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hild's Temperament, Child-mother Goodness of Fit and a Child's Self-percept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2 no.3, 2011년, pp.59 - 76  

장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child's temperament and child-mother goodness of fit affect the child's self-perception. 165 pair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The moth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and goodness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질이란 무엇인가? 유아의 자기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개인의 내적요인인 유아의 기질과 외적요인인 유아의 후천적 환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질은 ‘인간의 행동경향에 있어서 생물학적 뿌리를 둔 개인적 차이로 생의 초기에 나타나며, 다양한 상황과 시간의 흐름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특징(Bates, 1989)’으로 정의 된다. 기질에 따라 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하는 방법에 차이가 존재하며, 기질에 따른 개인적 감정의 차이는 유아의 자기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유아의 기질과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만 5세아 165명과 해당 유아의 어머니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및 면접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첫째, 유아의 자기지각은 학업능력, 사회능력, 또래수용, 우울-불안, 공격-적대, 신체능력의 하위영역에서 평균이 중간 값 이상으로 나타나서 연구대상 유아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지각에 있어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자신의 학업능력이 우수하다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높은 읽기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었다는 Eccles(199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남아는 여아보다 자신이 공격적이라고 지각하였는데, 이는 선행연구(Measelle et al., 1998)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가 지각한 신체능력에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아가 여아보다 자신의 운동능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Eccles et al., 1993)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르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신체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을 물어보는 문항의 내용에 ‘나는 단추를 잘 끼운다’ 등 소근육과 관련한 신체능력 문항이 포함되어서, 이들 문항에서 남아에 비해 소근육이 발달한 여아의 자기지각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성별에 따른 학업능력과 공격-적대에 대한 유아의 자기지각 차이는 남아와 여아의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이 시기에 유아가 수행하는 대부분의 학업은 언어능력과 관계되는 활동이거나 정적인 활동이므로, 여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언어능력이 낮고 활동적인 남아들에게는 어려운 일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남아의 활동적이고 거친 특성은 부모나 교사에게 부정적인 것 혹은 공격성으로 지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부모나 교사는 이러한 성별에 따른 유아의 행동 차이를 인식하고 남아의 특성을 일정 부분 수용하는 태도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질의 조화적합성은 하위 유형 간에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한 기질의 조화적합성이 높은 경우 다른 기질의 조화적합성 역시 높아서 전반적으로 조화로운 유아-어머니 관계를 가졌다. 반면 한 기질의 조화적합성이 낮은 경우에는 다른 기질의 조화적합성 역시 낮아서 전반적으로 조화롭지 않은 유아-어머니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유아의 학업능력, 사회능력, 또래수용, 신체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은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의 하위요인 모두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들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유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이 조화로운 유아-어머니 관계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우울-불안, 공격-적대에 대한 자기지각과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은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유아의 부정적인 자기지각이 조화롭지 않은 유아 어머니 관계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유아의 자기지각의 각 하위요인들 역시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유아는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긍정적인 지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사람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지각의 각 영역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능력과 행동적 품행에 대한 자기지각, 운동 능력과 사회적 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이 관련이 있다는 Harter(1984)의 주장과 일치한다. 셋째,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은 유아가 응답한 자기지각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아의 기질 자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아의 기질이 미치는 영향력은 우울-불안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의 학업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는 적응적 기질의 조화적합성과 성별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는 유아의 기질 자체가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어머니와의 조화적합성만이 유의하였다. 이는 Brown 등의 연구(2009)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데, 기질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경향은 유아가 스스로 보고한 사회적 자기지각에 독립적 영향요인이었으나 부모의 양육과 가족의 상호작용 또한 유아의 기질과 자기개념 사이의 관계를 중재하였다. 즉, 부모가 어떤 양육행동을 보이느냐에 따라 기질이 유아의 자기개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는 것이다. 또래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도 조화적합성의 영향력만이 나타났는데, 이는 기질이 또래수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친구들의 또래 거부에 있어 강력한 예측요인(SzewczykSokolowski, Bost, & Wainwright, 2005)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소 상이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관찰된 또래수용이 유아의 자기지각과는 다른 차원의 개념이기 때문이며, 또한 유아의 또래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에 미치는 조화적합성의 영향력이 기질의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조화적합성의 영향력을 검증하지 않은 선행연구에서는 기질의 영향력만이 유의하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 우울-불안에 대한 자기지각에는 조화적합성과 유아 기질의 영향력이 모두 나타났다. 기질과 우울불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질적 특징인 기분이 우울 증상과 관련이 있으며 기질적 특징이 우울 효과를 중재(Compas, Connor-Smith, & Jaser, 2004)한다는 결과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활발한 기질과 규칙적 기질 자체의 설명력 보다 활발한 기질에 대한 유아와 어머니의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우울-불안에 대한 자기지각을 더 잘 설명하였다. 이는 자신을 잘 조절하는 아동에게 엄마의 감정지도가 유치원에서의 불안과 정적 관련이 있었고, 반면 자신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유아에게는 엄마의 감정지도가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Lagace-Seguin와 Coplan(2005)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들은 어떤 유아에게는 부모의 감정지도가 유아의 감정을 사회화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문제를 일으킨다는 결론을 내렸다. 유아의 활발한 기질과 규칙적 기질 역시 유아의 우울-불안에 대한 자기지각에 영향을 미쳤는데, 활동수준이 높고 활발한 기질은 조용하고 소극적인 기질보다 우울-불안과의 관련이 적다는 것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일상습관이 규칙적인 기질 역시 일상을 예측하기 쉽고 안정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므로 자신을 우울하지 않게 지각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내현화 문제행동인 우울-불안은 유아의 기질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역동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공격-적대에 대한 자기지각에는 기질과 조화적합성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았고 성별만이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이다. 기질과 공격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유아의 감각을 찾는 기질은 공격성과 관련이 있었다(Xu, Farver, & Zhang, 2009). 또한 기질적 어려움은 다양한 감정 중 ‘화’를 이끌어내며, 기질은 공격성과 화의 분산의 1~7%를 설명하는 예측 변수였다(Ortiz, Del Barrio, Gandara, 2006).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관찰된 공격성이라는 변수와 이 연구에서 살펴본 공격-적대에 대한 유아의 자기지각이 다소 상이한 개념을 포함하기 때문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신체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는 적응적 기질의 조화적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유아의 기질을 고려하여 자녀에게 적절한 요구를 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적응적 기질은 유연성과 접근성이 높고 기분이 긍정적이어서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 속성을 의미하며, 따라서 적응적 기질의 점수가 낮은 유아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만약 어머니가 자녀와의 조화적합성이 낮은 경우, 자녀에게 새로운 상황과 환경에 적응할 것을 강요하고 긍정적인 기분을 갖도록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는 유아의 부정적인 자기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아의 적응적 기질 점수가 낮아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경우에는 빠른 적응을 요구하기 보다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유아를 기다려 주는 것이 유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 발달에 도움이 된다. 빠른 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질책과 지나친 기대는 유아의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부정적인 자기지각은 유아의 적응성과 접근성, 유연성을 저하하게 되어 오히려 유아의 부적응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부모교육을 통해 인지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유아의 자기지각에 유아의 기질 자체보다도 유아와 어머니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조화로움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가 자기 자신을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유아의 기질을 이해하고 일상에서 유아의 기질에 맞게 자신의 요구 수준을 수정함으로써 자녀와 조화로운 관계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유아의 자기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과 무엇으로 나눌 수 있는가? 유아의 자기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개인의 내적요인인 유아의 기질과 외적요인인 유아의 후천적 환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질은 ‘인간의 행동경향에 있어서 생물학적 뿌리를 둔 개인적 차이로 생의 초기에 나타나며, 다양한 상황과 시간의 흐름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특징(Bates, 1989)’으로 정의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서주현(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최은정(2005). 이혼가정 아동의 가족 관계 지각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Ablow, J. C., & Measelle, J. R. (1993). The Berkeley puppet Interview:Interviewing & coding system manuals. OR:University Oregon. 

  4. Arseneault, L., Kim-Cohen, J., Taylor, A., Caspi, A., & Moffitt, T. E. (2005). Psychometric evaluation of 5- and 7-year-old children's self-reports of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5), 537-550. 

  5. Bates, J. E. (1989). Concepts and measures of temperament. In G. Kohnstamm, J. Bates & M. Rothbart (Eds.), Temperament in Childhood (pp. 3-26). New York:Wiley. 

  6. Brown, G. L., Mangelsdorf, S. C., Neff, C., Schoppe-Sullivan, S. J., & Frosch, C. A. (2009). Young children's self-concepts; associations with child temperament,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and triadic family interaction Merrill-Palmer Quarterly, 55(2), 184-216. 

  7. Chess, S., & Thomas, A.(1998). Goodness fo fit:Clinical applications from infancy through adult life. Philadelphia:Brunner/Mazel. 

  8. Cicchetti, D., & Cohen, D. J. (1995). Perspectives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Vol 1. Theory and methods (pp. 3-20). New York:Wiley. 

  9. Compas, B. E., Connor-Smith, J., & Jaser, S. S. (2004). Temperament, Stress Reactivity, and Coping:Implications for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3(1), 21-31. 

  10.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 74-101. 

  11. Eccles, J., Wigfield, A., Harold, R.D., & Blumenfeld, P. (1993).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 and task perceptions during elementary school. Child development, 64(3), 830-847. 

  12.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6), 1969-1982. 

  13. Harter, S. (2006). The self.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505-570). NJ:Wiely. 

  14. Houck, G. M. (1999). The measurement of child characteristics from infancy to toddlerhood:Temperament, developmental competence,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2(2-3), 101-127. 

  15. Kelly, S. A., Brownell, C. A., & Campbell, S. B. (2000). Mastery motivation and self-evaluative affect in toddlers:Longitudinal relations with matern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71(4), 1061-1071. 

  16. Klein, H. A. (1991). Temperament and Childhood Group Care Adjustment; A Cross-Cultural Comparis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2), 211-224. 

  17. Lagace-Seguin, D. G., & Coplan, R. J. (2005). Maternal Emotional Styles and Child Social Adjustment: Assessment, Correlates, Outcomes and Goodness of Fit in Early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14(4), 613-636. 

  18. Markus, H. R., Craven, R. G., & Debus, R. (1991).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5 to 8 years of age:Measurement and multidimensional structur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3), 393-404. 

  19. Marsh, H. W., Debus, R., & Bornholt, L. (2004). Validating young children's self-concept responses:Methodological ways and means to understand their response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developmental science (pp. 138-160). Oxford, UK:Blackwell. 

  20. Measelle, J. R. (March, 1995). Positive illusions and mental health? Reformulating the question in terms of young children.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Indianapolis. 

  21. Measelle, J. R., Albow, J. C., Cowan, P. A., & Cowan, C. P. (1998). Assessing Young Children's View of Thei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ives: An Evaluation of the Self-Perception Scales of the Berkeley Puppet Interview. Child Development, 69(6), 1156-1576. 

  22. Ortiz, M. A. C., Del Barrio & Gandara, V. (2006).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emperament, aggression, and anger in children. Aggressive Behavior, 32(3), 207-215. 

  23. Szewczyk-Sokolowski, M., Bost, K. K., & Wainwright, A. B. (2005). Attachment, temperament, and preschool children's peer acceptance. Social Development, 14(3), 379-397. 

  24.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Brunner Maxel. 

  25. Thomas, A., & Chess, S. (1984). Genesis and Evoluation of Behavioral Disorders:From Infancy to Early Adult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1(1), 1-9. 

  26. Thompson, R. A., & Goodvin, R. (2005). The individual child:Temperament, emotion, self, and personality. Developmental science:An advanced textbook. NJ:Erlbaum. 

  27. Thompson, R. A. (2006).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Social understanding, relationships, conscience, self.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24-98). NJ:Wiley. 

  28. Wigfield, A., & Eccles, J. S. (2000).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68-81. 

  29. Xu, Y., Farver, J. A. M., & Zhang, Z. (2009). Temperament, harsh and indulgent parenting, and Chinese children's proactive and reactive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80(1), 244-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