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 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al Changes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6, 2009년, pp.1013 - 1017  

김민희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윤정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관수 ((주)세전) ,  송영복 ((주)세전) ,  서원준 ((주)세전) ,  송경빈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이 전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수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 5, 10, 50 ppm과 푸마르산 0.1, 0.3, 0.5%를 고추, 생강, 당근에 5분간 각각 처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는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5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고추에 처리 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52, 1.81 log CFU/g 감소시킨 반면 0.5% 푸마르산의 처리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된 생강은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가 0.53, 0.92 log CFU/g 감소를 보였고, 푸마르산의 처리는 1.44, 1.28 log CFU/g 감소시켰다. 당근에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를 1.76, 2.22 log CFU/g까지 줄였고 푸마르산 처리는 1.94, 1.73 log CFU/g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가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 수 감소에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or fumaric acid treatment on the reduction of microbial populations in hot pepper, ginger, and carrot, were investigated. Hot pepper, ginger, and carrot were treated with 5, 10, or 50 ppm of $ClO_2$, or 0.1, 0.3, or 0.5%(v/v) 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처리는 비가열처리로써 신선 채소의 관능적인 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미생물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기에 효과적인 화학적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추, 생강, 당근에 대한 가공 전처리 공정으로써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세척 처리에 의한 초기 미생물 감소를 통한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선한 채소의 단점은 무엇인가? 신선한 채소는 샐러드 등 섭취의 편리성과 건강상의 이유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 수확 중 미생물 오염이나 식품 가공, 저장, 유통 중 세균 등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1,2). 그 실제 예로 고추는 곰팡이와 세균으로 인한 피해로 생산량의 손실을 가져오고, 또한 생강은 축축하고 연한 표면이 수확 후 출하 과정 중 손상되기 쉬워 곰팡이로 인한 부패가 쉽게 일어나며, 당근의 경우 미생물에 의해 품질이 저하된다.
신선한 채소가 생산, 수확 중 미생물 오염이나 식품 가공, 저장, 유통 중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한 예는 무엇이 있는가? 신선한 채소는 샐러드 등 섭취의 편리성과 건강상의 이유로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생산, 수확 중 미생물 오염이나 식품 가공, 저장, 유통 중 세균 등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1,2). 그 실제 예로 고추는 곰팡이와 세균으로 인한 피해로 생산량의 손실을 가져오고, 또한 생강은 축축하고 연한 표면이 수확 후 출하 과정 중 손상되기 쉬워 곰팡이로 인한 부패가 쉽게 일어나며, 당근의 경우 미생물에 의해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신선한 채소들의 미생물 오염으로 인한 식품 안전성이 문제시되기에, 가공이나 조리 전에 이러한 채소들의 미생물 감소를 위한 전처리 과정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3-5).
이산화염소수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식품산업에서 미생물 감소를 위해 사용하는 비가열처리 방법으로 감마선이나 UV-C 조사, 염소, 유기산,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처리 등이 있다(6,7). 그 중 이산화염소수는 thermal processing을 할 수 없는 식품에 적합하여 샐러드와 같은 신선채소 식품의 위생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데, 염소와는 달리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류 등을 생성하지 않고, 또한 염소보다 2.5배나 산화력이 강하며, pH의 변화에 따른 살균력의 변화도 없으며 식품의 풍미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an, Y., Sherman, D.M., Linton, R.H., Nielsen, S.S. and Nelson, P.E. (2000) The effects of washing and chlorine dioxide gas on survival and attachment of Escherichia coli O157:H7 to green pepper surface. Food Microbiol., 17, 521-533 

  2.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8)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3. Kim, Y.J., Lee, S.H., Park, J., Park, J.H., Chung, M.S., Kwon, K.S., Chung, K.S., Won, M.S. and Song, K.B. (2008) Inactivation of E. coli O157:H7,ar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stored iceberg lettuce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J. Food Sci., 73, 418-422 

  4. Kim, Y.J., Kim, M.K., Shim, I.S., Dong, A.Y., Kang, S.H. and Song, K.B. (2008)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of grapes during storage. Hort. Environ. Biotechnol., 49, 47-51 

  5. G \acute{o} mez-L \acute{o} pez, V.M., Devlieghere, P., Ragaert, P. and Debevere, J. (2007) Shelf-life extension of minimally processed carrots by gaseous chlorine dioxide. Int. J. Food Microbiol,. 116, 221-227 

  6. Chikthimmah, N., Laborde, L.E. and Beelman, R.B. (2003)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destr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apple cider treated with fumaric acid and sodium benzoate. Food Microbiol. Safety 68, 1438-1442 

  7. Kim, J.Y., Chun, H.H. and Song, K.B. (2008) Effect of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imported dried fish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5, 922-926 

  8. Benarde, M.A., Israel, B.M., Olivieri, V.P. and Granstorm, M.L. (1965)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as a bactericide. Appl. Microbiol., 13, 776-780 

  9. Aieta, E.M. and Berg, J.D. (1986) A review of chlorine dioxide in drinking water treatment. J. Am. Water Works Asso., 78, 62-70 

  10. Hong, Y.H., Ku, K.J., Kim, M.K. and Song, K.B. (2008)Effect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of chicken legs during storage. J. Food Sci. Nutr., 13, 45-50 

  11. Shin, H.Y., Lee, Y.J., Park, I.Y., Kim, J.Y., Oh, S.J. and Song, K.B. (2007) Effect of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fish paste during storag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42-47 

  12. Singh, N., Sing, R.K., Bhunia, A.K. and Stroshine, R.N. (2002)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ozone, and thyme essential oil or a sequential washing in killing Escherichia coli O157:H7 on lettuce and baby carrots. LWT-Food Sci. Technol., 35, 720-729 

  13. Fu, Y., Zhang, K., Wang, N. and Du, J. (2007) Effects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polyphenol oxidases from golden delicious apple. LWT-Food Sci. Technol., 40, 1362-1368 

  14. Warnecke, T. and Gill, R.T. (2005) Organic acid toxicity, tolerance, and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biorefining applications. Microbial. Cell Factories, 4, 1-8 

  15. Kim, Y.J., Kim, M.H. and Song, K.B. (2009)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fumaric acid for inactivating pre-existing microorganism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broccoli sprouts. Food Control, 20, 1002-1005 

  16. Comes, J.E. and Beelman, R.B. (2002) Addition of fumaric acid and sodium benzoate as an alternative method to achieve a 5-log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s in apple cider. J. Food Protect., 65, 476-483 

  17. Ryu, J.H., Deng, Y. and Beuchat, L.R. (1999) Behavior of acid adapted and unadapted Escherichia coli O157:H7 when exposed to reduced pH achieved with various acids. J. Food Protect., 62, 451-455 

  18. APHA.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Method 4-54.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19. SAS. (2001) SAS User's Guide Statistic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0. Akbas, M.Y. and Olmez, H. (2007)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berg lettuce by dip wash treatments with organic acids. Lett. Appl. Microbiol., 44, 619-624 

  21. Freese, E., Sheu, C.W. and Gallies, E. (1973) Function of lipophilic acids as antimicrobial food additives. Nature, 241, 321-325 

  22. Salmond, C.V., Kroll, R.G. and Booth, I.R. (1984) The effect of food preservatives on pH homeostasis in Escherichia coli. J. Gen. Microbiol., 130, 2845-2850 

  23. Kim, Y.J., Lee, S.H. and Song, K.B. (2007)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the microbial growth and qualities of l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J. Appl. Biol. Chem., 50, 239-243 

  24. Walter, A. and Gutknecht, J. (1984) Monocarboxylic acid permeation through lipid bilayer membranes. J. Memb. Biol., 77, 255-264 

  25. Goulbourne, E., Matin. M., Zychlinsky, E. and Matin, A. (1986) Mechanism of delta pH maintenance in active and inactive cells of an obligately acidophilic bacterium. J. Bacteriol., 166, 59-65 

  26. Lang, M.M., Ingham, B.H. and Ingham, S.C. (2000)Efficacy of novel organic acid and hypochlorite treatments for eliminating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alfalfa seeds prior to sprouting. Int. J. Food Microbiol., 58, 73-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