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us-size 중년 여성의 체형분류 및 유형별 특성분석
The Differenti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Body Types for the Middle-Aged Plus-Size Wome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8 no.6, 2009년, pp.1303 - 1314  

박순아 (배재대학교 의류학과) ,  구미지 (배재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body types for plus-size women and obtaining basic data for the wide-ranging choices of ready-made clothing in a consumer's 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lay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ubjects in their 3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 부위별 연구를 통하여 plus-size 중년 여성들의 각기 다른 체형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여, 유형 특성을 제시하고,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하며, 나아가 plus-size 중년 여성이 자신의 체형에 맞는 의복 구매가 가능하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plus-size 판정기준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비만 판정 기준을 BMI 25 이상, 가슴둘레 90cm이상, 중년여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복부비만의 기준을 정하는 WHR(허리 둘러】/엉덩이둘레) 0.83으로 본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20.30대 청년층 비만 인구 급증, (2005, 3. 28). 네이버 뉴스.자료 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041525& 

  2. 김성주, 변상식, 변상문. (1998). 군집방법을 이용한 기성품의 구격결정. 응용통계, 3(1). 

  3. 고경숙, 성낙응. (1974). 서울시내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증에 대한 고찰. 공중보건 잡지. 11(2), 163-168. 

  4. 김우경. (2005). 성인여성의 비만 기준 설정을 위한 예측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순자. (1996). 우리나라 중년여성의 측면체형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0(2) , 373-389. 

  6. 권수애. 김인화. (2002). 비만여성을 위한 재킷 보정법. 한국생활환경학회, 9(2), 166-181. 

  7. 남 36-여 34인치 이상은 ‘복부비만’. (2005, 10, 25). 네이버 뉴스, 자료 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056203& 

  8. 배주형. (2007). 노년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7). 1008-1019. 

  9. 비만인구 증가 '미용수술1위는 지방흡입'. (2008, 5, 8). 스포츠서울 닷컴, 자료검색일 2009, 12. 11. 자료출처 http://www.sportsseoul.com/news2/life/living/healthmedi/2008/0508/20080508101050201000000_5507854019.html 

  10.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004). 한국인인체치수조사. 

  11. 서미아, 어미경, 김경아. (2000). 중년 plus-size 성기성복의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18, 187-207. 

  12. 손부현, 홍경희, 박세진. (2005). 중년비만여성의 위한 기존 재킷의 패턴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75-483. 

  13. 송영득. (1999). 지방세포와 생리. 대한 비만학회, 8(1). 1-6. 

  14. 심부자. (2002). 중년여성의 사이즈 스펙개발을 위한 인체치수 및 체형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2), 59-70. 

  15. 이영란. (1983). 중년기 비만체형을 위한 부인복 원형연구. 청주대학교 논문집, 16, 69-98. 

  16. 이주연. (1985). 서울지역 학령기 아동의 비만실태와 이에 형향을 미치는 식이섭취 및 일반 환경 인자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임수연. (1993). PLUS-SIZE 에 관한 연구-패턴과 디자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순원, 김구자, 남윤자, 노희숙, 정명숙, 최경미, 최유경. (1993). 의복체형학. 서울: 교학연구사. 

  19. 이준옥. (2001). 개인별 맞춤 거들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비만여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은주, 김상만, 권혁찬, 이득주, 조남한, 정윤석. (1996). 여성에서 허리둔부 둘레비와 비만 관련 질환의 예측. 대한비만학회. 5(1), 41-48. 

  21. 이진희. (1998). 비만여성의 의복 치수체계 및 커버율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37-748. 

  22. 이진희. (1995). 성인 비만 여성의 체형특정 및 기성복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정동림. (2002). plus-size 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혜락, 함옥상. (2000). 중년여성을 위한 기본 원형설계. 한국의류학회지, 24(1), 105-115. 

  25. 차인숙. (1983). Silhouetter에 의한 중년부인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최영순. (2000). plue-size 소비자의 의복행동에 따른 one-to-one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최운정, 김갑영. (1980). 비만아의 신체발육과 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13(1), 1-7. 

  28. 최유경. (1997). 여성 체형의 형태적 분류 및 연령 증가에 따른 변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혜선, 이진희. (1995). 의복설계를 위한 비만 여성 체형의 연령층별 특징. 한국의류학회지, 19(5), 842-852. 

  30. 하명주. (1985). 대도시 비만아동의 비만요인에 관련된 사회 조사 연구. 대한보건학회학술지, 11(2), 29-52. 

  31. 하희정. (2001). Plus-size 여성의 연령별 신체 특성과 의류치수체계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하희정, 김애린. (2003). Plus-size 여성의 연령별 신체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문화연구, 11(1), 153-164. 

  33. 한애미. (1987). 비만체형을 위한 기본 Bodice 원형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Frances Leto, Z. (1990). Fashion Design For The Plus-size, Fairchild Publications. 

  35. Grerry, C. (1995). Master patterns and Grading For Women’s Outsize. Blackwell Science Ltd. 

  36. Kim, H. S. (2001). Leptin interacts with heart rate but not sympathetic nerve traffic in healthy male subjects, Journal of Hypertension, 19(6), 1089-10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