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식품 중 전처리 방법에 따른 식중독균 회수율 분석
Analysis of the Recovery Rate of Food-borne Pathogens according to Sample Preparation Methods in Animal Origin Fo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1 no.6, 2016년, pp.406 - 413  

김종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현욱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함준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부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오미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축산식품으로부터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해 전처리용액, 균질화 시간, 시료와 전처리용액의 비율에 따른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햄, 발효유, 소고기에 E. coli O157:H7, S. aureus, S. Typhimurium를 7.0 log CFU/g로 접종하고 PW, SS, BPD, BPW로 처리하였다. 또한 균질화 시간은 30, 60, 90, 120, 300초, 시료와 전처리용액 비율은 1:2, 1:4, 1:9, 1:19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발효유와 소고기에서는 BPW로 처리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식중독균의 회수율이 높았으나(p < 0.05), 햄의 경우에는 전처리 용액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다. 전처리용액의 최적 비율은 햄, 발효유, 소고기가 각각 1:9, 1:2, 1:4였으며(p < 0.05), 균질화 시간은 모든 시료에서 120초로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회수율이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선정된 최적 전처리 조건에서 식중독균 회수율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시료 및 균종에서 85%이상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축산식품으로부터 식중독균 검출을 위한 전처리 용액 및 시료와 전처리용액의 비율은 시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식중독균 검출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d establish a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animal origin foods. Ham, yogurt, and Korean beef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f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 중 식중독균 분석의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 전처리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대표적 축산식품인 햄, 발효유, 소고기를 대상으로 전처리 용액, 균질화 시간, 전처리 용액과 시료의 비율에 따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 현황은 2014년 기준 어떠한가? 국민소득의 증가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현대인들의 축산 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최근 외국산 축산물의 국내 유입이 급증함에 따라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축산물 및 축산 가공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1). 농림축산식품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은 1990년 19.7 kg에서 2014년 51.4 kg으로 2.6배 이상 증가하였다2). 식육을 비롯한 대부분의 축산식품은 우수한 고단백 영양식품인 반면에 미생물 오염이 매우 용이하여 쉽게 부패 및 변질되는 특징이 있다.
축산물 및 그 가공품 중 식중독균에 대한 정확한 정량 분석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6배 이상 증가하였다2). 식육을 비롯한 대부분의 축산식품은 우수한 고단백 영양식품인 반면에 미생물 오염이 매우 용이하여 쉽게 부패 및 변질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물의 분변에 존재하는 균에 의하여 직·간접적으로 오염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인수공통전염병의 전파가능성도 높다3). 따라서 축산물 및 그 가공품 중 식중독균에 대한 정확한 정량 분석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유해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9%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 유해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하게 세균의 존재 여부와 그 양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생화학적, 면역학적, 분자생물학적 원리에 기초한 다양한 분석법이 개발 되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ong, S. H., Park, N. Y., Jo, H. J., Ro, E. Y., Ko, Y. M., Na, Y. J. and Moon, J. S.: Risk Ranking Determination of Comb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J. Fd Hyg. Safety, 30, 1-12 (2015). 

  2. MIAFF(Min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4. (2016). 

  3. Na, H. M., Bae, S. Y., Koh, B. R. D., Jang, M. S., Sung, C. M., Kim, J. Y. and Kim, Y. H.: Survey in consumers and distribution stages bacteriological analysis for fresh raw beef in Gwangju area, Korea.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35, 313-319 (2012). 

  4.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Korea.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Accessed on Aug. 24, (2016). 

  5. Kim, J. S., Lee, G. G., Park, J. S., Jung, Y. H., Kwak, H. S., Kim, S. B. and Kwon, S. T.: A novel multiplex PCR assay for rapid and simultaneous detection of five pathogenic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 H7,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J. Food Prot., 70, 1656-1662 (2007). 

  6. Xue, X., Pan, J., Xie, H., Wang, J. and Zhang, S.: Fluorescence detection of total count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water-soluble CdSe quantum dots coupled with bacteria. Talanta, 77, 1808-1813 (2009). 

  7. Nero, L. A., De Mattos, M. R., de Aguiar Ferreira Barros, M., Ortolani, M. B. T., Beloti, V. and de Melo Franco, B. D. G.: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in raw milk produced in Brazil: occurrence and interference of indigenous microbiota in their isolation and development. Zoonoses Public Health, 55, 299-305 (2008). 

  8. Clavero, M. R. and Beuchat, L. R.: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 H7 in broth and processed salami as influenced by pH,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and suitability of media for its recovery. Appl. Environ. Microbiol., 62, 2735-2740 (1996). 

  9. Conner, D. E. and Hall, G. S.: Efficacy of selected media for recovery of Escherichia coli O157: H7 from frozen chicken meat containing sodium chloride, sodium lactate or polyphosphate. Food Microbiol., 11, 337-344 (1994). 

  10. Jiang, J., Larkin, C., Steele, M., Poppe, C. and Odumeru, J. A.: Evaluation of universal preenrichment broth for the recovery of foodborne pathogens from milk and cheese. J. Dairy Sci., 81, 2798-2803 (1998). 

  11. Barkocy-Gallagher, G. A., Berry, E. D., Rivera-Betancourt, M., Arthur, T. M., Nou, X. and Koohmaraie, M.; Development of methods for the recovery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from beef carcass sponge samples and bovine fecal and hide samples. J. Food Prot., 65, 1527-1534 (2002). 

  12. KFDA: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song, Korea (2015). 

  13. Kim, M. H., Kim, W. J., Shin, W. S., Shon, D. H. and Cha, S. K.: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liposomes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278-283 (2003). 

  14. Kim, S. R., Choi, S. Y., Seo, M. K., Lee, J. Y., Kim, W. I., Yoon, Y., and Kim, B. S.: Establishment of sample preparation method to enhance recovery of food-borne pathogens from produce. J. Fd. Hyg. Safety, 28, 279-285 (2013). 

  15.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Report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