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3D Spatial Data Models 원문보기

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3 = no.50, 2009년, pp.277 - 285  

박세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 분석, 유지하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의 목적에 맞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데이터 모델에 따라 해당하는 활용 시스템의 활용 범위가 결정되며, 각각의 활용 시스템에 맞는 데이터 모델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GIS 분야에서도 각 GIS 응용시스템에 맞는 다양한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들이 개발 되었으며,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이 만들어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공간정보 데이터의 정확성과 최신성등이 중요하지만 특히 공간정보 데이터 구조를 만드는 데이터 모델링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1)국내외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의 공간정보를 표현하는데 있어 기하학적 모델, 위상학적 모델과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방법 등의 항목별로 비교하고 2)각각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의 특징을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3)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을 선정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데이터 구조에 따른 특징을 분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ch system should have a suitable data model about their purpose for efficiently managing, analyzing, and manipulating data. And the usable range of application is determined by the data model, and suitable data models are being developed for each application. In GIS, diversity spatial data mode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활용 시스템에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국토해양부에서 3차원 국토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활용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하기 위해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이 필요성에 의해, 이 연구에서는 3차원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모델 제시(3DF-GML)와 포맷에 관련된 명세와 스키마를 제시하였다.
  •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 모델에 따른 공간정보 데이터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공간 데이터 모델을 비교 분석하며, 이에 따라 공간 데이터 모델의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국내외에서 사용되는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에 대해 기하학적 모델, 위상학적 모델과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방법 등의 내용을 비교하고 2)각각의 데이터 구조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의 특징을 비교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기하모델과 위상 모델, 3차원 가시화 방법 등을 비교하고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의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데이터 모델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각 데이터 모델마다 기하 모델과 위상 모델로 정의된 기본 요소의 항목은 차이가 있었다.
  • 연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기존 지리정보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에 지리정보 유통에 사용되던 파일포맷과 호환이 되는 교환표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 파일포맷 명세서를 설계하여 국토지리정보원 내부포맷(NGI 포맷)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규칙과 응용분야별 기본지리정보 파일 명세와 GML 기반 교환표준에 해당하는 분야별 응용스키마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 데이터간의 변환에 관한 연구로서 2004년 국토해양부에서 진행한 기본지리정보 교환 표준 연구는 3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기존 지리정보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에 지리정보 유통에 사용되던 파일포맷과 호환이 되는 교환표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 파일포맷 명세서를 설계하여 국토지리정보원 내부포맷(NGI 포맷)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규칙과 응용분야별 기본지리정보 파일 명세와 GML 기반 교환표준에 해당하는 분야별 응용스키마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구조는 어떤 방법인가? 또한 활용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공간정보를 데이터 모델에 따라 표현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 모델에 따라 표현되는 데이터의 요소들을 구조화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국내 기본지리정보를 표현하는 수치지도 Ver.
수치지도 Ver. 2.0과 3DF-GML을 비교했을 때 차이점은 무엇인가? 0과 3DF-GML을 비교하였다. 수치지도 Ver.2.0은 국내 기본 지리정보를 표현하는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이며, 3DF -GML은 3차원 국토 공간 구축을 위해 정의된 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이다.
수치지도 Ver. 2.0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무엇인가? 2.0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CAD파일에서 NGI (공간데이터), NDA(속성데이터) 등의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 구조로의 변화이다. 속성데이터를 관리하는 파일 구조가 추가됨으로써 공간 피처(Feature)들의 속성 정보 표현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병준.진식.이재호.김인현.김광호, 2008, "3D 공간정보 데이터 포맷 변환 및 시각화 도구 개발",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한국 GIS학회 2008 공동춘계학술대회, pp.123-129. 

  2. 김은형, 2007, "3차원 국토공간정보 활용모델 개발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p.918. 

  3. 김은형, 2008,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효율성 향상방안 연구", 국토해양부, p.1147. 

  4. 이기준, 2004, "기본 지리정보 교환 표준 연구",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p.463. 

  5. 이태훈.황정래.이기준, 2008,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포맷들 간의 변환", 한국GIS학회 춘.추계학술대회 한국 GIS학회 2008 공동춘계학술대회, pp.75-81. 

  6. 이기원.문선희.지광훈, 2003,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응용: 지질주제정보 데이터 모델 개발과 시험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3 추계학술대회, pp.78-83. 

  7. 이동헌.홍성언.박수홍, 2005, "3차원 기하모델에 대한 공간 관계 연산 설계", 한국GIS학회지 제13권 제2호, pp. 119-128. 

  8. 최성규.안병찬, 2001, "GIS와 EPANET 상수관망모델의 연계 방안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9권 제3호, pp.114-128. 

  9. ESRI, 2004, "XML Schema of the Geodatabase", Technical Paper, p.46. 

  10. ESRI, 1998, "ESRI Shapefile Technical Description", ESRI White Paper, p.28. 

  11. ESRI, 2003, "Working With Geodatabase Topology", ESRI White Paper, p.23. 

  12. Google, 2008, "KML reference document", code.google.com/apis/kml 

  13.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6 "OpenGI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 Simple feature access - Part1:Common architecture", p.95. 

  14.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7 "OpenGIS Geography Markup Language Encoding Standard", p.437. 

  15.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2008, "OGC KML", p.251. 

  16. ISO/TC 211, 2003, "ISO-CD 19107 Geographic Information - Spatial Schema", p.178. 

  17. ISO/TC 211, 2007, "ISO-CD 19136 Geographic Information - Geography Markup Language", p.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