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잎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1 = no.127, 2010년, pp.1625 - 1633  

황윤경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아라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파잎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잎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dry basis)으로 수분 함량 5.78%, 조단백질 6.74%, 조지방 7.87%, 조회분 6.99%, 식이섬유소 43.61%, 탄수화물 29.01%를 함유하였다. 비파잎의 구성당은 총 4종 검출되었으며 이중 rhamnose가 3,391.84 mg/l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663.27 mg/l, glucose 651.65 mg/l, lactose 662.40 mg/l 검출되었다. 비파잎의 유리 아미노산glutamic acid 함량이 11.30 mg%로 가장 높았으며, asparagine 9.02 mg%, $\gamma$-amino-n-butyric acid 8.30 mg%, alanine 4.53 mg%, phosphoserine 3.77 mg%, aspartic acid 3.23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histidine 함량이 501.26 mg%로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0.15%로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가 41.54%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lauric acid 12.00%, myristic acid 11.13%, pentadecanoic acid 41.54% 순으로 검출되었다. 불포화지방산oleic acid 만 검출되었으며, 총 지방산 함량의 2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A는 0.039 mg%, 비타민 E는 0.096 mg%, 비타민 C는 0.575 mg%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 함량이 1,892.60 mg%, K 함량이 1,244.90 mg%로 많이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Mg, Na, Mn, Zn 순이었고, Cu 함량은 미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유기산succinic acid 함량이 24,343.57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2,964.87 mg/l, maleic acid 2538.59 mg/l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500 ppm에서 15.77 mg/ml, 1,000 ppm에서 32.32 mg/ml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000 ppm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500 ppm에서 15.58 mg/ml, 1,000 ppm에서 28.65 mg/ml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0 ppm에서 68.26%, 1,000 ppm에서 80.53%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oca Lindl (Loquat).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loquat leaf on a dry matter basis were 8.78% moisture content, 6.74% crude protein, 7.87% crude fat, 6.99% crude ash, 43.61% 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파잎의 다양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성을 높이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비파잎의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생리활성 효능 검증을 통 하여 기능성식품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나무는 무엇인가?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나무는 장미과(Resaceae)의 상록교목으로 높이가 5 m 내외로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긴난형이며, 길이는 15∼25 cm로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경남 및 전남지방 등 온화한 기후 조건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으며, 비파 잎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청폐, 진해, 거담, 건위 및 이뇨의 효능이 있다고 하며, 폐열해소, 기관지염, 구역질, 딸꾹질 및 부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9].
비파 잎의 효능은? )나무는 장미과(Resaceae)의 상록교목으로 높이가 5 m 내외로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긴난형이며, 길이는 15∼25 cm로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경남 및 전남지방 등 온화한 기후 조건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으며, 비파 잎은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청폐, 진해, 거담, 건위 및 이뇨의 효능이 있다고 하며, 폐열해소, 기관지염, 구역질, 딸꾹질 및 부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29]. 또한 중국 및 일본에서는 만성천식에 대해 민간약으로 사용되어져왔다[31].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한 결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치는 어떠한가?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ae, Y. I. and K. H. Shim. 1998.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57-63. 

  3. Bae, Y. I., C. H. Jeong, and K. H. Shim.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2-96. 

  4. Bae, Y. I., J. S. Moon, and K. H. Shim. 1998.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juice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70-274. 

  5. Bae, Y. I., K. I. Seo, S. K. Park, and K. H. Shim. 1998.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tea processing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62-269. 

  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7. Borrello, S., M. E. De Leo, and T. Galeotti. 1992.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Mn-SOD by manganese in the liver of manganese-deficient mice and during rat development. Biochem. Int. 28, 595-601. 

  8. Cha, Y. G., J. W. Lee, J. H. Kim, M. H. Park, and S. Y. Lee. 2004.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 Crop Sci. 12, 183-190. 

  9. Chae, S. K., G. S. Kang, S. J. Ma, K. W. Bang, M. W. Oh, and S. H. O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pp. 381-382, Jigu-Moonwha Sa. Seoul, Korea. 

  10. Cho, Y. S., S. K. Park, and H. Y. Lee. 1991.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Loquat flesh. J. Korean Soc. Food Nutr. 20, 89-93. 

  11. Chung, Y. D., S. I. Hong, H. B. Na, and Y. H. Shim. 1991. The study on concentration of serum copper and zinc in stomach cancer patients. Korean J. Nutr. 31, 324-332. 

  12.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12, 239-249. 

  13. Gancedo, M. and B. S. Luh.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in Waters. pp. 41-46, PICO. 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 

  14. Go, J. K. and S. I. Park. 2005. 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of curd yoghurt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extract. Korean J. Food Nutr. 18, 192-199. 

  15. Gomes, A., J. R. Vedasiromoni, M. Das, R. M. Sharma, and D. K. Ganguly. 1995. Anti-hyperglycemic effect of black tea (Camellia sinensis) in rat. J. Ethnopharmacol. 45, 223-226. 

  16. Grundy, S. M. 1986. Comparison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rbohydrates for lowering plasma cholesterol. NEng. J. Med. 314, 2855-2856. 

  17. Gutteridge, J. M. 1985. Inhibition of the fenton reaction by the protein ceruloplasmin and other copper complexes: assessment of peroxidas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hem. Biol. Int. 56, 113-120. 

  18. Huang, M. T., C. T. Ho, and C. Y.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pp 2-7, Maple Press, New York, USA. 

  19. Husain, S. R., J. Cillard, and P. Cillard. 198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Phytochemistry 26, 2489-2491. 

  20. Jeong, C. H., Y. I. Bae, and K. H. Shim.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venia dulcis Thunb. leaf te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7-123. 

  21. Jeong, C. H., Y. I. Bae, and K. H. Shim. 2002.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9, 234-239. 

  22. Jeong, Y. S., H. K. Jung, K. S. Youn, M. O. Kim, and J. H. Hong.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hot water extract from Eriobotrya japonica Lind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77-982. 

  23. Jung, K. M., G. H. Kang, M. K. Kwon, I. K. Song, D. H. Cho, and Y. D. Chou. 2004.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1, 175-181. 

  24. Kim, B. S., O. J. Choi, and K. H. Shim.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1-686. 

  25. Kim, H. J., C. U. Jo, T. H. Kim, D. S. Kim, M. Y. Park, and M. Y. Byun. 2006. Biological evalu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and its irradiation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84-690. 

  26. Kim, H. K., Y. J. Choi, and K. H. Kim. 2002.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13-1017. 

  27. Kim, S. L., N. K. Park, and J. R. Son. 2004. Analysis of amino acid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10, pp. 26-40, Suwon. Korea. 

  28.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pp. 367-368, 383-385.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29. Lee, C. B. 1982. Korean pictorial book of plants. pp.684-687, Hyangmoonsa. Seoul, Korea. 

  30. Lee, K. I. and S. M. Kim. 2009.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267-273. 

  31. Namba, T. 1994. The encycolopedia of Wakan-Yaku (traditional Sinojapanese medicines) with color pictures. Vol II. pp. 80-82, Hoikusa. Osaka. Japan. 

  32. Park, S. K., J. K. Kim, J. H. Kim, K. D. Moon, and S. L. Oh. 1994.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hysicochemical quality of oolong herbs tea by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Dietary Culture 9, 411-417. 

  33. Rice, E. C. A., N. J. Miller, and G. Paganga.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 and phenolic acid.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34. Rotruck, J. T., A. L. Pope, and H. E. Ganther. 1973. Selenium: biochemical role as a component of glutathione peroxidase. Science 179, 588-590. 

  35. Ryu, S. W., C. W. Jin, H. S. Lee, J. Y. Lee, K. Sapkota, B. G. Lee, C. Y. Yu, M. K. Lee, M. J. Kim, and D. H. Cho. 2006.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 Med. Crop. Sci. 14, 307-310. 

  36. Son, G. M., S. M. Bae, J. Y. Chung, D. J. Shin, and T. S. Sung.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er tea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8, 219-224. 

  37. Van Campen, D. R. 1969. Copper interference with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zinc-65 by rats. J. Nutr. 99, 97-104. 

  38. Whang, T. E., H. O. Lim, and J. W. Lee. 1996. Anticancer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by specificity test with several cancer cell lines. Korean J. Med. Crop. Sci. 4, 31-320. 

  39. Wungaarden, D. V. 1967. Modified rapid preparation fatty acid esters from liquid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9, 848-8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