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GIS학회지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v.17 no.3 = no.50, 2009년, pp.329 - 339
장문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이정록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A historical and cultural map needs an overall reflection of the links based on time and space among the various composite factors, instead of requiring a simple collection of the respective relics in a particular region. The study of history, culture and living environment of river system area, a 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GIS는 어떤 기능을 지녔는가? | 고고, 건축・미술, 생태환경, 역사, 민속・문학, 음식 등 각 분야별 기초조사 자료의 종합적인 산출물이라 할 수 있는 역사문화지도의 제작은 문화재를 비롯한 공간정보의 축적 및 분석에 탁월한 기능을 지닌 GIS를 우선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인터넷이 일반화됨에 따라 Web기반의 구현방식으로 역사문화유적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제간 연구의 활용뿐만 아니라 공공의 자료로써 새로운 가치창출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
Web기반의 구현방식으로 역사문화유적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된 국내의 연구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이와 관련한 국내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박성용(2001)은 역사적 흐름 속에서 지역민의 문화사와 거시적인 국가사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문화지도를 문화적 층위와 분포특징의 이해도구로 활용할 것을 주장하였고, 이형대(2003)는 디지털 정보매체의 형식을 지닌 전자문화지도를 대상으로 하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매체의 특성과 연구 방법으로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상영역이 유사한 연구로 신해진(2005)은 호남문화에 대한 아카이브 분류와 구성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GIS의 도입을 강조하였고, 김종혁(2004)은 조선시대의 문화요소와 역사지리정보의 전자지도화를 통해 제반 문화현상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은숙외 2인(2007)은 종로를 사례로 문학공간의 DB구축 방안과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기의 관련연구들은 다각적인 관점에서 역사와 문화 그리고 GIS의 접목을 제시하였으나, 방대한 공간적 범위의 설정, 모호한 연구대상의 도입, 그리고 무엇보다 문명의 발상지인 수계권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측면을 보였다. | |
역사문화지도란 무엇인가?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은 굳이 인접학문의 요구나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제외하고서라도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필수적인 토대 연구 과정이라고 하겠다. 역사문화지도는 한 지역의 공간적 폭과 시간적 깊이에 따라 형성된 사회・문화적 사상(phenomenon)을 기호를 통해 분포양상을 체계적으로 표현한 것이다(박성용, 2003). 따라서 역사문화지도는 낱개의 개별적인 역사문화 요소에 대한 단순 집성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이 시・공간적으로 상호간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작용하여 왔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반영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
강영옥, 2007, "지방자치단체의 Enterprise GIS 고도화전략: 데이터중심에서 서비스중심 아키텍처로", 한국GIS학회, 한국GIS학회지 제15권 제3호, p.355.
김종혁, 2004, "조선시대 역사지리정보의 전자지도화와 그 의의",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29.
박성용, 2001, "문화지도(자료활용방법과 조사내용)",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제7권 1호, pp.113-123.
신해진, 2005, "호남문화 아카이브 분류와 구성 체계화", 호남문화연구소, 호남문화연구 제 37집, pp.39-72.
이은숙 외, 2007, "종로 문학공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방안",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문화역사지리 제19권 2 호, pp.1-14.
장문현, 2008, "문화재GIS 구축을 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제작 연구-지자체 문화유적정보를 중심으로", 한국GIS학회, 한국GIS학회지 제16권 제3호, p.312.
장문현, 이정록, 2006, "Web GIS 기반의 역사문화지도 제 작 방안-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DB설계를 중심으로", 영산강유역권역사문화지도 제작 연구단, 1 차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pp.156-193.
장문현, 이정록, 2007,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주제도 제작-GPS 좌표취득과 자료의 코드화를 중심으로", 영산강유역권역사문화지도 제작 연구단, 2차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p.194.
장문현, 이정록, 2008, "영산강유역권 역사문화정보시스템 개발 연구", 영산강유역권역사문화지도 제작 연구단, 3차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pp.243-260.
Bromberger, C., D. Dossetto and T.K. Schippets, 1982, "L'ethnographie en Europe: coups d'oeuil retrospectifs et questions ouverts", Revue Trimestrielle 1(1):a4.
Tempus Reparatsm, 2000, "Stonehenge-Mapping the Stones", BAR International Series, Vol.845, Archaeopress.
Batchelor, D., 1997, "Mapping the Stonehenge World Heritage Site", Proceedings of the British Academy, Vol.92, Oxford University Press Inc.
http://www.ecai.org, 2008.
http://www.nps.gov/history/hdp, 2008.
http://www.timemap.net, 2008.
http://visit.ocp.go.kr/visit/index.html, 2008.
http://www.heritage.go.kr/culture/folk_list.jsp, 2008.
http://sca.visitseoul.net, 2008.
http://www.gayasa.net/gaya/index.html, 200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