p 176-180 

  21. Lee YC, Hwang KH, Han DH. 1997. Composition of Opuntia ficus-ind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22. Collins CH, Lyne PM, Grange JM. 1995. Collins and Lyne's microbiological methods. Butterworth-Heinemann Ltd, Oxford. p 178-205 

  23. Shin KM, Park YM, Kim IT, Hong SP, Hong JP, Lee KT. 2003.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mygdali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Pharmacognosy 34: 223-227 

  24. Liu R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mechanism of action. J Nutr 134: 3479S-3485S 

  25.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Remesy C. 2005.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Am J Clin Nutr 81: 230S-242S 

  26. Ryu SW, Jin CW, Lee HS, Lee JY, Sapkota K, Lee BG, Yu CY, Lee MK, Kim MJ, Cho DH. 2006.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 Med Crop Sci 14: 307-310 

  27. Dewick PM. 2002. Medicinal natural products. Wiley & Sons, Chichester. p 149-151 

  28. Bang IS, Park HY, Yuh CS, Kim AJ, Yu CY, Ghimire B, Lee HS, Park JG, Choung MG, Lim JD. 2007.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 of extracts from mulberry (Morus alba L.) fruit. Korean J Med Crop Sci 15: 120-127 

  29. Yin Y, Wang MH. 2007.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fractions from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 methanolic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15: 329-334 

  30.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 Crop Sci 15: 183-188 

  31. Chung HT, Pae HO, Choi BM, Billiar TR, Kim YM. 2001.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2: 1075-1079 

  32. Radi R, Beckman JS, Bush KM, Freeman BA. 1991.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J Biol Chem 266: 4244-4250 

  33. Haenen GR, Paquay JB, Korthhouwer RE, Bast A. 1997. Peroxinitrite scavenging by flavonoid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36: 591-593 

  34.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 Crop Sci 9: 251-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