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모테라피와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동일 부위의 치료 시 종양 및 정상조직의 흡수선량 평가
Incase of Same Region Treatment by using a Tomotherapy and a Linear Accelerator Absorbed Dose Evaluation of Normal Tissues and a Tumor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22 no.2, 2010년, pp.97 - 103  

천금성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창욱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회남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허경훈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송진호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홍주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정재용 (상계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상이한 치료장비를 이용하여 동일 부위에 중복하여 방사선치료 시 전산화치료계획장치간에 호환이 되지 않아 정상조직(Normal Tissue)의 총 흡수선량에 대한 평가의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모테라피(Tomotherapy)와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를 이용하여 동일 부위를 중복 치료할 때 환자가 받는 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체모형팬텀(Anthropomorphic Phantom)을 대상으로 종양 및 정상조직을 묘사하여 선형가속기 치료계획장치 (Pinnacle 8.0: RTP)로 종양에 45 Gy 선량을 처방하고,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장치에서 종양에 15 Gy 선량을 처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토모테라피에서 수립된 치료계획을 통합가능 치료계획장치(Oncentra: RTP)에 전송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토모테라피 치료계획을 재현한 후 선형가속기에서 치료한 45 Gy를 합하여 총 선량 60 Gy의 치료계획을 구현하였다. 흡수선량 평가를 위해 두 개의 방사선 치료계획장치에서 얻어진 흡수선량(최소, 최대, 평균 선량) 및 관심 선량체적에 대해 서로 합(Total)한 값과 하나로 통합(Integration)하여 얻어진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선형가속기와 토모테라피로 동일 부위에 치료 받은 5명(두경부 2명, 복부 1명, 골반부 2명)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종양 및 정상 조직의 흡수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인체모형팬텀에서 하나로 통합하여 얻어진 값과 서로 합한 값의 비교에서 최소선량은 비장(Spleen, 12.4%), 최대선량은 소장(Small bowl, 10.2%)과 척수(Spinal cord, 5.8%)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두경부 환자의 경우 최소선량은 구강(Oral cavity, 20.3%), 오른쪽 수정체(Rt lens, 7.7%)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최대선량은 척수(22.5%), 뇌간(Brain stem; 12.0%), 시 신경교차(Optic chiasm; 8.9%), 오른쪽 수정체(11.5%), 하악골(Mandible bone, 8.1%), 뇌하수체(Pituitary gland, 6.2%)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부 환자의 경우 최대선량은 왼쪽 신장(Lt kidney, 20.3%), 위(Stomach, 8.1%)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고, 골반 부위 환자의 경우 최소 선량은 방광(Bladder, 15.2%), 최대선량은 소장(5.6%), 방광(5.5%)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동일 부위 방사선치료계획 시 정량화되지 못했던 신장의 20 Gy를 받은 체적($V_{20}$)에서 37%, 간(Liver)의 25 Gy를 받은 체적($V_{25}$)에서 23%가 선량체적히스토그램(DVH)에서 나타났다. 결 론: 하나로 통합하여 얻어진 값과 서로 합한 값의 비교에서 최소선량은 높게, 최대선량은 낮게, 평균선량은 동일한 값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심장기의 선량 체적($V_{20}$)보다 낮은 선량을 처방했을 때 구현하지 못했던 종양 및 정상조직의 흡수선량에 대하여 평가를 할 수 있었다. 향후 상이한 치료 장치들을 이용한 동일 부위 치료 시 흡수선량의 통합 평가뿐만 아닌 정확한 선량분포를 구현할 수 있는 치료계획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지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reating same region with different modalities there is a limit to evaluate the total absorbed dose of normal tissues. The reason is that it does not support to communication each modalities yet. In this article, it evaluates absorbed dose of th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same region b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가속기와 토모테라피를 이용하여 동일 부위에 대해 치료하고자 할 때 각 치료 양식별 방사선치료계획장치로 계산된 흡수선량을 각 치료 양식별 방사선치료계획이 통합 가능한, 하나의 치료계획장치(이하 통합 가능 치료계획장치)에 구현하여 종양 및 정상장기 체적의 흡수선량을 서로 합(Total)한 경우와 통합(Integration)한 경우를 구현하여 정확한 흡수선량(최소, 최대, 평균선량) 및 관심 선량체적의 동일 부위 및 인접부위에 대한 환자가 받는 선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에는 무엇을 이용하여 추가 선량을 부가하나요? 예를 들어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 LINAC)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한 후 동일 부위 및 인접한 부위에 토모 테라피(Tomotherapy)나 근접치료(Intra-cavity Radiotherapy, ICR) 등을 이용해 추가 선량을 부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른 각 치료 양식별 방사선 치료계획 시스템간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 할 경우 각 방사선치료계획에서 정상조직이 받는 선량 체적을 서로 합산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치료 양식별 방사선 치료계획 시스템별로 전산화치료계획을 시행할 경우 어려운 점은? 예를 들어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 LINAC)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를 한 후 동일 부위 및 인접한 부위에 토모 테라피(Tomotherapy)나 근접치료(Intra-cavity Radiotherapy, ICR) 등을 이용해 추가 선량을 부가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른 각 치료 양식별 방사선 치료계획 시스템간 호환성의 문제가 발생 할 경우 각 방사선치료계획에서 정상조직이 받는 선량 체적을 서로 합산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방사선치료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존재하나? 방사선치료는 종양의 위치나 형태에 따라 방사선 강도를 조절하는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여러 방향에서 입체적으로 조사하여 단 시일 내에 종양을 제거하는 사이버나이프(Cyber-Knife) 및 감마나이프(γ-Knife), 종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IGRT)1) 그리고 특정 부위에만 집중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양성자치료(Proton Beam Radiation Therapy, PBRT) 등 정밀하고 복잡한 치료로 발전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