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체발생기용 질산암모늄 산화제 기반 복합고체추진제의 조성 및 기계적 물성
A Study on the Formu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N-based Composite Solid Propellant for an Application to Gas Generators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3 no.5 = no.54, 2009년, pp.1 - 6  

박정 (부경대학교 기계공학부) ,  김정수 (부경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로켓시스템의 에너지원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체발생기용 복합 고체추진제의 개발과정을 기술한다. 80%의 고체입자 부하율과 양호한 유동성, 그리고 $-50^{\circ}{\sim}70^{\circ}C$에서 경화에 적절한 추진제 물성을 갖는 HTPB를 바인더로 하여, 낮은 화염온도, 적은 고체입자 잔사, 무독성 생성물의 추진제 제조가 가능한 AN을 제1종 산화제로, 탄도특성 제어에 필요한 AP를 제2종 산화제로 추진제 주요 조성이 구성된다. 기본조성을 근거로 하여 일련의 물성개선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최대응력 8 bar 및 최대응력점 변형율 30%, 그리고 탄성계수 1000 psi 수준의 물성을 갖는 추진제 조성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evelopment of a composite solid propellant is carried out for an application to gas generators as an energy source of rocket system. With HTPB as a propellant binder which has 80% of particle loading ratio, a favorable rheology, and moderate curing properties at the range of $-50^{\circ}{\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때, 기체발생기(gas generator)는 고온에 견딜 수 없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어밸브나 가동부의 전기, 혹은 유압시스템과 접속하기 마련이므로 발생기에서 배출되는 구동용 기체는 화염온도가 낮고 고체입자 잔사가 적어야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운용 측면에서 독성 또한 적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1].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요구 조건 외에 기체발생기의 작동성능에 직접 관계하는 추진제의 물성 및 연소속도 등에 관한 한도를 규정하면서 주조형(castable) 제조방식의 HTPB/AN(Hydroxy-terminated polybutadiene/ Ammonium nitrate) 추진제를 테일러링 (tailoring)하는 과정에 주목하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체발생기가 가져야할 조건은? 기체에너지원(gas energy source)은 로켓, 혹은 비행무기체계의 유도와 관련된 여러 종류의 비행조정장치 작동에 있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이 때, 기체발생기(gas generator)는 고온에 견딜 수 없는 재료로 이루어진 제어밸브나 가동부의 전기, 혹은 유압시스템과 접속하기 마련이므로 발생기에서 배출되는 구동용 기체는 화염온도가 낮고 고체입자 잔사가 적어야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운용 측면에서 독성 또한 적은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1].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요구 조건 외에 기체발생기의 작동성능에 직접 관계하는 추진제의 물성 및 연소속도 등에 관한 한도를 규정하면서 주조형(castable) 제조방식의 HTPB/AN(Hydroxy-terminated polybutadiene/ Ammonium nitrate) 추진제를 테일러링 (tailoring)하는 과정에 주목하기로 한다.
바인더는 어떤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가? 바인더는 연료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추진제 제조의 공정성(processibility)과 탄도성능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있어서 추진제 조성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바인더의 유동특성은, 최종적인 추진제 리올로지(rheology)에서 조성에 함유될 수 있는 고체입자의 총량에 영향을 주고, 경화 후 구조적 물성을 결정한다.
질산암모늄의 장점은? 산화제는 낮은 화염온도 및 저연소율을 고려하여 질산암모늄(AN)을 사용한다. AN은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추진제 제조에서 주조형 공정을 택할 수 있다. 또 +20%의 oxygen balance를 가지므로 산소함량이 적은 바인더와 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AN을 함유한 추진제 그레인은 온도사이클링에 노출되었을 때 AN 결정의 상변화에서 유발되는 밀도감소 및 체적증가 현상 등 (dimensional instability)이 흡습성과 함께 오랜 동안 단점으로 알려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utton, G. P., Rocket Propulsion Elements, 6th ed., John Wiley & Sons, Inc., 1992 

  2. Davenas, A., Solid Rocket Propulsion Technology, Pergamon Press, 1992 

  3. Li, J. and Xu, Y., 'Some Recent Investigation in Solid Propellant Technology For Gas Generator,' AIAA 90-2335, 1990 

  4. 추원 풍 등, '초산암모니움/HTPB계 콤포지트 추진약의 연소속도에 미치는 크롬과 코발트 화합물의 영향,' 공업화학(일본), Vol. 52, No. 6, 1991 

  5. 백국현, 임유진, '가스발생기용 추진제에 대한 냉각제 효과,' 한국추진공학회지, 제9권, 제2호, 2005, pp.1-8 

  6. 김정수, 김창기, 고현진, 황준식, 전상락, 박봉엽, '기체발생기 개발에 관한 연구(?),' 국방과학연구소 연구보고서 GWSD-419-940433, 1994 

  7. 김정수, 고현진, 김창기, 황준식, 전상락, 박봉엽, '기체발생기 개발에 관한 연구(ll),' 국방과학연구소 연구보고서 GWSD-419-940434, 1994 

  8. Kim, J. S. and Hwang, J. S., 'Demonstration of Gas Generator Utiliz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