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실태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5 no.4, 2009년, pp.261 - 269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고효정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김계숙 (안산1대학 간호과) ,  김선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김진향 (안산1대학 간호과) ,  박혜숙 (가톨릭상지대학 간호과)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원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management state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four provinces and D city. Subjects were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의 임신과 출산관련 건강실태에 대한 조사연구를 통해 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건강에 효과적 인 간호중재와 그에 따른 정책방안을 수립하고자 하며, 이에 따른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의료서비스 이용과 임신과 출산관련 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의료서비스 이용과 임신과 출산 관련 건강관리 실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ollini, P., Pmnpallona, S., Wanner, P., & Kupelnick, B. (2009). Pregnancy outcome of migrant women and integration policy: A systematic review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Soc Sci Med, 68, 452-461. 

  2. Cho, J. H., & Song, J. N. (2004). Look into vietnam. Seoul: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Press. 

  3. Essena, B., Bodkerb, B., Sjoberga, N., Langhoff-Roosb, J., Greisenc, G., Gudmundssona, S., & Ostergren, P. O. (2002). Are some perinatal deaths in immigrant groups linked to suboptimal perinatal care services? BJOC, 109, 677-682. 

  4. Han, G. S. (2006).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J Korean Soc Cult Anthropol, 39(1),195-219. 

  5. Harley, K., & Eskenazi, B. (2006). Time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s during pregnancy among women of Mexican descent. Soc Sci Med, 62, 3048-3061. 

  6. Heo, P. H. (2007). Quality of life married women who lived in Cheonan from abroa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7. Kim, B. R. (2007).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tion and the adaptation of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8. Kim, H. R., Hwang, N. M., Chang, I. S., Yoon, K. J., & Kang, B. J. (2008). The reproductive health and policy subject in the international foreign wiv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Kim, M. Y., & Koh, H. J. (2008). A study about intermarriage foreign wives' prenatal education needs, health belief and prenatal care compliance. Keimyung J Nurs Sci, 12(1), 83-96. 

  10. Kim, O. N. (2006).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s women. Fam Cult, 18(3), 63-106. 

  11. Kim, Y. L. (2006). Women-immigrants' lives and their socialcultural accommodation-related policy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J Asia Women, 45(1), 143-189. 

  12. Korea National Statics Office (n.d.). Marriage rate for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Population movement study. Retrieved November 28, 2008, from http://Kosis.nso.go.kr 

  13. Lee, S. S., Park, J. S., Kim, P. S., & Kim, H. S. (2007). A survey on marriage and delivery and policy direction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08). A survey on a resident foreigners in Korea. Retrieved March 9, 2009, from http://www.mopas.co.kr 

  15. Murray, S. S., & McKinney, E. S. (2006). Foundation of maternalnewborn nursing (4th ed). NY: Saunders. 

  16. Park, J. H., & Chung, J. K. (2007). Acculturation and identity of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Korean JWoman Psychol, 12(4), 395-432. 

  17. Seol, D. H., Kim, H. S., Yoon, H. S., Lee, H. K., Yirn, K. T., Chung, K. S., Ju, Y. S., & Han, G. S. (2005),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8. Small, R., Lumley, J., & Yelland, J. (2003). Cross-cultural experiences of matemal depression: Associations and contributing factors for Vietnamese, Turkish and Filipino immigrant women in Victoria, Australia. Lthnicity & Health, 8(3), 189-206. 

  19. Yang, A. K., Lee, S. J., Choi, H S., Kim, S. W., & Jung, H. (2007). A study on a community acceptance of immigrant women.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 Yang, S. M. (2006). Adjustment and an aspect of family life of the rural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focusing on the Chinese (Korea tribe), Japanese, and Philippine immigrant woman and their's husbcmd. J Rural Community, 6(2),151-179. 

  21. Yoon, H. S. (2004). Conflicts and adjustments of foreign wives married to Korean men: Pillipina wives in rural Korea. J Loelll History Cult, 8(2), 299-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