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Cone Beam CT를 이용한 하악 과두의 골 이상에 대한 방사선적 분석 Radiographic examination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Mandibular Condyle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과 성별 및 CT 촬영 목적에 따른 하악 과두의 골 이상에 대한 양상과 발병률 그리고 호발 부위를 살펴보고, 촬영 목적에 있어서 TMD 진단을 위한 그룹과 그 외의 그룹간의 발병 양상을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 병원으로부터 $i-CAT^{TM}$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촬영된 199명의 3차원 CT 영상을 수집하고, 촬영된 MPR 이미지는 하악 과두의 연속된 시상 이미지와 관상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TMJ 모드로 전환되었다. 3명의 관찰자는 이를 토대로 골 이상의 양상 및 발병률, 호발 부위, 그리고 하악 과두의 전반적인 외형에 대해 각기 독립적으로 판독한 결과 type F가 type N보다도 훨씬 흔하게 관찰 되었다. 시상 이미지에서의 호발 부위는 type D-C를 제외하고는 하악 과두의 전상방 및 상방 부위였으며, type D-C에서는 후상방 부위가 가장 흔하였다. 관상 이미지에서는 type E를 제외하고는 외상방 및 상방 부위에 호발하였으나, type E에서는 내상방 및 상방 부위에서 빈발 하였다. 하악 과두의 골 이상 소견은 type D-C를 제외하고는 TMD 진단을 위한 그룹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그룹에서는 type N 및 type D-C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과두의 골 이상 소견을 6가지 분류해 보았으며, 이러한 골 이상 소견은 각기 빈발하는 부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MD 진단 그룹이 type D-C를 제외하고는 골 이상 소견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과 성별 및 CT 촬영 목적에 따른 하악 과두의 골 이상에 대한 양상과 발병률 그리고 호발 부위를 살펴보고, 촬영 목적에 있어서 TMD 진단을 위한 그룹과 그 외의 그룹간의 발병 양상을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원광대학교 산본 치과 병원으로부터 $i-CAT^{TM}$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촬영된 199명의 3차원 CT 영상을 수집하고, 촬영된 MPR 이미지는 하악 과두의 연속된 시상 이미지와 관상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TMJ 모드로 전환되었다. 3명의 관찰자는 이를 토대로 골 이상의 양상 및 발병률, 호발 부위, 그리고 하악 과두의 전반적인 외형에 대해 각기 독립적으로 판독한 결과 type F가 type N보다도 훨씬 흔하게 관찰 되었다. 시상 이미지에서의 호발 부위는 type D-C를 제외하고는 하악 과두의 전상방 및 상방 부위였으며, type D-C에서는 후상방 부위가 가장 흔하였다. 관상 이미지에서는 type E를 제외하고는 외상방 및 상방 부위에 호발하였으나, type E에서는 내상방 및 상방 부위에서 빈발 하였다. 하악 과두의 골 이상 소견은 type D-C를 제외하고는 TMD 진단을 위한 그룹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그룹에서는 type N 및 type D-C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과두의 골 이상 소견을 6가지 분류해 보았으며, 이러한 골 이상 소견은 각기 빈발하는 부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TMD 진단 그룹이 type D-C를 제외하고는 골 이상 소견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ylar surfaces in order to find out the types, the incidence and common occurrence area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ccording to the age, genders and the purpose of CT taking, and to compare those between the groups for TMD diagnosi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ylar surfaces in order to find out the types, the incidence and common occurrence area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ccording to the age, genders and the purpose of CT taking, and to compare those between the groups for TMD diagnosis and the other groups. 3D CT images of 199 patients which were scanned with the $i-CAT^{TM}$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were collected from Sanb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and the MPR images were transfered to the TMJ mode to be showed serial sagittal images and coronal images. The images were macroscopically examined by three independent observers for the types and incidences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their common occurrence area and general shapes of the condyles. As a result, type F is most common ever than type N. The common occurrence area in sagittal images is antero-superior and superior area except for type D-C which were showed on postero-superior area commonly. In coronal images, latero-superior and superior area is most common except for type E which were present on mesio-superior and superior area most frequently.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re more common in TMD diagnosis group except for type D-C, that is type N and type D-C are more common in the other groups. In this study,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re classified into 6 types and it has a common occurrence area each. And TMD diagnosis group shows a tendency to have higher rate for osseous abnormalities except for type D-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ylar surfaces in order to find out the types, the incidence and common occurrence area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ccording to the age, genders and the purpose of CT taking, and to compare those between the groups for TMD diagnosis and the other groups. 3D CT images of 199 patients which were scanned with the $i-CAT^{TM}$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were collected from Sanb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and the MPR images were transfered to the TMJ mode to be showed serial sagittal images and coronal images. The images were macroscopically examined by three independent observers for the types and incidences of the osseous abnormalities, their common occurrence area and general shapes of the condyles. As a result, type F is most common ever than type N. The common occurrence area in sagittal images is antero-superior and superior area except for type D-C which were showed on postero-superior area commonly. In coronal images, latero-superior and superior area is most common except for type E which were present on mesio-superior and superior area most frequently. The osseous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re more common in TMD diagnosis group except for type D-C, that is type N and type D-C are more common in the other groups. In this study, abnormalities of the condyles are classified into 6 types and it has a common occurrence area each. And TMD diagnosis group shows a tendency to have higher rate for osseous abnormalities except for type D-C.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