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BCT와 Simulation CT를 이용한 치료계획의 선량비교
Comparison of using CBCT with CT Simulator for Radiation dose of Treatment Plan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9 no.12, 2009년, pp.742 - 749  

김대영 (중앙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최지원 (전주대학교 방사선학과) ,  조정근 (전주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방사선치료용 선형가속기에 부착된 진단용 kV 에너지 영역의 X선 선원과 아모퍼스 실리콘(a-Si)의 검출기로 구성된 온보드영상장치(OBI)를 이용하여 콘빔 전산화단층촬영 영상(CBCT)획득이 가능하다. CBCT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세우게 되면 치료실에서 CT영상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써 고식적 치료환자들의 부담이 많이 감소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선량을 재계산하여 치료과정 중 치료계획 재수립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CBCT를 이용한 치료계획과 기존의 모의치료용 CT를 이용한 치료계획을 비교 연구 함으로서 CBCT영상만으로 광자선 선량계산이 정확한지를 평가하고 임상에서 고식적방사선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사선치료계획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선량계산에 필요한 CT수와 밀도간의 상호관계 확인을 위하여 Catphan 600 팬텀을 이용하여 교정곡선을 산출하였고 팬텀과 환자들의 모의 치료용 CT영상과 CBCT영상을 획득하여 치료계획 및 선량계산 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CBCT 영상을 이용한 치료계획에서의 MU차이는 중심점에 100cGy 처방하였을 때 Phantom에서의 경우 3~4MU로 약 2.7%, 환자에서의 경우 1~3MU로 약 2.5% 이하로 차이가 났다. 팬텀과 환자에서의 Monitor unit(MU)차이는 2.7%, 2.5% 이내였으나, CBCT영상의 경우 검출기의 크기의 제약 및 환자의 불수의적인 움직임에 의하여 전자밀도가 큰 물질에서 산란선과 artifact의 발생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뇌 및 폐 영역의 치료계획시 선량의 오차가 더 커질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치료시작 전 CBCT 영상을 획득하여 환자의 자세와 내부 장기의 위치를 보정하고 선량을 재계산하여 치료계획을 재수립하는 적응방사선치료(ART)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산란선과 움직임에 의한 artifact의 감소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has been proposed for guiding the delivery of radiation therapy. A kilovoltage imaging system capable of radiography, fluoroscopy,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T) has been integrated with a medical linear accelerator. A standard clinical linear 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모의치료용 CT 영상을 이용한 치료계획과 CBCT 영상을 이용한 치료계획을 비교 연구함으로서 CBCT영상으로 광자선 선량계산이 정확한지를 평가하고 임상에서 고식적방사선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사선치료계획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방사선치료의 목적은 종양조직 에 처 방된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조사하면서 정상조직에는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선량을 조사시켜 최적화된 선량분포를 얻는 것이다. 최근에는 치료계획 및 조사방법 등의 기술과 CT, MRI, PET-CT 등 장비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방사선치료는 더욱 복잡해지고 고도의 정밀성과 정확성이 요구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의치료용 CT를 이용한 치료 계획과 CBCT를 이용한 치료계획을 비교 연구함으로서 CBCT 영상만으로 광자선 선량계산이 정확한지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V. D. Jacob, The modern technology of radiation oncology, 1999. 

  2. D. Letourneau, R. Wong, D. Moseley, et al., "Online planning and delivery technique for radiotherapy of spine metastases using cone-beam CT: Image quality and system performance", Int. J. Radiation Oncology Biol Phys., 67, pp.1229-1237, 2007. 

  3. D. Jaffray, D. Drake, M. Moreau, et al., "A radiographic and tomographic imaging system integrated into a medical linear accelerator for localization of bone and soft-tissue targets", Int. J. Radiation Oncology Biol Phys., 45, pp.773-789, 1999. 

  4. C. Wu, R. Jeraj, G. Olivera, et al., "Reoptimization in adaptive radiothrapy", Phy. Med. Biol., 47, pp. 3181-3195, 2002. 

  5. S. Yoo, F-F. Yin, "Dosimetric feasibility of cone-beam CT-based treatment planning compared to CT-based treatment planning", Int. J. Radiation Oncology Biol Phys., 66, pp.1553-1561, 2006. 

  6. Y. Yang, E. Schreibmann, T. Li, C. Wang, L. Xing., "Evaluation of on-board kV cone beam CT(CBCT)-based dose calculation", Phy. Med. Biol., 52, pp.685-705, 2007. 

  7. G. Hounsfield, "Computerized transverse axial scanning(tomography) 1. Description of system", Brit. J. Radiol., 46, pp.1016-1022, 1973. 

  8. H. Hu, HD. He, WD. Foley, SH. Fox., "Four multidetector-row helical CT : image quality and volume coverage speed", Radiology, 215, pp.55-62, 2000. 

  9. RA. Rob, "High-speed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multi-dimensional display on the heart, lung, and circulation", In:Fullerton GD, Zagzebski JA(eds.), AAPM monography No.6., The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Medical Physics of CT and ultrasound. New York, pp.656-702 1980. 

  10. 최용석, 김규태, 황의환,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영상의 원리",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36 권, pp.123-129, 2006. 

  11. SJ. Thomas, "Relative electron density calibration of CT scanner for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Br. J. Radiol.,. 72, pp.781-786, 1999. 

  12. J. Battista, W. Rider, Dyk. Van, "Computed tomography for radiotherapy planning",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6, pp.99-107, 1980. 

  13. C. Constantinou, J. Harrington, L. DeWerd,, "An electron density calibration phantom for CT-based treatment planning computers", Med. Phys., 19, pp.325-327,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