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이미지와 노인차별경험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the Elderly's Image and Ageism Experienc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8 no.6, 2009년, pp.1169 - 1179  

신학진 (전주기전대학 사회복지상담과) ,  전상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elderly's image or appearance to ageism. In this study, image included factors such as image management, external image and self and other's acceptance.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effect of image to ageism, we purposely collected 315 sa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응전략으로 '고용 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과 같은 법적 대응도 있지만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대응도 필요하겠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에 노인의 이미지 관리에 관한 프로그램의 포함이 중요한 실천과제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개연성은 Jensen (1991)이나 Browne과 Meyer(2003)의 정의에 따른 추정으로 외모에 대한 고정관념은 노인에게도 부정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인차별과 노인의 이미지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노인의 이미지가 노인차별의 원인으로 추가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한다. Butler(1995)는 노인차별의 원인으로 비생산성, 분리 또는 이탈(Disengagement), 비탄력성, 노쇠 또는 노망 (Senility), 성기능상실(Sexlessness)을 제시했다.
  • McGuire외(2008)는 노인차별을 타파하기 위해서 보건복지 분야의 전문가와 정책입안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를 위해서 먼저 노인차별의 정도나 범위를 측정해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차별의 정도를 Parmore(1999)의 노인차별경험 척도로 다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통해서 노인의 이미지와 노인차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셋째, 연구결과에서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제시하고 분석방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며 구조방정식(SEM)을 통해서 가설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발견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한편 우리사회에 광범위하게 자리하고 있는 차별 중에는 외모차별이 있으며 외모차별은 우리나라의 성형문화나 피부관리 그리고 패션산업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해서 외모차별의 원인이 되는 이미지가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검증결과 첫째, 노인의 이미지에 대한 자신과 타인의 인정의 정도가 높을수록 노인차별의 경험은 적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차경호 등(2006)의 자존감 측정척도에서 외모에 따른 자타인정 척도와 과 Cash오) Pruzinksy(1990) 의 외모평가 즉 외적이미지의 측정 그리고 이현주(2008) 의 외적이미지 측정척도를 노인에 적합하며 노인차별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Kasier(1996)의 외모관리행동과 의복부분에 대한 측정을 위해서 패션 감각의 개념과 이의 하위문항으로 센스, 색감, 세련미 등을 측정하고자 한다.
  • Butler(1995)는 노인차별의 원인으로 비생산성, 분리 또는 이탈(Disengagement), 비탄력성, 노쇠 또는 노망 (Senility), 성기능상실(Sexlessness)을 제시했다. 이와 같은 원인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밝히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노인차별은 차별 자체로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노인에게 정서적인 고통을 가져올 수 있고이는 노후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
  •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에서는 이미지와 외모차별에 관련된 연구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어서 노인차별에 관한 관련된 이론을 논의한다.

가설 설정

  • H1 : 노인의 자신과 타인의 인정의 정도가 높을수록 노인차별의 경험은 낮을 것이다.
  • H2 : 외모관리행동을 하는 노인은 자신 및 타인으로부터 본인의 이미지에 대한 인정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인지할 것이다.
  • H3 : 외모관리행동은 노인의 외적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노인의 외적이미지는 자신 및 타인들의 인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3 : 외모관리행동은 노인의 외적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의 표준경로계수는 0.490(C.R.=5.534, p<.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따라서 노인의 외모관리행동은 노인의 외적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 가설 H4 : 노인의 외적이미지는 자신 및 타인들의 인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표준경로계수는 0.318(C.R.=3.959, p<.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따라서 노인의 외적이미지가 자타인정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노인의 이미지가 노인차별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에 대한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경호. (2004). 이미지메이킹의 개념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욱. (2002). 억압의 한 형태로서의 노인차별주의(Ageism): 사회복지적 대응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14, 97-118. 

  3. 김욱. (2003).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3(2), 21-35. 

  4. 남석인. (2008).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1297-1315. 

  5. 박종우. (1999).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와 노인문제. 사회과학, 11(0), 51-68. 

  6. 원영희. (2005).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정책, 21(0), 310-339. 

  7. 이유재, 공태식, 유재원. (2004). 서비스 조직과 고객의 교환 관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객 경험속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33(6), 1809-1845. 

  8. 이현주. (2008). 대학생의 이미지 평가 및 이미지 형성이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9. 임숙자, 최성주. (2000). 의복만족의 과정과 결정요인: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2(6), 928-939. 

  10. 오미영. (2002). TV토론 출연자에 대한 이미지 평가 분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차경호,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 성인의 자존감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25(1), 105-139. 

  12. 한국여성민우회. (2003). http://www.womenlink.or.kr 

  13. 임인숙(2004).외모차별 사회의 성형 경험과 의향. 한국여성학, 20(1), 95-122. 

  14. 황윤정. (200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매력 지각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미지. (2009). 네이버사전, 자료검색일 2009, 5. 9, 자료출처 http://dic.naver.com. 

  16. Braithewhite V. (2002). Reducing ageism,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Cambridge: MIT Press. 

  17. Breda, J., & Schoenmaekers D. (2006). Age: A Dubious Criterion in Legislation. Ageing & Society, 26(4): 529-47. 

  18. Browne, N., & Meyer, A. G. (2003). Many paths to justice: The glass ceiling, the looking glass, and strategies for getting to the other sice. Hofstra Labor & Employment Law Journal, 21(1), 61-107. 

  19. Butler, R. N. (1969). Ageism: Another form of bigotry. Gerontologist, 9(1), 243-246. 

  20. Butler, R. N. (1995). Ageism,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Springer. 

  21. Butler, R. (2005). Ageism, Encyclopedia of Ageism. Binghamton. NY: Haworth Press, xv-xvi. 

  22. Cash, T., & Pruzinksy, T. (1990). Body image ?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The Giulford. 

  23. Dennis H., & Thomas K. (2007). Ageism in the workplace. Generations, 31(1), 84-89. 

  24. Gordon, R. A., & Arvey, R. D. (2004). Age bias in laboratory and field setting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4(3), 1-27. 

  25. ILC : International Longevity Center. (2006). Ageism in America: The Status Reports. New York, NY: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26. Jensen, E. M. (1991). The Heroic Nature of Tax Lawyers, 140 U. PA. L. REV. 367, 372 n.33 

  27. Kasier, S. B.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Fairchild Books & Visuals 2 ed., New York, 145-157. 

  28. Kite, M. E., & Stockdale, G. D. (2004). Attitudes toward younger and older adults: An updated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Social Issues, 61(2), 241-266 

  29. Kotler , P. (1988).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6th ed, New Jersey: Prentice-Hall. 

  30. McGuirem, S. L., Klein, D. A., & Chen, S. L. (2008). Ageism revisited : A study measuring ageism in East Tennessee, USA,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0(1), 11-16. 

  31. Palmore, E. B. (1999). Ageism: Negative and positive. New York: Springer. 

  32. Palmore, E. B. (2001). The Ageism survey : first findings. The Gerontologist, 41(5), 572-575. 

  33. Peter, B., & Lars, T. (1999). Body images among men and women of different ages. Ageing and Society, 19(5), 629-644. 

  34. Rudd, N. A., & Lennon, S. J. (2000). Body image and appe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e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8(3), 152-162. 

  35. Rupp, D. E., Vodanovich, S. J., & Crede, M. (2006). Age Bias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Ageism and Causal attribu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6(6), 1337-1364. 

  36. Safire, W. (2000). Lookism: Uglies of the World, Unite!. N.Y. Times Magazine. 

  37. Todd, D. L.,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38. Tuckman, J., & Lorge, I. (1953). Attitudes toward old people. Journal of Social Phychology, 37(2), 249-260. 

  39. Victor, W. M. (2007). Advancing the sociology of ageism. Social Forces, 86(1), 257-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