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듣기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환청 및 정신증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stening to Music on Auditory Hallucination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1, 2009년, pp.62 - 71  

나현주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양수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listening to music in inpatients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on their auditory hallucinations, and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ith $2{\times}2$ cross-over trial and con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결과는 입원 치료 후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환청 특성을 연구한 Kim 등(2000)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그 연구 결과는 입원 치료가 환청의 크기에 효과가 있고, 명확성에 효과가 없음을 두고 크기에 비해 명확성에 대한 치료 반응이 늦은 것이라고 밝혔지만 본 연구자는 이 같은 현상은 환청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음악듣기에 대해 교육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 자체가 환청에 대한 인식을 키워줌으로써, 청각적 자극에 더 관심을 보여 명확성에는 오히려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환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환청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호하는 음악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정신분열병 환자의 환청 및 다양한 정신 증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환자들에게는 실질적인 환청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정신 간호 과정에서 환자를 돌보며 수동적 인 투약하기와 같은 간호중재로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간호사들(Min, Kim, Choi, & Noh, 2002)에게는 음악을 이용한 차별화된 정신간호중재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2x2 교차 실험계획(2X 2 cross-over trial)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악듣기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환청 및 정신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2006년 9월부터 2007년 7월까지 2x2 교차 실험계획(2x2 cross-over trial)으로 실시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대상자는。대학의 K병원과 U병원 신경정신과 병동에 입원하여 환청 증상을 호소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23명으로 음악듣기를 먼저 시행한 후 휴식기간을 거쳐 통상치료 기간을 갖도록 한 AB군 11명과, 통상치료 기간을 먼저 갖고 휴식 기간을 거쳐 음악듣기를 시행한 BA군 12명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청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신분 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음악듣기를 실시한 후, 음악듣기가 환청 및 정신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환자들에게는 실질적인 환청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정신 간호 과정에서 환자를 돌보며 수동적 인 투약하기와 같은 간호중재로 무력감을 느끼고 있는 간호사들(Min, Kim, Choi, & Noh, 2002)에게는 음악을 이용한 차별화된 정신간호중재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Martha Rogers의 인간고유성 이론에 따르면 인간과 환경은 변화하는 에너지 장으로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고 하였다. 로저스는 간호 실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평형 역동성의 3원리, 즉 공명성, 나선성 및 통합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1) 통합성은 인간장과 환경장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정; 2) 나선성은 지속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다양한 에너지 장; 3) 공명성은 에너지장의 파장 패턴의 변화이다.
  • 다섯째, 기질성 뇌질환이 없는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en, H. A., Halperin, J., & Friend, R. (1985). Removal and diversion tactics and the control of auditory hallucinatio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3, 601-605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PA Press 

  3. Buccheri, R., Trygstad, L.,Kanas, N., Waldron, B., & Dowling, G.(1996). Auditory hallucinations in schizophrenia. Group experience in examining symptom management and behavioral strategie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34(2), 12-26 

  4. Chung, Y. C., Eun, H. B., Hwang, I. K., Keun., C. S., & Hyen., K.Y. (1996). Cognitive-behavioral response to auditory hallucin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3, 295-301 

  5. Covington, H. (2001). Therapeutic music for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Holistic Nursing Practice, 15(2), 59-69 

  6. Falloon, I. R., & Talbot, R. E. (1981).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Coping mechanisms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sychological Medicine, 11, 329-339 

  7. Feder, R. (1982). Auditory hallucinations treated by radio headphone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188-1190 

  8. Gallagher, A. G., Dinan, T. G., & Baker, L. J. (1994). The effects of varying auditory input on schizophrenic hallucinations: A replication. The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67, 67-75 

  9. Gerdner, L. A. (1999). Individualized music intervention protocol.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5(10), 10-16 

  10. Im, J. Y. (2003).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emotion and negative symptom of schizophren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1. Kay, S. R., Fiszbein, A., & Opler, L. A. (1987).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13, 261-276 

  12. Kim, H. Y., & Lee, C. S. (2004). The lived experience of auditory hallucination of the person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 156-166 

  13. Kim, K. S.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gnitive-behavior auditory hallucin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W., Lee, C., Do, G. Y., Lee, S. J., Kim, J. J., & Pack, I. H. (2000). The characteristics of persisting auditory hallucinatio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fter inpatient treatment.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9, 50-58 

  15. Lee, J. S., Ahn, Y. M., Shin, H. G., Ahn, S. G., Ju, Y. H., Kim, S. H., et al. (200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 1090-1105 

  16. Lee, K. S., Ha, Y. S., Kim, M. J., Yang, S., Lee, J. S., Lim, Y. S, et al. (2007).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3th ed.). Seoul: HyunMoonSa Publishing 

  17. McInnis, M., & Marks, I. (1990). Audiotape therapy for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7, 913-914 

  18. Min, S. Y. (2005). The daily experiences of people with chronic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25-1134 

  19. Min, S. Y., Kim, K. H., Choi, Y. J., & Noh, C. H. (2002). The psychiatric nurses' experience in nursing care of client with auditory halluc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 145-158 

  20. Na, Y. M. (2000). The affects of the music therapy on self-control power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Nelson, H. E., Thrasher, S., & Barnes, T. R. (1991). Practical ways of alleviating auditory hallucinations. BMJ, 302, 327 

  22. Park, J. H. (2003).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a music genre in the adults with schizophren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Park, J. W., & Im, M. Y. (2005). The lived experiences of auditory hallucination of the persons with chronic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449-458 

  24. Park, Y. S., & Kim, K. S. (1996). The effects of systematic group music therapy for the inpatients with depressive mood and psychiatric behavior.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 53-69 

  25. Sayer, J., Ritter, S., & Gournay, K. (2000). Beliefs about voices and their effects on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1, 1199-1205 

  26. Slade, P. D. (1972). The effects of systematic desensitization on auditory hallucination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0, 85-91 

  27. Son, J. T., & Kim, S. H. (2006). The effect of self-selected music on anxiety and pain during burn dressing chan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59-168 

  28. Trystad, L., Buccheri, R., Dowling, G., Zind, R., White, K., & Griffin, J. J. (2002). Behavioral management of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 in schizophrenia: Outcomes from a 10-week course. Journal of American Psychiatric Nurses Association, 8, 1-8 

  29. Tsai, Y. F., & Ku, Y. C. (2005). Self-care symptom management strategies for auditory hallucinations among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 a Veterans' Hospital in Taiwan.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9, 194-199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Revised Global Burden of Disease (GBD) 2002 Estimates. Retrieved September 17, 2007, from http://www.who.int/healthinfo/bodgbd2002revised/en/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