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perimentally test the effect of tillage methods on the reduction of runoff,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load, sediment and discharge under a rainfall simulation. We used the runoff plots of $5m{\times}30m$ ($L{\times}W$) in size. Ex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양의 조건하에서 경운방법이 초기유출시간, 유출량, 유사량 그리고 비점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인공강우 조건에서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강우 시험을 통하여 경운방법 (CT, CT-RSB, NT)에 따른 초기유출시간, 유출수량, 비점오염부하 그리고 유사 량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이 결과에 기초하여 경운방법에 따른 비구조적 삭감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시험포 8개 (3 % 내외 4개, 8 % 내외 4개)를 조성하여 경운 (CT), 침투짚단 (CT-RSB), 무경운 (NT)으로 실험처리를 하였 으며, 한 시간 동안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강우 시험을 통하여 경운방법 (CT, CT-RSB, NT)에 따른 초기유출시간, 유출수량, 비점오염부하 그리고 유사 량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무경운 (no-till, NT) 농법의 개발은 어떠한 변화를 가지고 왔는가? 전 세계적으로 무경운 (no-till, NT) 농법의 개발은 농업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으며 (Triplett and Dick, 2008), 2007년 현재 NT를 포함한 보전경운 (conservation tillage)의 방법은 약 95백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Lal et al., 2007).
무경운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영농 활동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토양의 구조가 안정화 될 경우 빗물의 침투능이 증대되어 (Reeves, 1997), 강우유출수량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Laune and Sij, 2012). 또한 NT 방법을 사용할 경우 토양내 수분이 보전되는 효과로 인하여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영농 활동이 가능하고, 강우유출수와 유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및 다양한 미생물이 증가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도 있다 (Pollock and Reeder, 2010). 그러나 보전경운이 강우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NT 방법을 사용할 경우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토양의 구조가 안정화 될 경우 빗물의 침투능이 증대되어 (Reeves, 1997), 강우유출수량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Laune and Sij, 2012). 또한 NT 방법을 사용할 경우 토양내 수분이 보전되는 효과로 인하여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영농 활동이 가능하고, 강우유출수와 유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토양내 유기물 함량 및 다양한 미생물이 증가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도 있다 (Pollock and Reeder, 2010). 그러나 보전경운이 강우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mand, C. Bockstaller, A. V. Auzet, and P. Van Dijk, 2009. Runoff generation related to intra-field soil surface characteristics variability application to conservation tillage context. Soil & Tillage Research 102: 27-37. 

  2. Clausen, J. C., W. E. Jokela, F. I. Potter III, and J. W. Williams, 1996. Paired watershed comparison of tillage effects on runoff, sediment, and pesticide losses. Journal of Environment Quality 25: 1000-1007. 

  3. Conservation Technology Information Center, 2005. Crop Residue Management Survey. CTIC, West Lafayette, IN. 

  4. Delaune, P. B., and J. W. Sij, 2012. Impact of tillage on runoff in long term no-till wheat system. Soil & Tillage Research 124: 32-35. 

  5. Franklin, D. H., C. C. Truman, T. L. Potter, D. D. Bosch, T. C. Strickland, M. B. Jenkins, and R. C. Nuri, 2012. Nutrient losses in runoff from conventional and no-till pearl millet on pre-wetted Ultisols fertilized with broiler litte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13: 38-44. 

  6. Garcia, J. P., C. S. Wortmann, M. Mamo, R. Driber, and D. Tarkalson, 2007. One-time tillage of no-till: effects on nutrients, mycorrhizae, and phosphorus uptake. Agronomy Journal 99: 1093-1103. 

  7. Jordan, V. W., A. R. Leake, and S. E. Ogilvy, 2000. Agronom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soil management practices in integrated farming systems. Aspects of Applied Biology 62: 61-66. 

  8. Lal, R., D. C. Reicosky, and J. D. Hanson, 2007. Evolution of the plot over 10,000 years and the rationale for no-till farming. Soil & Tillage Research 93: 1-12. 

  9. Locke, M. A., R. M. Zablotowicz, K. N. Reddy, and R. W. Steinriede, 2008. Tillage Management to Mitigate Herbicide Loss in Runoff under Simulated Rainfall Conditions. Chemosphere 70: 1422-1428. 

  10. Owens, L. B., R. W. Malone, D. L. Hothem, G. C. Starr, and R. Lal, 2002. Sediment carbon concentration and transport from small watersheds under various conservation tillage. Soil & Tillage Research 67: 65-73. 

  11. Pollock, C., and R. Reeder, 2010. No-till plenty of positives. ASABE Resource (1/2): 4-7. 

  12. Puustinen, M., J. Koskiahi, and K. peltonen, 2005. Influence of cultivation methods on suspended solids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surface runoff on clayey sloped fields in boreal climate. Agri., Ecosys. Environ. 105: 565-579. 

  13. Quincke, J. A., C. S. Wortmann, M. Mamo, T. Franti, R. A. Drujber, and J. P. Garcia, 2007. One-time tillage of no-till systems: soil physical properties, phosphorus runoff, and crop yield. Agronomy Journal 99: 1104-1110. 

  14. Reeves, D. W., 1997. The role of organic matter in maintaining soil quality in continuous cropping systems. Soil & Tillage Research 43: 131-167. 

  15. Smith, D. R., E. A. Warnemuende, C. Huang, and G. C. Heatman, 2007. How does the first year tilling a long-term no-tillage field impact soluble nutrient losses in runoff? Soil & Tillage Research 95: 11-18. 

  16. Soane, B. D., B. C. Ball, J. Arvidsson, G. Basch, F. Moreno, and J. Roger-Estrade, 2012. No-till in northern, western and south-western Europe: A review of problems and oppeortunities for crop production and the environment. Soil & Tillage Research 118: 66-87. 

  17. Tiscareno-Lopez, M., M. Velasquez-valle, J. Salinas-Garcia, and A. D. Baez-gonzalez, 2004. Nitrogen and Organic Matter Losses in NO-Till Corn Cropping Systems.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2): 401-408. 

  18. Triplett Jr., G. B., and W. A. Dick, 2008. No-tillage crop production: a revolution in agriculture! Journal of Agronomy 100: S153-S165. 

  19. Truman, C. C., J. N. Shaw, D. C. Flanagan, D. W. Reeves, J. C. Ascough II, 2009. Conservation tillage to effectively reduce interrill erodibility of highlyweathered Ultisol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64 (4): 265-275. 

  20. Ulen, B., J. Aronsson, M. Bechmann, T. Krogstad, L. Oygarden, and M. Stenberg, 2010. Soil tillage methods to control phosphorus loss and potentila side-effects: a Scandinavian review. Soil Use Management 26: 94-107. 

  21. Yoon, J. H., D. K. Kang, S. S. Cho, and H. S. Kim, 2003. Soil Erosion of illage and the Plan for Reducing of Turbid-water occurrence. Proceed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E-15, E 55-5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