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증상을 중심으로 한 자궁근종 관련성에 대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relation of Uterine myoma focusing on General symptom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22 no.1, 2009년, pp.161 - 171  

윤영진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장준복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조정훈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이진무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이창훈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  이경섭 (경희대학교 한방 부인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tended to observe relation between general symptom and the number of uterine myoma. Methods: We surveyed 948 women from 35 to 45 years old who had received Korean oriental medical questionnaires about general symptom pattern and pelvic ultrasonography at Kyung-Hee university medical 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자궁근종의 개수를 자궁출혈, 종류감, 동통 및 압박 증상 등 생식기 관련 임상 양상에 국한하지 않고 睡眠, 消化, 大便, 小便, 汗, 精神, 寒熱 및 其他 관련 일반 증상을 바탕으로 한 한의학적 問診과 비교 관찰하여 病因病機 및 辨證의 기초자료를 도출하려 하였다. 濕痰, 濕熱, 食積 등으로 인한 氣滯血瘀라는 기존 病因病機와 부합하는 증상도 있었지만 이와 큰 관련성 없이 자궁근종 개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유의한 증상들도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문항의 수정 및 보완뿐만 아니라 자궁근종 개수별 대상군의 수를 더욱 증가시키고 정상군을 포함시킨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에 저자는 일반 증상을 중심으로 한 자궁근종 관련성에 대한 예비 연구로 35에서 45세까지 여성 중 골반강 초음파 검사 결과 상 자궁근종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睡眠, 消化, 大便, 小便, 汗, 精神, 寒熱 및 其他 관련 問診으로 이루어진 일반 증상과 자궁근종 개수의 관련성을 비교 연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궁근종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자궁근종의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연령, 인종, 유전적 요인 및 호르몬 등이 관여하며3) 주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및 성장 호르몬에 의해 성장하여 고령, 가족력, 미산부 및 비만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발병률이 높다4). 특히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정상 자궁보다 많이 존재하며5) 에스트로겐 투여 후와 임신 시에는 자궁근종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6)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은 어떤 증상을 호발하는가? 자궁근종은 30~45세에서 호발하며 40세 이상의 여성 40~50%에서 발견되는 흔한 부인과 질환으로 발생 부위,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동통, 압박으로 인한 빈뇨와 변비, 월경과다와 자궁출혈, 빈혈로 인한 전신쇠약, 권태감 및 현훈 등의 증상이 호발한다1,2).
일반 증상을 중심으로 한 자궁근종 관련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자궁근종 개수와 睡眠 양상의 비교에서는 평소 수면 중 꿈을 꾸는 정도(p<0.01)와 평소 수면 중 깨는 정도(p<0.05)에 따라 자궁근종 발생 개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궁근종 개수와 消化 양상의 비교에서는 평소 식욕의 정도(p<0.05)와 평소 속이 아프거나 쓰린 정도(p<0.01)에 따라 자궁근종 발생 개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궁근종 개수와 大便 양상의 비교에서는 평소 대변의 굳은 정도(p<0.05)에 따라 자궁근종 발생 개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궁근종 개수와 發汗 양상의 비교에서는 평소 땀을 흘린 후의 상쾌감 정도(p<0.05)에 따라 자궁근종 발생 개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자궁근종 개수와 其他 양상의 비교에서는 평소 어깨나 뒷목이 뻣뻣하거나 무거운 정도(p<0.05)에 따라 자궁근종 발생 개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上). 서울:정담. 2002;303-313. 

  2.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3판. 서울:칼빈서적. 1997;175-183. 

  3. 위효선 등. 자궁근종 환자 4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1):272-285. 

  4. Evans P, Brunsell S. Uterine fibroid tumors: diagnosis and treatment. Am Fam Physician. 2007;75(10):1503-1508. 

  5. Soules MR, McCarty KS Jr. Leiomyomas: steroid receptor content. Variation within normal menstrual cycles. Am J Obstet Gynecol. 1982;143(1):6-11. 

  6. Parker WH. Etiology, symptomatology, and diagnosis of uterine myomas. Fertil Steril. 2007;87(4):725-736. 

  7.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2판. 서울:행림출판. 1998;252-259. 

  8. 배은경, 이경섭, 송병기. 子宮筋腫의 韓醫學的 接近.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4;7(1):79-86. 

  9. 이경섭, 송병기. ??治方에 關한 文獻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82;5(2): 54-62. 

  10. 이인호 등. 桂枝茯?丸이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2): 12-24. 

  11. 김소연, 백승희. 膈下逐瘀湯이 子宮筋腫細胞의 增殖과 MAP kinase 活性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 1-16. 

  12. 전미혜 등. 五積散이 子宮筋腫細胞의 死滅과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 56-67. 

  13. 김윤근 등. 蟠?散이 子宮筋腫細胞의 死滅과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 34-44. 

  14. 김석중 등. 七製香附丸이 자궁근종세포의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 :25-42. 

  15. 문나영, 김동철, 백승희. 血府逐瘀湯 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186-198. 

  16. 백승희, 김동철. 失笑散이 자궁근종 세포의 증식억제와 MAP kinase 활성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 29-42. 

  17. 이화경, 김동철, 백승희. 鷄血藤이 子宮筋腫細胞의 增殖抑制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135-149. 

  18. 이수진, 김동철, 백승희. 益母草가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1-12. 

  19. 김동철 등. 香附子가 子宮筋腫細胞의 成長抑制와 MAP kinase 活性 및 cell apoptosis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2):18-33. 

  20. 이희재, 김동철, 백승희. 玄胡索이 자궁근종세포의 증식억제와 apoptosis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214-225. 

  21. 정병천 등. 魚腥草가 자궁근종 세포의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 20(3):1-12. 

  22. 박정규 등.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통 계학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05;48(2):436-445. 

  23. Flake GP, Andersen J, Dixon D.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uterine leiomyomas: a review. Environ Health Perspect. 2003;111(8):1037-1054. 

  24. 오재성 등. 자궁적출술후 시간경과에 따라 발현되는 증상의 양상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 15(3):97-106. 

  25. 이인선 등. 자궁근종 원인에 대한 DSOM 변수의 연관성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4):159-173. 

  26. 엄윤경, 이인선, 김규곤. 자궁근종을 가진 환자의 증상지표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 18(2):109-122. 

  27. 김흥수 등.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환자에서 과다월경 증상 유무에 따른 MMPI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11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