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에서 어머니-아동 기질 관계와 양육스트레스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Mother-Child Temperamental Interactions and Parenting Stress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9 no.3, 2015년, pp.12 - 20  

유경 (밝은언어심리센터) ,  김락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  유승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child's temper and parenting stress. Methods : One hundred twenty healthy mothers (above 20 yrs old) who has a school-aged child (7-11 yrs old) participated after informed consent. The temperamen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어머니의 각각의 기질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여기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인 아동의 자극추구, 인내력과 어머니의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의 각각의 점수 또는 역수를 곱하여 이에 대해 양육스트레스와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기질간 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어머니와 함께 아동의 양육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아버지의 기질과 아동의 기질과의 상호작용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기질, 그리고 둘 사이의 관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양육 스트레스에 있어서 어머니-아동 기질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특히 어머니와 아동의 특정 기질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양육스트레스를 보다 잘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기질 조합에 의한 양육스트레스, 아동의 문제 행동 등에 대한 연구가 이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어머니의 각각의 기질척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여기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인 아동의 자극추구, 인내력과 어머니의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의 각각의 점수 또는 역수를 곱하여 이에 대해 양육스트레스와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을 주는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SI 축약형 검사는 어떻게 스트레스를 측정하는가? 총 스트레스 점수와 하위척도인 부모의 고통, 역기능적 상호작용, 까다로운 아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총 스트레스 점수는 는 개인이 경험하는 전반적인 양육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주며, 부모의 고통 하위척도는 부모가 부모역할을 하면서 겪는 스트레스를 측정하며,역기능적 상호작용 하위척도는 자녀가 자신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인식하는 부모와 부모에게 긍정적 피드백을 주지 않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며,까다로운 아동 하위척도는 아동이 보이는 일부행동특성에 중점을 둔다.
부모가 양육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또한 자녀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자존감과 부모로서의 자신감이 손상되어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더욱 빈번하게 한다. 또한, 부모가 양육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는 어머니의 우울과 같은 부모의 특성과도 관련되며, 가계소득, 자녀 수, 남편의 직업, 사회적 지지, 부부 만족도와 같은 가족 환경적 변인과도 관련된다 3).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로 인하여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가? 현대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가족구조의 변화 등은 부모가 가지는 책임과 역할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며 많은 양육 스트레스에 직면하고 있다. 자녀 양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양육 스트레스는 심리적 부담감은 물론, 자녀에 대한 태도,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모로서의 적응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양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을 약화시켜 역기능적이고 부당한 양육 행동을 가져오게 된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professional manual. 3rd edition.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2. Jung KM, Lee GS, Park JA.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 Seoul. Hakjisa. 2008;3-6, 13-5, 52-5, 59-64. 

  3. Choi YH.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father's. Master's Thesis of Sukmyung University. 1992. 

  4. Chung KM, Lee KS, Park JA, Kim HJ.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K-PSI). Korean J Clin Psychol. 2008;27(3):689-707. 

  5. Susan C. Cloninger. Theories of personality. Prentice Hall. 2007:267-74. 

  6. Gillespie NA, Cloninger CR, Heath AC, Martin NG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 between cloninger's dimensio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3;35:1931-46. 

  7. Min BB, Oh HS, Lee JY.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family manual. Seoul. Maumsarang. 2007:6-14. 

  8. Jung HM, Ahn MS. Relationship between goodness-of-fit for mother-preschool child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 J Korean Acad Nurs. 2009;39(1):53-61. 

  9. David C, Rettew DC, Stanger C, McKee L, Doyle A, Hudziak JJ.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parent temperament and child behavior problems. Compr Psychiatry. 2006;47(5):412-20. 

  10. Ha HY, Jung HR, Lee SJ, Chae H. Studies on relations between goodness of fit in mother-children temperament interac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3;27(2):11-9. 

  11. Lee KS, Chung KM, Park JA, Kim HJ.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Korean J Woman Psychol. 2008;13(3):363-77. 

  12.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medicine neuropsychiatry. Seoul. Jipmoondang. 207:104. 

  13. Chess S, Thomas A. Goodness of fit: clinical application from infancy through adult life. Philadelphia, PA: Brunner/Mazel.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