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정조시대와 에도시대(江戶時代)의 화장문화(化粧文化)와 수발문화(鬚髮文化)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ake-up and Hair Styling Cultures of the King Jeongjo and the Edo Period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8 no.1, 2009년, pp.189 - 200  

김민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환경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do period speaking of hair culture, common women wore decorative pigtail ribbons on the right, and twisted from side to side their tressed hair in such a manner as ungeunmeori and traemeori. Instead of gachae, common women used gogae made of their own hair, ungeunmeori on forehead, or jjokj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홍도는 정조의 총애를 받아 일본까지 보내어져 일본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 정조에게 일본의 문화와 생활을 보여 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정조시대의 화장 문화와 일본의 에도 중기 때의 문화를 비교 분석하여 서로의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머리 형태는 인종, 풍토, 그 시대 의미에 대한 의식으로 반영할 뿐만 아니라 민족' 종교, 정치, 성별, 연령' 직업과 신분을 나타내며 복식과 여러가지 부장품과 더불어 많은 상징성을 갖고 있다.
  • 연출되어진 화장과 수발형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대의 화가인 김홍도와 신윤복의 그림을 통하여 당대의 문화를 고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앞으로 제작되어질 드라마나 영화 그리고 정조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화장과 수발문화의 참고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본 연구에서 정조(正祖) 때의 화장문화와 수발 형태를 김홍도의 그림과 신윤복의 그림을 토대로 하여 연구를 하였다.
  • 조선시대의 화장 문화와 수발형태 그리고 복식을 정조 때로 국한 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외장(外裝)은 조선 시대에서도 어떤 임금의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고경숙(2004). 조선과 에도시대 두발양식 및 화장 비교연구. 한남대 사회문화 과학대학원 석사논문. p.61. 

  2. 공차숙. 김희숙(2005). 신윤복의 풍속화에 나타난 조선시대 미용문화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6(2) p.21-37. 

  3. 김동욱(1979) 한국복식사 연구. 서울아세아문화사. 

  4. 김민경(2008) 영.정조시대의 화장문화와 발형에 관한 연구.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2(3) p.5-17. 

  5. 김필동(1999). 차별과 연대-조선사회의 신분과 조직. 문학과 지성사. 

  6. 김희숙(2000). 한국과 서양의 화장문화사. 청구문화사. p. 18-20 

  7. 석주선(1980). 한국복식사. 보진제. p.77 

  8. 신혜원(1998).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여인상 연구. 숙명여자대학 석사논문. 

  9. 이씨 규합총서는 빙허각 (憑虛閣李氏, 1759-1824)의 저술 

  10. 안인희.유송옥(2003). 소설 '춘향전'을 통해 본 조선 후기의 복식, 머리모양, 화장의 계층별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4(1) p.47-62. 

  11. 유태영. 구소청. 교양국사연구회 엮음(1997).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조선 왕조사. 청아출판사 

  12. 이경선, 김희숙(2003). 한국과 중국 여성의 화장문화에 나타난 연지 화장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4(2) p.17-44 

  13. 이부영(2006). 조선시대 여자 수식(首飾)에 사용한 장신구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예술학회. 7(2) p.59-71 

  14. 이연복, 이경복(2000). 한국인의 미용풍속도. 월간 에세이 

  15. 최춘자(1995). 장신구의 세계, 도서출판 예경. 

  16. 高僑博信 世繪美人ぐらべ. (東京:ポラ文化?究所, 1999), p. 18. 

  17. 大原梨惠子(2000) 黑?の 文花史 築地書館. p. 45-78 

  18. www.naver.co.kr 

  19. www.sbs.c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