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영양지식 도구개발 및 식습관과의 관련성: 보건소 방문 임부 대상
Development of the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Scale and Its Relationship with Eating Habits in Pregnant Women visiting Community Health Cent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1, 2009년, pp.33 - 43  

김혜원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scal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gnancy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in pregnant women. Methods: With convenient sampling, 189 pregnant women who used community health centers for their ante-natal c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개발된 임신영양지식 도구의 적합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수차례의 문항개발로부터 완성된 18개의 지식문항은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인정받았고 신뢰도 검정에서도 비교적 만족할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보다 객관적인 방식인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도하였다.
  • 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임부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을 향상시켜서 임부의 건강증진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임부 영양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임신 영양 지식 도구를 개발하고, 임신영양지식이 식습관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로 측정한 보건소 방문 임부의 임신영양지식은 도구의 중간값에 머물러 미흡한수준이었고, 임부의 식습관 역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횡단적 자료 수집 방식을 적용하여 임신영양지식 도구를 개발하고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며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부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임신영양지식 도구를 개발하고,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 간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발된 18문항의 임신영양지식은 예비단계를 거친 후 신뢰도 및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alpha 계수는 .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에게 필요로 하는 임신영양지식 도구를 개발하고, 임신영양지식이 식습관과의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임부의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을 향상시켜서 임부의 건강증진과 합병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부 영양연구의 첫 단계로서 임부에게 필요한 임신영양지식 도구를 개발하고 임신영양지식과 식습관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추후 임부 영양교육 평가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on, A. S. (2001). Symposium on 'nutritional adaptation to pregnancy and lactation': Pregnancy as a time for dietary change?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60, 497-504 

  2. Choe, M. A., & Lee, I. S. (199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Seoul: HyunMoonSa Publishing 

  3. Choi, B. S., Lee, I. S., Shin, J. J., Park, M. H., & Joung, H. J. (2003). Common functional problems during pregnancy and association with nutritional status and weight of newborn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 138-148 

  4. Choi, M. K., Jun, Y. S., & Kim, A. J. (2001). A survey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smoking male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 248-257 

  5. Contento, I. R., Randell, J. S., & Basch, C. E. (2002). Review and analysis of evaluation measures used in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4, 2-25 

  6. Cho, K., & Kwon, S. (2002). A comparative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with body mass index of hypertensive patients commuting to a local health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 185-198 

  7. Hong, K. J., Kim, H. W., & Ahn, H. Y. (2005). Menstrual discomfort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330-339 

  8. Ju, K., & So, H. (2008). Effects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 efficacy, diet behavior patter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r th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4-73 

  9. Kim, G. S. (2007). AMOS 7.0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HanNanRae Publishing 

  10. Kim, H. W. (2006). The effects of a PMS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164-1174 

  11. Kim, S., Sohn, C., & Chung, W. Y. (2005).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food habits and serum lipid levels of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 125-132 

  12. Kim, W. J., Ahn, H. S., & Chung, E. J. (2005). Mineral intakes and serum mineral concentrations of the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0, 59-69 

  13. Lee, H. H., & Shim, J. S. (199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of the middle 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 17-27 

  14. Lee, H. S., Kim, M. S., Kim, M. H., Kim, Y. H., & Kim, W. Y. (2006). Iron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pregnancy outcome in Korean pregnant women.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0, 1130-1135 

  15. Lee, J. A., Lee, J. I., & Lim, H. S. (2004). A study on the changes of maternal dietary iron intakes, its bioavailability, and iron statu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9, 142-150 

  16. Lee, Y. J. (2003). Effects of eating habits on maternal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inf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Lim, H. S. (2002). Nutritional factors of the women of reproductive age and pregnancy outcom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7, 894-906 

  18. Mulliner, C. M., Spiby, H., & Frase, R. B. (1995). A study exploring midwives' education in,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nutrition in pregnancy. Midwifery, 11, 37-41 

  19. Oh, S. Y., & You, H. E. (2005). Evaluation of public health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girl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8, 873-879 

  20. Park, H. A. (2002). Nutritional counseling for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 688-705 

  21. Shin, Y. H., Ahn, S. H., Ahn, J. R., Yang, G. W., & Oh, S. K. (2007). Development of a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exercise and dietary habits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03-714 

  22. Song, B. C., & Kim, M. K. (1999). A study on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adults women living in Jungwon area. Journal of Kungook Natural Science, 10, 247-256 

  23. Szwajcer, E. M., Hiddink, G. J., Koelen, M. A., & Van Woerkum, C. M. (2007). Nutrition awareness and pregnancy: Implications for the life course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35, 58-64 

  24. Truswell, A. S. (1999). What nutrition knowledge and skills do primary care physicians need to have, and how should this be communicated?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3, S67-S71 

  25. Verbeke, W., & de Bourdeaudhuij, I. (2007). Dietary behavior of pregnant versus non pregnant women. Appetite, 48, 78-86 

  26. Yoon, J. S., Park, J. A., & Son, S. M. (2003). The iron status and diet quality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first five months of pregnanc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8, 803-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