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와 학령전기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oodness-of-Fit for Mother-Preschool Child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1, 2009년, pp.53 - 61  

정향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안민순 (마산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oodness-of-fit for mother-preschool child dyads and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the mother.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500 mothers who had children aged 3 to 5 who attended one of ten kindergartens or infant schools in M 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동의 기질과 성장환경 간의 조화적합성개념에 근거를 두고, 아동의 기질과 아동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사이의 기질 조화적합성을 확인하며, 이러한 기질 조화 적합성에 영향을 주는 특성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기질조화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을 조사하고,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논의함에 있어서 동일도구로 측정된 기질 조화적합성 연구를 찾기 어려워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후 관련 연구와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어머니와 학령전기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아동의 기질 형성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한 아동의 기질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는 쌍방적인 관계를 중요시함을 고려해볼 때,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기질조화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을 조사하고,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논의함에 있어서 동일도구로 측정된 기질 조화적합성 연구를 찾기 어려워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후 관련 연구와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조화적합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점수가 가장 낮은 요인은 집중력으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Charlottesville, VA: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hn, M. S. (2005). Effects of a matern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emperament theory on the temperamental goodness-offit between mother and chil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044-1053 

  3. Bae, K. S. (2004). Infant's temperament and self-esteem: Test of a 'goodness of fit'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 Bang, K. S. (2004). Child rearing attitude and burden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and temperament and health related variables of thei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0, 217-224 

  5. Brent, A. M., Sarah, J. S., & Thomas, R. R. (2002). Child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involvement: Fathers versus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998-1011 

  6. Buss, A. H., &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NY: Wiley 

  7. Chess, S., & Thomas, A. (1999). Goodness of fit: Clinical application from infancy through adult life. Philadelphia, PA: Brunner/Mazel 

  8. Choi, S. W.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other perceived child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9. Cri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1042-1050 

  10. Cri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11. Dumas, J. E., & LaFreniere, P. J. (1993). Mother-child relationships as source of support or stress: A comparison of competent, average, aggressive, and anxious dyads. Child Development, 64, 1732-1754 

  12. Hockenberry, M. J., & Winkelstein, W. (2004).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New York, NY: Mosby 

  13. Hong, K. O. (1994).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ers' patterns of attachment and their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4. Jung, J. Y. (2002).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 Relations to the mother perception of child behavior problem and the mother-child's goodness of f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5. Jung, Y, A. (2004). Parenting stress of preschool children's fathers and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Kim, J. M., & Yoon, G. (1992). The effects of temperamental goodness-of-fit o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5, 55-72 

  17. Kim, H. M. (2004). The relatio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Kim, H. S., Oh, K. S., Shin, Y. H., Kim, T. I., Yoo, H. N., Sim M. K., et al. (2005).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in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 290-300 

  19. Kim, H. S., Sim, M. K., Kim, T. I., Kathleen N. F., Rosemary White-Traut C., & Carole K. A. (2007).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confidence in first-time mothers of infants in their first yea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119-127 

  20. Kwon, M. K., Kim, H. W., Kim, N. S., & Jang J. A.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 314-321 

  21. Lee, Y. S., & Seo, S. J. (2006). Preschoolers' adjustment behavior-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attitud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43-155 

  22. Lee, Y. Y. (2007). The effect of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on marital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3. Lerner, J. V. (1983). The role of temperament in psychological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ts: A test of a goodness of fit mod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44, 143-155 

  24. Luster, T., & Okagaki, L. (1993).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M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Moon, C. N. (2004). The relation between mother-child's goodness-offi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26. Nam, H. S. (2003). A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dependant on children's temperament perceived by their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7. Daegu. Park, S. Y., & Rim, M. R. (2002). Work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a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day care q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 57-68 

  28.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NY: Bruuner/Maze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