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실감표현요소
Realistic Expression Factors According to Visual Presence in Terms of Iris color and Pupil Accommodation of Virtual Avata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4, 2014년, pp.1 - 8  

원명주 (상명대학교 대학원 감성공학과) ,  박상인 (상명대학교 대학원 감성공학과) ,  이의철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컴퓨터과학과) ,  황민철 (상명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환경에서 가상 아바타는 말과 감정을 전달하는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적용한 가상 아바타를 모델링하였다. 32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상기 이미지를 제시한 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문항(18문항)을 구성하여 5점 척도로 보고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동공 크기변화가 적용된 경우 높은 실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채색은 실재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새로운 시각적 실감 표현요소를 제안하고, 제안된 실감 표현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실재감 있는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irtual avatar is a principal way as media for communicating language and affective feelings in virtual environment. As simila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user's visual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ris color and pupil size of virtual avatar which is considered as new factors for re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베오울프>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재 가상 아바타의 눈을 중심으로 홍채 색과 동공 조절(Pupillary accommodation)의 표현요소가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실감 표현요소를 기반으로 사실적인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이때의 경험은 실재감을 제공하는 기술적인 부분과 관련이 있고, 평가는 가상 매체를 받아들이는 사용자의 심리적 부분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측면을 고려하여 눈 표현을 중심으로 한 가상 아바타의 실감 표현요소를 기반으로 실재감을 평가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실감 표현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재 가상 아바타의 눈을 중심으로 홍채 색과 동공 조절(Pupillary accommodation)의 표현요소가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실감 표현요소를 기반으로 사실적인 가상 아바타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공 조절의 실감 표현요소에 대하여 가상 실감화를 측정할 수 있는 주관모델을 사용해 사용자가 느끼는 실재감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더 높은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공 조절의 표현요소가 실재감을 향상하기에 유의미한 요소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홍채색 단일 표현요소에 따른 실재감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홍채색과 동공 조절에 따른 새로운 실감 표현요소에 대하여 사용자 반응을 평가한 점에 큰 의미를 갖는다. 홍채색의 경우 밝은 경우보다 오히려 어두운 경우에 시각적 실재감이 높게 평가된 것은 인종에 따른 영향력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홍채색과 동공 조절의 실감 표현요소가 사실적인 가상 아바타를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요소임을 제안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자율신경계 측정방법 중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를 사용하여 QRS Complex의 간격 변화(interbeat time)를 반영하는 심박변이율(Hear tRate variability, HRV)과 동공 조절의 상관성을 확인하여 실재 사용자의 자율신경계 변화가 가상 아바타에 적용되었을 때 실재감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공 조절의 실감 표현요소에 대하여 가상 실감화를 측정할 수 있는 주관모델을 사용해 사용자가 느끼는 실재감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에서 더 높은 실재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공 조절의 표현요소가 실재감을 향상하기에 유의미한 요소인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관평가 결과 시각적 실재감, 시각적 몰입감, 시각적 상호작용의 모든 요인에서 주관적 실재감이 더 크게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재감은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가? 가상 환경에서 사용자가 미디어에 의해 표현된 환경을 느끼는 지각적 상태를 ‘실재감(presence)’라 한다. 이는 가상 실감화의 질적 평가도구로 사용되며,사용자가 가상환경을 실제로 받아들이는 정도를 측정한다[14].
가상 환경에서 가상 아바타의 역할은 무엇인가? 가상환경에서 가상 아바타는 말과 감정을 전달하는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아바타의 홍채색과 동공 조절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실재감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다.
3D모델 엔지니어나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이 인간의 사실적인 눈 모델을 개발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비의사소통의 대표적인 눈은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두 사람의 상호작용에 대한 피드백 신호로 사용된다. 서로의 눈길을 통하여 두 사람 간의 관계를 파악할 때, 현재의 감성을 표현할 때,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주거나 정보를 찾고자 할 때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3D모델 엔지니어나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은 게임 설계 및 영화제작, 캐릭터 애니메이션 분야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인간의 사실적인 눈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 Harber and D. Terzopoulos, Facial Modeling and Animation, SIGGRAPH 2004 Course Notes, 2004. 

  2. K. Lee and S. Jang, "3D avatar gesture representation for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design," J. of Contents Association, Vol. 5, No. 4, pp. 122-132, 2005. 

  3. W. Bainbridge, "The Scientific Research Potential of Virtual Worlds," J. of Science, Vol. 317, No. 5837, pp. 472-476, 2007. 

  4. M. J. won, E. C. Lee, and M. Whang, "Realistic Expression Factor to Visual Presence of Virtual Avatar in Eye Reflection," J. of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7, pp. 9-15, 2013. 

  5. S. Mills and J. Noyes, "Virtual Reality:An Overview of User-related Design Issues - Revised Paper for Special Issue on 'Virtualreality:UserIssues'inInteracting With Computers May1998," J. of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 11, No. 4, pp. 375-386, 1999. 

  6. C. Greenhalgh and S. Benford, "Supporting rich and dynamic communication in large scale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J. of In Presence: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8, No. 1, pp. 14-35, 1999. 

  7. J. Jin, M. Park, H. Ko, and H. Byun, "Immersive Telemeeting with Virtual Studioand CAV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Advanced Image Technology, pp. 15-20, 2001. 

  8. B. Cha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of real-time Emotional Avatar Based on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aejeon, pp. 1-50, 2005. 

  9. N. Adamo-Villani, G. Beni, and J. White, "3D Simulator of Ocular Motion and Expression, " ICIT 2005-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pp. 122-127, 2005. 

  10. J. Cassell, H. Vilhjllmsson, and T. Bickmore, "BEAT:the Behavior Expression Animation Toolkit," Proceedings of the 28th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pp. 477-486, 2001. 

  11. D. Decarlo, D, Metaxas, and M. Stone, "An Anthropometric Face Model Using Variational Techniques," Proceedings of the 25th annu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pp. 67-74, 1998. 

  12. E. Petajan, "Very low bitrate face animation coding in MPEG-4," In Encyclopedia of Telecommunications, Vol. 17, pp. 209-231, 1999. 

  13. S. Kim, "Real time facial expression control of 3D avatarby isomap of motion data," J. of Contents Association, Vol. 7, No. 3, pp. 9-16, 2007. 

  14. K. Mania and A. Chalmers, "The Effects of Levels of Immersion on Memory and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A Reality Centered Approach," J. of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 4, No. 2, pp. 247-264, 2001. 

  15. M. L. Heilig, "El Cine del Futuro:The cinema of future," J. of In Presence, Vol. 1, No. 3, pp. 279-294, 1992. 

  16. J. H. Hong, D. H. Jeong, S. Y. Sim, and C. G. Song,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27, No. 9, pp. 931-941, 2005. 

  17. W. Barfield and C. Hendrix, "The effect of update rate on the sence of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 J. of Virtual reality:Research, Development, Applications, Vol. 1, No. 1, pp. 3-15, 1995. 

  18. C. Hendrix and W. Barfield, "Prese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as a function of visual display parameters," J. of Presence: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5, No. 3, pp. 274-289, 1996a. 

  19. C. Hendrix and W. Barfield, "Thesense of presence with auditory virtual environments," J. of Presence: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5, No. 3, pp. 290-301, 1996b. 

  20. S. Kim, M. Kim, and J. Kang,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directing for three dimensional films," J. of Contents Association, Vol. 11, No. 2, pp. 229-237, 2011. 

  21. A. Gullstr and and R. Tigerstedt, Einfuhrung in die Methoden der Dioptrik des Auges, Leipzig:Verlag von S. Hirzel, 1911. 

  22. J. Dillon, C. Tyhurst, and R. Yolton, "The mydriatic effect of tropicamide on light and dark irides," J.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Vol. 48, No. 5, p. 653, 1977. 

  23. J. Lovasik and H. Kergoat, "Timecourse of cycloplegia induced by a new phenylephrine-tropicamide combination drug," J.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Vol. 67, No. 5, pp. 352-358, 1990. 

  24. J. Seddon, C. Sahagian, R. Glynn, and R. Sperduto, "Evaluation of an iris color classification system. The Eye Disorders Case-Control Study Group," J. of Optometry & Vision Science, Vol. 31, No. 8, pp. 1592-1598, 1990. 

  25. B. R. Hammond, K. Fuld, and D. Snodderly, "Iris Color and Macular Pigment Optical Density," J. of Experimental eye research, Vol. 62, No. 3, pp. 293-298, 1996. 

  26. M. J. Won, S. Park, C. J. Kim, E. C. Lee, and M. Whang, "Visual factor Evaluation for the Measurement of Subjective Virtual Realization," J.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ol. 15, No. 3, pp. 389-398, 2012. 

  27. F. Biocca, C. Harms, and J. Burgoon, "Toward a more robust theory and measure of social presence: Review and suggested criteria," Presence, Vol. 12, No. 5, pp. 456-480,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