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발성 위암 환자의 치료 전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 정도와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FDG Uptake and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Parameters in Pre-operative PET/CT Scan of Primary Gastric Carcinoma 원문보기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43 no.1, 2009년, pp.26 - 34  

한은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최우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정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김기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맹이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원병리학교실) ,  손경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정현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손형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정수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원발성 위암 환자의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내원하여 수술 전 FDG PET/CT 스캔을 시행한 89명의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ET/CT 영상에서 원발 종양의 SUVmax를 구한 후 침범 깊이(T기),종양 크기, 림프절전이, 종양 분화, Lauren의 분류, Ki-67 지수, p53, EGFR, Cathepsin D, c-erb-B2. COX-2의 발현과 같은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89예의 위암 중 19예에서는 PET/CT 영상에서 인지 가능한 FDG 섭취가 없었는데, 이 19예 중 16예는 원발 종양의 침범 깊이가 점막하 이내에 국한된 경우였다. 위암의 FDG섭취 정도는 T기가 T2 이상일 때가 T1일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고($5.8{\pm}3.1$ vs. $3.7{\pm}2.1$, p=0.002), 위암의 크기가 3 cm 이상일 경우가 3 cm 미만일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5.7{\pm}3.2$ vs. $3.7{\pm}2.0$, p=0.002) Lauren의 분류에 따른 장형 위암에서 장형이 아닐 때보다 높은 SUVmax를 보였다($5.4{\pm}2.8$ vs. $3.7{\pm}1.3$, p=0.003). 원발 종양의 SUVmax는 p53 양성인 경우가 음성인 경우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6.0{\pm}2.8$ vs. $4.4{\pm}3.0$, p=0.035). 그 외 림프절 전이 유무, 종양 분화, Ki-67 지수, EGFR, Cathepsin D, c-erb-B2 그리고 COX-2 같은 다른 지표들은 원발성 위암의 SUVmax와 의미 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 원발성 위암의 침범 깊이(T기)는 FDG PET/CT 스캔에서의 위암 발견율에 영향을 주었다. 위암이 PET/CT스캔에서 인지 가능한 FDG 섭취를 보일 경우 T기, 종양의 크기, Lauren의 분류에 따른 조직형, 그리고 p53의 발현 정도는 원발성 위암의 FDG 섭취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clinicopathologic or immunohistochemical parameter that may affect FDG uptake of primary tumor in PET/CT scan of the gastric carcinoma patient. Materials and Methods: Eighty-nine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who underwent pre-operative FDG P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위암의 치료 전 PET 스캔에서 원 발 부위의 FDG 섭취와 여러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 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였으며, 원발성 위암의 치료 전 PET 스캔의 활용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icken BJ, Bigam DL, Cass C, Mackey JR, Joy AA, Hamilton SM. Gastric adenocarcinoma: review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n Surg 2005;241:27-39 

  2. 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ric Cancer Association. 2004 Nationwide Gastric Cancer Report in Korea.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7;7:47-54 

  3. Stokkel MP, ten Broek FW, Hordijk GJ, Koole R, van Rijk PP. Preoperativ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primary head and neck cancer using dual-head F-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n Surg 2000;231:229-34 

  4. Pieterman RM, van Putten JW, Meuzelaar JJ, Mooyaart EL, Vaalburg W, Koeter GH, et al. Preoperative staging of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 Engl J Med 2000;343:254-61 

  5. Flamen P, Lerut A, Van Cutsem E, De Wever W, Peeters M, Stroobants S, et al. Ut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the staging of patients with potentially operable esophageal carcinoma. J Din Oncol 2000;18:3202-10 

  6. Flamen P.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colorectal cancer.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02;16:237-51 

  7. Yeung HW, Macapinlac H, Karpeh M, Finn RD, Larson SM. Accuracy of FDG-PET in gastric gancer. Preliminary experience. Clin Positron Imaging 1998;1:213-21 

  8. Mochiki E, Kuwano H, Katoh H, Asao T, Oriuchi N, Endo K. Evaluation of $^{18}F$ -2-deoxy-2-fluoro-D-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gastric cancer. World J Surg 2004;28:247-53 

  9. Stahl A, Ott K, Weber WA, Becker K, Link T, Siewert JR, et al. FDG PET imaging of locally advanced gastric carcinomas: correlation with endoscopic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3;30:288-95 

  10. Chen J, Cheong JH, Yun MJ, Kim J, Lim JS, Hyung WJ, et al. Improvement in preoperative staging of gastric adenocarcinoma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ancer 2005;103:2383-90 

  11. Koga H, Sasaki M, Kuwahara Y, Hiraka K, Nakagawa M, Abe K, et al. A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FDG uptake pattern in the stomach. Ann Nucl Med 2003; 17:733-8 

  12. Mukai K, Ishida Y, Okajima K, Isozaki H, Morimoto T, Nishiyama S. Usefulness of preoperative FDG-PET for detection of gastric cancer. Gastric Cancer 2006;9: 192-6 

  13. Shoda H, Kakugawa Y, Saito D, Kozu T, Terauchi T, Daisaki H, et al. Evaluation of $^{18}F$ -2-deoxy-2-fluoro-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gastric cancer screening in asymptomatic individuals undergoing endoscopy. Br J Cancer 2007;97:1493-8 

  14. Kawamura T, Kusakabe T, Sugino T, Watanabe K, Fukuda T, Nashimoto A, et al.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l in human gastric carcinoma: association with tumor aggressiveness, metastasis, and patient survival. Cancer 2001;92:634-41 

  15. Yamamoto T, Seino Y, Fukmnoto H, Koh G, Yano H, Inagaki N, et al. Over-expression of facilitative glucose transporter genes in human canc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0;170:223-30 

  16. Younes M, Lechago LV, Lechago J. Overexpression of the human erythrocyte glucose transporter occurs as a late event in human colorectal carcinogenesi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Din Cancer Res 1996;2:1151-4 

  17. Uchino S, Tsuda H, Maruyama K, Kinoshita T, Sasako M, Saito T, et al. Overexpression of c-erbB-2 protein in gastric cancer. Its correlation with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Cancer 1993;72:3179-84 

  18. Wang YL, Sheu BS, Yang HB, Lin PW, Chang YC. Overexpression of c-erb-B2 proteins in tumor and non-tumor parts of gastric adenocarcinoma--emphasis on its relation to H. pylori infection and clinicohistological characteristics. Hepatogastroenterology 2002;49: 1172-6 

  19. Lazar D, Tahan S, Ardeleanu C, Simionescu C, Sporea I, Cornianu M, et al.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he cyclooxygenase-2 (COX-2) in gastric cancer. The correlations with the tumor angiogenesis and patients' survival. Rom J Morphol Embryol 2008;49:371-9 

  20. Garcia I, Vizoso F, Martin A, Sanz L, Abdel-Lab O, Raigoso P,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HER2 receptor in resectable gastric cancer. Ann Surg Oncol 2003;10:234-41 

  21. Matsubara J, Yamada Y, Nakajima TE, Kato K, Hamaguchi T, Shirao K,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type 1 receptor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Oncology 2008;74:76-83 

  22. Manuel Del Casar J, Vizoso FJ, Abdel-Laa O, Sanz L, Martin A, Daniela Corte M, et al. Prognostic value of cytosolyc cathepsin D content in resectable gastric cancer. J Surg Oncol 2004;86: 16-21 

  23. Chen L, Li X, Wang GL, Wang Y, Zhu YY, Zhu J.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of overexpression of TSPANI, Ki67 and CD34 in gastric carcinoma Tumori 2008;94:531-8 

  24. Ishida M, Gomyo Y, Tatebe S, Ohfuji S, Ito H. Apoptosis in human gastric mucosa, chronic gastritis, dysplasia and carcinoma: analysis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ling. Virchows Arch 1996;428:229-35 

  25. Cho JH, Kim WH. Altered topographic expression of p2IWAF1/CIP1/SDI1, bcl2 and p53 during gastric carcinogenesis. Pathol Res Pract 1998;194:309-17 

  26. Gomyo Y, Osaki M, Kaibara N, Ito H. Numerical aberration and point mutation of p53 gene in human gastric intestinal metaplasia and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analysis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PCR-SSCP. Int J Cancer 1996;66:594-9 

  27. Triantafillou NG, Grosman IM, Verma RS. Genomania of p53 protein in gastric cancer. J Clin Gastroenterol 1996;22:170-3 

  28. Feng CW, Wang LD, Jiao LH, Liu B, Zheng S, Xie XJ. Expression of p53,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gastric precancerous and cancerous lesions: correlation with clinical features. BMC Cancer 2002;2:8. 

  29. Ishii HH, Gobe GC, Pan W, Yoneyama J, Ebihara Y. Apoptosis and cell prolif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rcinomas: associations with c-myc and p53 protein expression. J Gastroenterol Hepatol 2002;17:966-72 

  30. Triantaifyllou K, Kitsanta P, Kararnanolis DG, Kittas C, Ladas SD. Epithelial cell turnover, p53 and bcl-2 protein expression during oncogenesis of early and advanced gastric cancer in a Western population. Dig liver Dis 2008;40:39-45 

  31. Lee KE, Lee HJ, Kim YH, Yu HJ, Yang HI<, Kim WH,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p53, nm23, PCNA and c-erbB-2 in gastric cancer. Jpn J Clin Oncol 2003;33:173-9 

  32. De Potter T, Flamen P, Van Cutsem E, Penninckx F, Filez L, Bormans G, et al. Whole-body PET with FDG for the diagnosis of recurrent gastric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2;29: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