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주거형태인 아파트 입주민들을 대상으로 입주자들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관련이 높은 건강상태 변수가 무엇인지 밝히고 어떠한 주거환경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거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는 사회자본에 대한 국제적인 조사도구인 SC-IQ를 바탕으로 하되 Chun[2]의 아파트 주거환경 조사척도를 첨가하였다. 설문조사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1월까지 7주간 이루어졌으며, 조사방법은 사전조사 차원을 통해 반응도 및 수거율 등을 고려하여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276부로서 수거율은 28%였으며 이 중 6부는 변수의 결측값이 많아 제거하여 총 270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주거환경과 관련된 건강관련 변수들 중에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변수가 가장 관련도가 높음을 파악했고, 요인 회전 및 요인 추출을 통해 27가지 주거환경 만족도에 대한 문항을 5가지 요인들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요인 1은 아파트 관리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2는 아파트 개별 가구 환경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3은 아파트 단지 환경(근린)과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4는 이웃관계와 관련된 요인으로 요인 5는 아파트 단지 시설환경과 관련된 요인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 요인 중 이웃관계 관련 요인 및 아파트단지 시설환경 요인의 경우 만족도가 높을수록 1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 하지만, 아파트단지 환경(근린) 관련 요인은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1년 전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에 안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린공간 및 이와 결합되어 있는 사회적 지지 변수가 건강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완충효과' 이론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결국 이 연구는 주거환경이 건강의 악화방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음을 밝히고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한 물리적이고 정서적인 주거환경과 건강과의 관련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HO insisted on that we should study about association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ealth status and make 'health city' concept as practical motto. This study analyzed about that how community environment affected their health. Methods: We surveye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

주제어

참고문헌 (29)

  1. WHO. Building a healthy city: a practitioner's guide-step-by-step approach to implementing healthy city projects in low-income countries. Geneva, WHO, 1995 

  2. WHO. Working towards a vision. case study in: world health day: healthy cities for a better Life. Geneva, WHO, 1996 

  3. Beaglehole R, Bonita R. Public health at the crossroads: achievements and proc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 Goldstein G, Kickbusch I. A healthy city is a better city. World Health 1996;1:4-6 

  5. Rojas Y, Carlson P. The stratification of social capital and its consequences for self-rated health in Taganrog, Russia. Soc Sci Med 2006;62(11):2732-2741 

  6. Yip W, Subramanian SV, Mitchell AD, Lee DTS, Wang J, Kawachi I. Does social capital enhance health and well-being? evidence from rural China. Soc Sci Med 2007;64:35-49 

  7. Kawachi I, Kennedy BP, Lochner K. Long live community: social capital as public health. American Prospect 1997;35:56-59 

  8. Kawachi I, Berkman LF. Neighborhoods and heal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9. Chun HS.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apartment complex in large cities. J Korean Sociol 2004;38(4):215-247(Korean) 

  10. Kim JH. Review for open discussions about healthy cities program. Health Soc Sci 2007;21:137-156(Korean) 

  11. Kim CH, Jung BD, Lee WS. Analysi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for the outdoor space of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Korea Research Institute Human Settlements 2007;53:277-294(Korean) 

  12. Lee KH, Kim YW.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utilizing outdoor spa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the lay-out in apartment housing. Journal of Housing Build Environment 2005;7(3):27-36(Korean) 

  13. Jang HD.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on residual satisfaction and post-occupancy evaluation methodology.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Korea 2007;27(1):85-88(Korean) 

  14. Nam SY, Lee SW. A comparative study of housing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Journal of Korea Research Institute Human Settlements 2008;12;119-147(Korean) 

  15. Wright PA, Kloos B. Housing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outcome: a level of analysis perspective. J Environ Psychol 2007;27:79-89 

  16. Subramanian SV, Kubzansky L, Berkman L, Fay M, Kawachi I. Neighborhood effects on the self-rated health of elders: uncove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uctural and service-related neighborhood environments. J Gerontol 2006;61(3):153-160 

  17. Marmot M.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nd edi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pp.297-317 

  18. Tania K, James RD. Effects of housing circumstances on health, quality of life and healthcare use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a review. Health Soc Care Community 2008;16(1):1-15 

  19. Cho BH. Community capacity assessment and development toward health promotion and healthy city. Seoul: Dobong Health Center, 2006(Korean) 

  20. Narayan D, Jones VN, Woolcock M, Grootaert C. Measuring social capital: an integrated questionnaire. World Bank Working Paper no.18, 2004 

  21. Chun HS. A study on the living culture on apart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2(Korean) 

  22. Sabatini F. Measuring social capital in Italy: an exploratory analysis. Third Sector and Civil Economy Working Paper Series. no.12, 2005 

  23. Nogueira H. Healthy communities: the challenge of social capital in the Lisbon Metropolitan Area. Health Place 2009;15:133-139 

  24. Molaris A, Berglund K, Erikson C, Lambe M, Nordstrom E, Erikson HG, Feldman I. Socioeconomic conditions, lifestyle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among men and women in Sweden. Eur J Public Health 2006;17(2):125-133 

  25. Elsinga M, Hoekstra J. Home ownership and housing satisfaction. Journal of Housing Build Environment 2005;20:401-424 

  26. Grossman M. On the concept of health capital and the demand for health. J Polit Econ 1972;80:223-255 

  27. 사회적 지지 연구회 역. 사회적 지지와 건강. 현문사, 2002, 쪽6-7,115-118 

  28. Minkler M, Wallerstein N.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New York, Jossey-Bass Inc., 2003 

  29. Smith MB, Graham YJ, Guttmacher S. Community-based health organizations: advocating for improved health. San Francis co, Jossey-Bass Inc.,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