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수 침투 시설을 활용한 친환경 도시 개발지구에서의 유출량 및 비점오염 저감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n Runoff and Water Quality of LID using Infiltration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1 no.6, 2009년, pp.105 - 114  

황진용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연규석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익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기성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최중대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전지홍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urbanization in many countries, many pervious areas are being converted into impervious areas. These land use changes cause many negative impacts on runoff and water quality in the areas. Especially runoff volume and peak runoff are increasing with urbanization. In addition to the increased r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간단하게 우수 침투통 효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SWMM 모형 인터페이스 및 엔진을 수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우수 침투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침투시설별 비침투량 및 적용가능한 각종 영향계수 등에 관한 연구결과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친환경 도시개발을 위해서 시도되었던 LID IMPs 적용에 따른 유출, 첨두유량, 그리고 TSS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LID IMPs 중 연구 대상 지역인 춘천시 거두 농공단지에 적용하기 적합한 우수 침투통과 투수성 포장을 적용 하였을 때의 유출 및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 침투통의의 침투효과를 복잡한 수리학적 계산을 통해 하지 않고 침투통의 투수계수와 침투통의 면적으로 투수효과를 평가하였다. Fig.
  • 그러나 이 SWMM-GE에도 우수 침투통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이 개발되어있지는 않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SWMM 5.0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엔진을 수정하여 간단하게 우수 침투통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가설 설정

  • 3 %를 차지하였으나, 개발 후에는 불투수층이 95 %를 차지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단지구획 내 토지이용을 불투수성으로 개발함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불투수층 면적의 증가로 인해 개발 후에는 유출 및 첨두유량, 그리고 비점오염 발생량이 급증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난 수십여 년 간 산업화로 인하여 임야 및 농경지, 또는 저밀도 주거지역은 어떻게 변했는가? 지난 수십여 년 간 산업화로 인하여 임야 및 농경지, 또는 저밀도 주거지역이었던 지역이 고밀도 주거단지, 산업단지, 상가 등으로 개발되어 도시의 광역화를 이룸으로써 도시 유역내 수문 및 환경에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수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불투수면적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침투능이 감소하여 유역 내 유출량 및 첨두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Choi et al.
도시 유역에서의 지표수 배출방안에는 어떤 방식을 이용했는가? , 2009). 그동안 도시 유역에서의 지표수 배출방안으로 우수관거를 매설하여 유출수를 하천으로 빨리 유출시켜 지표면의 침수를 방지하였으나, 결국 유하시간이 단축되어 유역 전체적으로 볼 때 오히려 첨두홍수량이 증가되어 또 다른 홍수 피해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존의 지표수 배출방안으로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개발 사업 등으로 지표유출 증가를 근본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다.
기존의 지표수 배출방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9). 그동안 도시 유역에서의 지표수 배출방안으로 우수관거를 매설하여 유출수를 하천으로 빨리 유출시켜 지표면의 침수를 방지하였으나, 결국 유하시간이 단축되어 유역 전체적으로 볼 때 오히려 첨두홍수량이 증가되어 또 다른 홍수 피해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존의 지표수 배출방안으로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대규모 개발 사업 등으로 지표유출 증가를 근본적으로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Y. H., C. H. Chul, W. J. Park, J. Y. Seo, M. H. Shin, C. K. Lee, and J. D. Choi, 2009. Optimum Flow and Pollution Load Monitoring Time of Combined Sewers of Urban Watersheds during Dry Weath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1(3): 9-14 

  2. Coffman, L. S., 2000. Low Impact Develoment Design Strategies, An Intergrated Design Approach. EPA Publication number. 841-B-00-003. http://www.epa.gov/ owow/nps/lidnatl.pdf. 

  3. Dalziel, T. and D. Cloak, 2005. Simplified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for Compliance with Stormwater Treatment Requirements. California Association of Stormwater Quality Agencies - Annual Conference. October 3-5 

  4.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1999. Low Impact Development Hydrologic Analysis, Prince George's Country, Maryland 

  5.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Office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Washington, D.C., 2003. The Practice of Low Impact Development. NAHB Research Center, Inc. Upper Marlboro, Maryland. Contract No. H-21314CA 

  6. Gironas, J., L. A. Roesner, and J. Davis, 2009.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Applications Manua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600/R-09/077 

  7. Hunter, J., and Engel, B. A., 2009. L-THIA/LID Fact Sheet. https://engineering.purdue.edu/~lthia/LID/. Accessed Nov. 2009 

  8. Lee, C. S., N. H. Ryu, and S. H. Han, 2008. The Effect of Pervious Pavement on Reducing the Surface Runoff.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6): 26-37 

  9. Lee, K. L., J. H. Park, M. Y. Han, and S. K. Lee, 2001. A Study on the Promotion of Rainwater Utilization. In Proc. 2001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Conference. 223-226 

  10. Lee, S. H., J. M. Lee, J. H. Park, and G. S. Lee,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WMM-GE to Simulate Infiltration Facilities.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SWRRC Rechnical Report TR 2009-07 

  11. Lim, K. J., B. A. Engel, Y. Kim, and J. Harbor, 2001. Development of the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L-THIA) WWW Systems. In: D.E. Stott, R.H. Mohtar, and G.C. Steinhardt, (eds.), Sustaining the Global Farm - Selected papers from the 10th International Soil Conservation Organization Meeting, May 24-29, 1999, West Lafayette, Indiana, International Soil Conservation Organiz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USDA and Purdue University, West Lafayette, Indiana. 1018-1023 

  12. Jeon, J. H., D. H. Choi, and T. D. Kim, 2009. LIDMOD Development for Evaluat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Its Applicability to Total Maximum Daily Loa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1):58-68 

  13.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3. Master Plan of Gue-du industrial complex at Chun-cheon, Chun-cheon, Korea 

  14. Park, G. A. and S. J. Kim, 2007. Prediction of the Urbanization Progress Using Factor Analysis and CA-Markov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9(6): 105-114 

  15. Park, J. H., Y. G. Yoo, Y. G. Park, H. T. Yoon, J. G. Kim, Y. S. Park, J. H. Jeon, and K. J. Lim, 2008.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with LID Adoption using the SWM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6): 805-815 

  16. Shim, J. H. and J. C. Ahn, 2004.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with Infiltration Manhole. Speciall Issue of Urban Rainfall-Runoff. 2004. July. 23-37 

  17. Song, J. W., K. W. Bak, I. H. Choi, Y. J. Park, J. H. Kim, S. S. Park, J. H. Lim, J. B. Jeon, J. T. Kim, M. H. Kim, J. W. Mun, and J. W. Yeon, 2005. A Study on the Capacity Evaluation of Infiltration Facilities for Reducing of Runoff Quantity, 1. The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Center, Hongik University. December 

  18. Sung, J. S., T. G. Lee, Y. H. Han, Y. G. Kim, and N. H. Kim,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Rainwater Infiltrating Equipment for the Decentralized Stromwater Managements.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2): 78-85 

  19. U.S.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 http://www.epa.gov/. Whittaker, B. N. and D. J. Reddish, 1989. Subsidence Occurrence, Prediction and Control. Elservier 56: 528 

  20. U.S. EPA, 2009.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Applications Manual. EPA/6000/R-09/077, July, 2009. U.S. EPA 

  21. Woo, S. H. and J. M. Oh, 2006. Assessment of Flow Rate Required to Prevent the Drying of River. In Proc. 2006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Conference. 1153-1160 

  22. Yi, J. E., W. G. Yeo, J. H. Shim, and T. H. Kang, 2001. Analysis of Stormwater Runoff Reduction Effects by Using Porous Pavement.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1(6-B): 645-6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